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뮬러 원 드라이버)] ||
'''{{{#fff 다니엘 리카도의 우승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 '''2008 포뮬러 르노 2.0 [[서유럽|WEC]] 종합우승''' || || 대회 창설 || → || '''2008[br][[파일:호주 국기.svg|height=20]]다니엘 리카도[br](SG 포뮬러)''' || → || 2009[br][[파일:스페인 민간기.svg|height=20]]앨버트 코스타[br](엡실론 유스카디) || ------ ||<-5> '''2009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 종합우승''' || || 2008[br][[파일:스페인 민간기.svg|height=20]][[하이메 알게수아리]][br](칼린 모터스포트) || → || '''2009[br][[파일:호주 국기.svg|height=20]]다니엘 리카도[br](칼린 모터스포트)''' || → || 2010[br][[파일:프랑스 국기.svg|height=20]][[장에릭 베르뉴]][br](칼린 모터스포트) || ------ ||<-5> '''2018년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 || ||<-5><#fff> [[파일:288E21B0-FA01-453B-B030-0E555C96AC4C.png|width=200]] || || 2017 - [[스쿠데리아 페라리|Scuderia Ferrari]][br][[파일:독일 국기.svg|height=20]][[제바스티안 페텔]][br]SF70H || → || '''2018 - [[레드불 레이싱|Aston Martin Red Bull Racing]][br][[파일:호주 국기.svg|height=20]][[다니엘 리카도]][br]RB14''' || → || 2019 - [[메르세데스 F1 팀|Mercedes AMG Petronas Motorsport]][br][[파일:영국 국기.svg|height=20]][[루이스 해밀턴 MBE]][br]F1 W10 EQ Power+ || ------ ||<-5> '''2014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잭 브라밤#s-3|잭 브라밤 어워드]]''' || || 2012[br]데이비드 브라밤 || → || '''2009[br]다니엘 리카도''' || → || 2017[br]매튜 켐벨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대런.jpg|width=100%]]}}} || ||<-2> '''{{{#fff 스쿠데리아}}}''' {{{#fff 알파}}}'''{{{#fff 타우리 No. 3}}}''' || ||<-2> '''{{{#fff {{{+1 다니엘 리카도}}}}}}[br]{{{#fff Daniel Ricciardo}}}''' || || {{{#23395d '''본명'''}}} ||다니엘 조셉 리카도[br]Daniel Joseph Ricciardo || || {{{#23395d '''출생'''}}} ||[[1989년]] [[7월 1일]] ([age(1989-07-01)]세) [br] {{{-1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퍼스]]}}} || || {{{#23395d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 {{{#23395d '''신체'''}}} ||179cm / 66kg || || {{{#23395d '''소속 팀'''}}} ||[[HRT F1 팀]] (2011) [br]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2012~2013) [br] '''[[레드불 레이싱]] (2014~2018)'''[br] [[르노 F1 팀]] (2019~2020) [br] [[맥라렌 F1 팀]] (2021~2022)[br] [[레드불 레이싱]] (2023 / ^^서드 드라이버^^[* 리저브 드라이버와 다르게 연습 주행으로 출전하지 않고 특별한 행사에서 차량을 운전하거나 시뮬레이터를 돌리는 역할을 한다.]) [br]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2023~) || || {{{#23395d '''레이스 엔트리'''}}} ||238경기 || || {{{#23395d '''레이스 스타트'''}}} ||237경기 || || {{{#23395d '''월드 챔피언'''}}} ||0회 || || {{{#23395d '''그랑프리 우승'''}}} ||8회 || || {{{#23395d '''포디움'''}}} ||32회 || || {{{#23395d '''폴 포지션'''}}} ||3회 || || {{{#23395d '''패스티스트 랩'''}}} ||16회 || || {{{#23395d '''커리어 포인트'''}}} ||1317 || || {{{#23395d '''첫 경기'''}}} ||[[포뮬러 1/2011시즌#s-3.9|2011]] [[영국 그랑프리]] || || {{{#23395d '''첫 그랑프리 