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 20%, #FFF 80%, #EAEAEA)" {{{#009850 ''' 닐 레넌의 역임 직책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클럽'''}}} || || [[틀:셀틱 FC 감독|[[파일:셀틱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9850; font-size: 0.9em" [[틀:셀틱 FC 감독|{{{#ffffff '''셀틱'''}}}]]}}}[br]{{{-2 21대, 24대}}} || [[파일:볼턴 원더러스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263c7e; font-size: 0.9em" {{{#ffffff '''볼턴'''}}}}}}[br]{{{-2 33대}}} || [[파일:히버니언 FC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17439; font-size: 0.9em" {{{#ffffff '''히버니언'''}}}}}}[br]{{{-2 44대}}} || [[파일:AC 오모니아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8830; font-size: 0.9em" {{{#ffffff '''오모니아'''}}}}}}[br]{{{-2 64대}}}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850 0%, #009850 30%, #009850 70%, #009850)" {{{#ffffff ''' 셀틱 FC 주장 ''' }}} }}} || || [[재키 맥나마라]][br]{{{-1 (2004~2005) }}} || {{{+1 {{{#206b48 ▶ }}} }}} || '''{{{#206b48 닐 레넌[br]{{{-1 (2005~2007)}}}}}}''' || {{{+1 {{{#206b48 ▶ }}} }}} || [[스티븐 맥마너스]][br]{{{-1 (2007~2010)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 북아일랜드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il Lennon.jpg|width=100%]]}}} || ||<-2> {{{#000 ''' 이름 ''' }}} || {{{+1 '''닐 레넌'''}}}[br]'''Neil Lennon''' || ||<-2> {{{#000 ''' 본명 ''' }}} ||닐 프랜시스 레넌[br]Neil Francis Lennon || ||<-2> {{{#000 ''' 국적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북아일랜드)]) || ||<-2><|2> {{{#000 ''' 출생 ''' }}} ||[[1971년]] [[6월 25일]] ([age(1971-06-25)]세) || ||[[영국]] [[북아일랜드]] 루간 || ||<-2> {{{#000 ''' 신체 ''' }}} ||[[키(신체)|키]] 175cm || ||<-2> {{{#000 ''' 직업 ''' }}} ||[[축구선수]] ([[미드필더]] / ^^은퇴^^)[br][[축구 감독]] || ||<|2> {{{#000 ''' 소속 ''' }}} || {{{#000 ''' 선수 ''' }}} ||[[글레나본 FC]](1986~1987)[br][[맨체스터 시티 FC]] (1987~1990)[br]'''[[크루 알렉산드라 FC]] (1990~1996)'''[br]'''[[레스터 시티 FC]] (1996~2000)'''[br]'''[[셀틱 FC]] (2000~2007)'''[br][[노팅엄 포레스트 FC]] (2007~2008)[br][[위컴 원더러스 FC]] (2008) || || {{{#000 ''' 감독 ''' }}} ||[[셀틱 FC]] (2008 / ^^코치^^)[br][[셀틱 FC 아카데미|셀틱 FC 유스]] (2009~2010)[br]'''[[셀틱 FC]] (2010~2014)'''[br][[볼턴 원더러스 FC]] (2014~2016)[br][[히버니언 FC]] (2016~2019)[br]'''[[셀틱 FC]] (2019~2021)'''[br][[AC 오모니아]] (2022) || ||<-2> {{{#000 ''' 국가대표 ''' }}} ||40경기 2골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북아일랜드]] / 1994~2002)^^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북아일랜드]])^^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현역 시절에는 셀틱의 레전드로, 엄청난 투지로 유명했다. 이 덕분에 주장직도 여러번 한 것은 덤. 