[목차] == [[질소]] == Nitrogen === [[NOS|아산화질소를 사용한 엔진 튜닝 시스템]] === Nitrous Oxide Systems의 앞 단어에서 따온 말이다. [[NOS]] 문서 참조. === [[나이트로기]] === === [[니트로글리세린]] === == 레이싱 게임에서의 [[NOS|니트로 시스템]] == --어째서인지 드리프트나 묘기를 하면 충전되는 것.----[[애프터버너|머플러에 불이 나오는건 덤]].[* 아스팔트 9: 레전드 에선 4단계중 마지막 단계인 니트로 쇼크웨이브는 무적이 되고 방탄차 까지 박살내 버린다.]-- [[부스터]] 아이템의 일종으로 순간 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니트로 시스템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게임으로는 [[카트라이더]][* 한국서버에서의 명칭은 부스터.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글로벌서버의 영문명은 Nitro로 표기되어 있다.], [[니드 포 스피드 시리즈]][* 정확히 니드 포 스피드 언더그라운드 부터. 언더그라운드에서는 한번 사용하면 레이싱 중 다시 충전되지 않는다. 다시 충전되는 시스템은 언더그라운드 2부터.], [[포르자 호라이즌 2]][* 본편에는 등장하지 않고,[[분노의 질주]] 7편 홍보용인 forza horizon 2 presents F&F에 등장한다.], [[아스팔트 시리즈]] 등등이 있다. --[[마리오 카트 시리즈]]는 없다-- 예를 들자면 [[아스팔트 8: 에어본|아스팔트 8]]에서는 총 3단 니트로가 가능한데 니트로 사용 후, 빨간 구간에서 니트로를 한번더 사용하면 퍼펙트 니트로가 되어 3단 니트로의 성능을 2단 니트로의 소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스팔트 7: 히트|전작]]의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후속작인 [[아스팔트 9: 레전드]]도 마찬가지.[* 아스팔트 9: 레전드 의 경우 4단 까지 있고 매우 생생하게 구현되어 있다.] 리얼계 레이싱 게임에서는 등장하지 않아서 실존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일단 니트로 자체는 실재한다. [[플라즈마 절단기|현실에 없을 것 같은데 실제로 있는 물건]] 보통은 혼합기에 분사하여 산소농도(아산화질소의 산소농도는 대기의 약 2배)를 높여 과급효과를 낸다. 하드코어 튜닝으로 넘어가면 실린더 내에 직분사하기도 하지만 폭발 위험 때문에 잘 취급되지는 않는다 ~~물론 드리프트한다고 채워지지도 않는다.~~[[NOS]] 참조. == [[스토커 시리즈]]의 등장인물 == [[니트로(스토커)]] 문서 참조. == [[토리코]] 등장생물 == [[니트로(토리코)]] 문서 참조. == [[유희왕]]의 카드군 == 카드군이지만 정확히는 니트로라는 이름이 붙은 싱크로 몬스터를 지정한다. 이를 만족하는 카드는 [[니트로 워리어]] 뿐이며, 소속 카드도 니트로 워리어와 [[니트로 싱크론]] 둘 뿐이다. == [[식스플래그]] 그레이트 어드벤쳐의 롤러코스터 == [[니트로(롤러코스터)]] 문서 참조 == 일본의 종합 콘텐츠 기업 == [[니트로 플러스]] 문서 참조. == [[Discord]]의 구독 기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iscord/특징)] [[분류:동음이의어]][[분류:게임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