우승'''}}} ||[[포뮬러 1/2014시즌#s-6.7|2014]] [[질 빌르너브 서킷|캐나다 그랑프리]] || || {{{#23395d '''마지막 그랑프리[br]우승'''}}} ||[[포뮬러 1/2021시즌#s-7.14|2021]]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이탈리아 그랑프리]] || || {{{#23395d '''지난 시즌 성적 [br] (2022 시즌)'''}}} ||11위 (37 pts) || || {{{#23395d '''SNS'''}}} ||[[https://www.instagram.com/danielricciard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 [[파일:eb2ea68a318e988866dc9a9be449d92e.jpg|width=100%]] || [[파일:대런헬멧22.png|width=100%]] || || {{{#ffffff 리카도의 공식 로고}}} || {{{#ffffff 리카도의 헬멧}}}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 출신의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소속 [[포뮬러 1]] 드라이버. 드라이버 스스로를 "Honey Badger ([[벌꿀오소리]])"라 칭하는 사나이. 실제로 꾸준히 따라가다가 기회가 오면 저돌적으로 오버테이킹하는 스타일이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탈리아계 혈통이다. 이름 읽는 법이 F1 팬들 사이에서 상당한 난제였는데 이탈리아어 발음을 따를 경우 '다니엘 리치아르도'가 되고 F1 루키 시절엔 실제로 이렇게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다니엘 리카도" 또는 "리카르도"로 자리잡았는데 본인이 이렇게 불리길 원했다[* 그 이유가 간단한데 부모님이 항상 그렇게 발음했기 때문이라고...]고 하는 걸 보면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이게 맞다 아니다 설왕설래가 있었던 모양이다.[* 로마자 자체가 한글자에 발음 딱 하나를 적용할 수 없어서 그냥 본인이 듣고 싶은 대로 불러주는 게 정답이라고 해주는 모양이다. 미국도 그렇고...] 스페인어권 방송에서는 리키아르도라고 읽는 경우도 있다. == [[다니엘 리카도/선수 경력|선수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다니엘 리카도/선수 경력)] == 연도별 성적 == || '''{{{#ffffff 시즌}}}''' || '''{{{#ffffff 시리즈}}}''' || '''{{{#ffffff 팀}}}''' || '''{{{#ffffff 경기}}}''' || '''{{{#ffffff 우승}}}''' || '''{{{#ffffff 폴포지션}}}''' || '''{{{#ffffff 패스티스트 랩}}}''' || '''{{{#ffffff 포디움}}}''' || '''{{{#ffffff 포인트}}}''' || '''{{{#ffffff 순위}}}''' || || 2005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br]포뮬러 포드 || 프라이베이티어 || 3 || 0 || 0 || ? || 0 || 74 || 8위 || ||<|3> 2006 || 아시아 포뮬러 BMW || 유라시아 모터스포츠 || 19 || 2 || 3 || 3 || 12 || 231 ||<#cd7f32> '''3위''' || || 영국 포뮬러 BMW || 모타월드 레이싱 || 2 || 0 || 0 || 0 || 0 || 3 || 20위 || || 포뮬러 BMW 월드 파이널 || 포르텍 모터스포츠 || 1 || 0 || 0 || 0 || 0 || - || 5위 || ||<|2> 2007 || 이탈리아 포뮬러 르노 2.0 ||<|2> RP 모터스포츠 || 14 || 0 || 0 || 0 || 0 || 196 || 6위 || || 유로컵 포뮬러 르노 2.0 || 4 || 0 || 0 || 0 || 0 || 0 || - || ||<|4> 2008 || 북유럽 포뮬러 르노 2.0 ||<|4> SG 포뮬러 || 15 || 8 || 9 || 7 || 11 || 192 ||<#ffd700> '''1위''' || || 유로컵 포뮬러 르노 2.0 || 18 || 6 || 5 || 5 || 7 || 136 ||<#cac4ce> '''2위''' || ||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 2 || 0 || 0 || 0 || 0 || - || - || ||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 1 || 0 || 0 || 0 || 0 || - || - || ||<|4> 2009 || 영국 포뮬러 3 ||<|3> 칼린 모터스포트 || 20 || 7 || 6 || 5 || 13 || 275 ||<#ffd700> '''1위''' || ||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 1 || 0 || 0 || 