셀틱 감독 시절 [[기성용]], [[차두리]]를 지도했었고 볼턴에서는 [[이청용]]을 지도해 한국 선수들과 관계가 많았다. == 선수 경력 == === 클럽 === 어린 시절 게일릭 풋볼을 즐겼고 지역의 루간 셀틱의 유소년 팀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이후 글레나본에 입단해 리그 데뷔골을 터트렸고 1987년 [[맨체스터 시티]]와의 트라이얼에 합격, 맨체스터 시티에 입단했다. 1987-88 시즌이 끝나갈 무렵, 레넌은 버밍엄 시티를 상대로 맨체스터 시티에서의 데뷔전을 가졌다. 그러나 이후 레넌은 팀에서 뛰지 못했고 방출되었다. 그는 [[크루 알렉산드라]]와 계약을 맺었고, 레딩을 상대로 데뷔했다. 1991-92을 시즌 허리 부상으로 통째로 날렸음에도 레넌은 팀의 핵심 선수가 되었고 크루에서의 활약을 밑바탕 삼아 국가대표팀에도 데뷔했다. 크루에서의 5년 반 동안 레넌은 187경기에 출장했고 18골을 득점했다. 1996년 2월 레넌은 동향 출신의 [[마틴 오닐]]의 눈에 띄어 2부리그의 [[레스터 시티 FC]]로 이적했다. 그해, 레스터 시티는 프리미어리그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크리스탈 팰리스]]와 경기를 치렀다. 레넌은 이 경기에 출장했고, 팀은 2-1로 승리,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했다. 몇년 전만해도 3부리그에서 뛰던 레넌은 프리미어리거가 된 것이다. 1996-97 시즌, 레넌은 첫번째 우승컵으로 리그컵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레넌은 이후 레스터 소속으로 2차례의 리그컵 결승전에 더 나섰고 1차례 우승을 추가했다. 21세기의 첫 해, 마틴 오닐은 스코틀랜드의 [[셀틱 FC]]로 이직했고, 레넌은 그를 따라 셀틱으로 이적했다. 셀틱은 90년대 연거푸 리그 우승에 실패하며 레인저스에게 밀린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두 북아일랜드인의 합류로 리그 우승에 성공함과 동시에 스코틀랜드 컵과 리그 컵을 들어올리는 자국리그 트레블을 달성했다. 레넌은 셀틱의 핵심 선수로 맹활약했고 2회의 리그 우승과 컵 대회 우승, 그리고 2003년 UEFA 컵 준우승에 큰 기여를 했다. 2005년 [[고든 스트라칸]]이 셀틱의 신임 감독이 되자 레넌은 주장에 임명되었다. 2006년 1월, 레스터 시티의 감독이었던 크레이그 르바인이 경질되자 레넌은 플레잉-코치의 형식으로 레스터의 제의를 받기도 했다. 그는 주장으로 4번째 리그 우승을 맛보았다. 2006년 여름, 크리스탈 팰리스에게 선수겸 감독 제의를 받았으나 레넌은 셀틱과의 계약을 1년 연장했다. 여름 이적 시장 막판, [[로이 킨]]이 그를 [[선덜랜드 AFC]]에 영입하려 했으나 셀틱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레넌은 리그와 컵 더블에 기여했다. 시즌 종료 후 셀틱을 떠날 것임을 발표한 레넌은 [[노팅엄 포레스트]]로 이적했다. 초반 그는 주장으로 임명되며 팀에 순조롭게 적응했으나 가족 문제로 훈련에 한 번 불참한 이후 페이스를 잃어버렸고 팀 내 입지마저 좁아졌다. 반 시즌만에 레넌은 [[위컴 원더러스]]로 이적했고, 셀틱에서 코치직을 제의 받자 현역에서 은퇴했다. === 국가대표 === 크루 시절인 1994년 6월 멕시코를 상대로 대표팀에 데뷔했다. 2번째 출장은 거의 1년을 기다려 칠레를 상대로 가졌으며 유로 1996 예선에 출장했다. 아일랜드 연합팀[* 아일랜드+북아일랜드]으로 출전하고 싶다고 발언해 2002년 키프러스와의 친선 경기 전 살해 위협을 받았는데, 이 때문에 국가대표팀에서 은퇴했다. == 감독 경력 == === 셀틱 FC 1기 === [[히버니언 FC]]의 감독으로 부임한다는 설도 있었으나 히버니언은 핀란드 출신의 파탈라이넨을 선임했고, 레넌은 2008년 셀틱의 코치로 선임되어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2009년 [[토니 모브레이]]가 셀틱의 감독으로 선임되자 레넌은 셀틱 리저브 팀 감독으로 부임했다. 2010년 3월 모브레이가 경질당하자 레넌은 09-10 시즌 셀틱 감독 대행직을 수행했는데, 그가 부임하자마자 셀틱은 레인저스전을 포함한 잔여 리그 경기에서 전승을 거두었다.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준 레넌은 10-11 시즌을 앞두고 셀틱의 정식 감독으로 부임했고 개혁을 단행했다. [[에이든 맥기디]]를 리그 최고 이적료를 받으며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로 이적시켰고 주장인 맥마누스, 주전 골키퍼 보루치를 위시한 13명의 선수들이 셀틱의 유니폼을 벗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전세계의 숨은 재능들을 싼 가격에 영입했다. 이때 영입된 선수들이 [[에밀리오 이사기레]], 조 레들리, 찰리 멀그루, 게리 후퍼, [[프레이저 포스터]] 등 2010년대 셀틱의 성공을 이끈 선수들이다. 셀틱에서의 첫 공식전, 레넌은 [[SC 브라가]]와의 챔피언스리그 예선전에서 0-3으로 패했다.(...) 그러면서도 리그에서는 8연승을 달렸고 11월에는 [[애버딘 FC]]를 상대로 기록적인 9-0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에버딘전 이후 하츠전에서는 조 레들리가 비신사적인 파울로 퇴장당했는데, 레넌은 인터뷰에서 주심이었던 크레이그 톰슨이 터무니 없는 판정을 내렸다면 비난했다가 6경기 퇴장이라는 징계를 받았다. 이후 레넌은 4경기 징계를 또 받았는데, [[올드펌]] 더비에서 레인저스의 코치로 있었던 [[알리 맥코이스트]]와의 언쟁 때문이었다. 레넌은 팀을 리그컵 결승전에 올려놓았으나 레인저스와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1-2로 석패했다. 이후 마더웰을 4-0으로 잡으며 리그를 끝마쳤으나 레인저스에게 승점 1점이 뒤진 준우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1주일 뒤 마더웰을 3-0으로 완파하며 스코틀랜드 컵에서 우승, 감독으로서 첫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11-12 시즌에는 부진한 초반기를 보냈으나 결국 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겼고 레넌은 올해의 감독에 선정되었다. 시즌 종료 후 라이벌 [[레인저스 FC]]가 파산함에 따라 4부리그로 강등된 것은 덤. 12-13 시즌에는 리그 1강으로 당연히 우승을 차지했다. 챔피언스리그에서의 선전이 돋보였는데, 조별리그에서 [[빅터 완야마]]와 토니 와트의 연속골, 그리고 프레이저 포스터의 엄청난 선방으로 홈에서 [[FC 바르셀로나]]를 잡아내는 기염을 토했다! 3승 1무 2패로 16강에 진출했고 상대는 [[유벤투스 FC]]가 되었다. 그러나 더 이상의 이변은 없었고 유벤투스에게 1,2차전 합계 0-5로 패배했다. 컵 대회에서는 히버니언을 3-0으로 꺾으며 커리어에 우승컵을 추가했다. 13-14 시즌에도 당연히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챔피언스리그에서 아약스, 바르셀로나, 밀란이라는 강적들을 만나 조 최하위로 탈락, 2개의 컵 대회에서도 부진했다. 시즌이 끝나고 셀틱의 감독에서 물러날 것임을 발표했다. === 볼턴 원더러스 === 기성용, 차두리와의 인연 덕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직 물망에 올랐으나 2014년 10월 또다른 한국인 선수인 [[이청용]]이 있는 [[볼턴 원더러스]]와 4년 계약을 맺었다. 첫 경기인 [[버밍엄 시티 FC]]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다. 레넌은 볼턴을 잘 이끌었고 처음 3개월간 10계단을 끌어올려 14위를 마크했다. 그러나 이후 11경기에서 1승만을 거두는 등 부진했고 베난, 단스와 불화도 있었다. 결국 시즌을 18위로 마무리했다. 15-16 시즌 볼턴의 재정 상태는 점점 악회되었고 새해가 되기 전 겨우 1승을 거두는 등 부진한 상태에 빠져있다. 결국 2016년 3월 16일자로 상호 합의 하에 계약해지를 하였다. === 히버니언 FC === 볼턴과의 계약이 해지 된 이후 2016-17 시즌을 앞두고 스코틀랜드 2부리그의 히버니언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첫 시즌 2부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히버니언을 다시 1부 리그로 이끌었다. === 셀틱 FC 2기 === 2019년 2월 27일, [[브렌던 로저스]] 감독이 시즌 도중 레스터 시티 감독직으로 옮기면서 공석이 되자 친정팀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일단 로저스가 치르다 남긴 잔여 시즌 동안 감독직을 수행한다. 이후 도매스틱 트레블 트레블(3년 연속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한뒤, [[셀틱 FC]]는 정식 감독직을 제안하면서 셀틱 감독으로 공식 복귀하게 된다. 2019-20시즌에도 팀을 잘 이끌고 [[코로나19]]로 인한 리그 조기종료라는 행운도 있어서 레인저스의 추격을 물리치고 다시 한번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하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2020-21시즌은 [[스티븐 제라드]]가 이끄는 레인저스에게 압도적으로 밀린 2위를 하고 있다. 경기력 자체가 문제가 많으며 특히 수비 조직은 로저스 시절과 비교해서 한참 떨어졌다는 평. 결국 레넌은 [[2021년]] [[2월 24일]] 감독직을 사임했고, 셀틱은 2010년 이후 처음으로 무관으로 시즌을 마치게 된다. 셀틱 입장에서는 너무나 굴욕적인 시즌이었기에 레넌의 이미지도 크게 손상되었는데, 셀틱 관련 미디어나 팬 포럼 등지에서는 거의 금지어가 될 기세로 비난을 받기도 했다. === AC 오모니아 === 한동안 감독직을 수행하지 않았던 레넌은 2022년 3월 7일, [[키프로스]]의 [[AC 오모니아]] 감독직에 부임했다. 5월 25일, [[에트니코스 아크나 FC|에트니코스 아크나]]와의 키프로스컵 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승리를 거두며 부임 후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그러나 10월 19일, 성적 부진의 이유로 경질되었다. == 여담 == 출신지는 영국(북아일랜드)이지만 아일랜드 전통 스포츠인 게일릭 풋볼을 즐겼을 정도로 집안과 정체성은 뿌리깊은 아일랜드 인이다. 아일랜드계 클럽인 셀틱에서 선수 생활을 한 이유도 그런 배경에서 비롯 된 것. 때문에 친영파 조직에게 살해 위협을 많이 받았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2002년 국가대표팀을 은퇴하게 만든 협박을 비롯해, 2008년 8월 괴한들에게 습격을 받은 사건, 맥코이스트와의 설전이 중계되면서 소포 폭탄을 받은 사건 등이 있다.[[http://www.goal.com/kr/news/1793/%EB%8F%85%EC%9E%90%EA%B8%B0%EA%B3%A0/2011/04/22/2452629/%EC%85%80%ED%8B%B1-%ED%8F%AD%ED%83%84%ED%85%8C%EB%9F%AC-%EC%9D%B4%EA%B2%A8%EB%82%B4%EA%B3%A0-%EB%A6%AC%EA%B7%B8-%EC%9A%B0%EC%8A%B9|관련 기사]] 고향팀인 루간 셀틱의 열렬한 서포터이다. == 기록 == === 선수 === ==== 대회 기록 ==== * [[크루 알렉산드라 FC]] (1990~1996) * [[풋볼 리그 투|풋볼 리그 써드 디비전]] 3위: 1993-94 * [[레스터 시티 FC]] (1996~2000) * [[EFL 챔피언십|풋볼 리그 퍼스트 디비전]] 승격 플레이오프: 1995-96 * [[풋볼 리그 컵]]: 1996-97, 1999-00 * [[셀틱 FC]] (2000~2007) * [[스코티시 프리미어 리그]]: 2000-01, 2001-02, 2003-04, 2005-06, 2006-07 * [[스코티시컵]]: 2000-01, 2003-04, 2004-05, 2006-07 * [[스코티시 리그컵]]: 2000-01, 2005-06 * [[UEFA 컵]] 준우승: 2002-03 * [[노팅엄 포레스트 FC]] (2007~2008) * [[풋볼 리그 원]] 준우승: 2007-08 ==== 개인 수상 기록 ==== * PFA [[EFL 리그 원|세컨드 디비전]] 올해의 팀: 1994-95, 1995-96 * PFA [[EFL 리그 투|써드 디비전]] 올해의 팀: 1993-94 * 북아일랜드 올해의 선수: 2001 * [[스코틀랜드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선수: 2001년 03월, 2004년 03월, 2007년 04월 * [[틀:셀틱 FC/올해의 선수|셀틱 FC 올해의 선수]]: 2003-04, 2005-06 === 감독 === ==== 대회 기록 ==== * [[셀틱 FC]] (2010~2014, 2019~2021)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2011-12, 2012-13, 2013-14, 2018-19, 2019-20 * 스코티시 컵: 2010-11, 2012-13, 2018-19, 2019-20 * [[스코티시 리그 컵]]: 2019-20 * [[히버니언 FC]] (2016~2019) * [[스코티시 챔피언십]]: 2016-17 * [[AC 오모니아]] (2022) * 키프리오트컵[* 키프로스컵]: 2021-22 ==== 개인 수상 기록 ==== * SFWA 올해의 감독: 2011–12, 2012–13, 2019–20 * [[스코틀랜드 프리미어 리그]] 올해의 감독: 2011-12 * [[스코틀랜드 프리미어 리그]] 이달의 감독: 2010년 09월, 2011년 01월 · 04월 · 11월 · 12월, 2012년 02월 · 04월 · 12월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이달의 감독: 2013년 12월, 2014년 01월, 2017년 10월 * [[스코티시 챔피언십]] 이달의 감독: 2016년 08월, 2017년 01월 * 선데이 메일 스포츠 어워즈 편집자의 선택: 2012 == 둘러보기 == [include(틀:셀틱 FC 감독)] [[분류:1971년 출생]][[분류:북아일랜드의 축구선수]][[분류:북아일랜드의 축구감독]][[분류:글레너번 FC/은퇴, 이적]][[분류:맨체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크루 알렉산드라 FC/은퇴, 이적]][[분류:레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셀틱 FC/은퇴, 이적]][[분류:노팅엄 포레스트 FC/은퇴, 이적]][[분류:위컴 원더러스 FC/은퇴, 이적]][[분류:셀틱 FC/역대 감독]][[분류:볼턴 원더러스 FC/역대 감독]][[분류:히버니언 FC/역대 감독]][[분류:AC 오모니아/역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