0 || 0 || - || - || || [[마카오 그랑프리]] || 1 || 0 || 0 || 0 || 0 || - || - || ||<|3> 포뮬러 르노 3.5 ||<|2> 테크 1 레이싱 || 2 || 0 || 0 || 0 || 0 || 0 || 34위 || || 2010 || 16 || 4 || 8 || 5 || 8 || 136 ||<#cac4ce> '''2위''' || ||<|2> 2011 || ISR || 12 || 1 || 2 || 3 || 6 || 144 || 5위 || ||<|13> [[포뮬러 1]] || [[HRT 포뮬러 1 팀]] || 11 || 0 || 0 || 0 || 0 || 0 || 27위 || || 2012 ||<|2>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20 || 0 || 0 || 0 || 0 || 10 || 18위 || || 2013 || 19 || 0 || 0 || 0 || 0 || 20 || 14위 || || 2014 ||<|5> [[레드불 레이싱]] || 19 || 3 || 0 || 1 || 8 || 238 || '''3위''' || || 2015 || 19 || 0 || 0 || 3 || 2 || 92 || 8위 || || 2016 || 21 || 1 || 1 || 4 || 8 || 256 || '''3위''' || || 2017 || 20 || 1 || 0 || 1 || 9 || 200 || 5위 || || 2018 || 21 || 2 || 2 || 4 || 2 || 170 || 6위 || || 2019 ||<|2> [[르노 F1 팀]] || 21 || 0 || 0 || 0 || 0 || 54 || 9위 || || 2020 || 17 || 0 || 0 || 2 || 2 || 119 || 5위 || || 2021 ||<|2> [[맥라렌 F1 팀]] || 22 || 1 || 0 || 1 || 1 || 115 || 8위 || || 2022 || 22 || 0 || 0 || 0 || 0 || 37 || 11위 || || 2023 || [[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 || 0 || 0 || 0 || 0 || 0 || 0 || -위* || *: 현재 진행 중 == 여담 == * 드라이빙 스타일은 팀메이트였던 [[막스 베르스타펜]]만큼은 아니지만 상당히 과감하고 공격적으로 경기를 운영한다. 허니뱃저라는 별명에 걸맞게 끈질기게 따라붙으며 기회를 노리다가 DRS 레인지에 들어오면 순식간에 추월하며 순위를 끌어올리는 식으로, 현역 드라이버들 가운데 추월능력만큼은 손에 꼽힐 정도로 뛰어나다. 그래서인지 아이러니하게도 리카도가 가장 빛나는 경기는 그가 제대로 퀄리파잉을 소화하지 못하고 그리드 맨 뒤에서 출발하는 경기인데, 그런 경기에선 초반에 그야말로 무쌍을 찍어대는 리카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르노 엔진 시절엔 허구한 날 엔진이 터졌다...~~ * 리카도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쉽게 차를 부숴먹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 형편없는 HRT를 타고도 어떻게든 경기를 피니쉬하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토로로쏘-레드불 시절에도 차에 문제가 있지 않은 이상 어떻게든 일단 체커기까지는 받는다.[* 실제로 이는 토로로쏘 시절 팀메이트이자 경쟁자였던 장 에릭 베르뉴를 제치고 리카도가 선택받은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였다. 베르뉴는 때로는 리카도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도 받곤 했으나, 리카도에 비해 자주 리타이어하는 등 안정적인 면이 떨어졌다.] 심지어 18시즌 모나코에서는 문제가 생긴 차를 끌고도[* 팀라디오로 "Losing power"라고 말하며 절망한 모습을 보였다.] 페텔과 해밀턴의 앞을 틀어막으며 끝내는 우승까지 해내고 말았다. * 성격은 비교적 원만한 편이다. 다른 드라이버들과의 트러블이 거의 없는 편이고, 레드불 시절에는 한 성깔 하는 막스 베르스타펜과도 의외로 잘 지냈고[* 사실 막스가 다혈질이고 마이페이스라며 욕을 먹곤 하지만, 그건 대체로 트랙 위에서의 모습이 그렇다는 것이고, 사석에서는 의외로 베테랑 드라이버들을 잘 따르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 [[루이스 해밀턴]]과도 레이스 후에 격의 없이 대화를 나누곤 하고, 리카도와도 살벌했던 팀 내 경쟁에 비해서는 탈 없이 잘 지냈다.] 르노 시절 에스테반 오콘과도 원만한 모습을 보였다. 자주 웃는데다 서글서글하고 유쾌한 성격의 소유자라 그런지 컨텐더 팀에서 오랜 시간 뛰었음에도 안티 팬이 거의 없는 편이다. 스탭들에게도 친절해서 레드불을 떠날 때나 르노를 떠날 때 스탭들이 상당히 아쉬워하는 모습이 보였다. 경기중 무전에서도 신사적인 면이 돋보이는 편. * 2019 시즌 호주 그랑프리를 앞두고 5살짜리 꼬마 팬에 의해 '''다니엘 [[아보카도]]'''로 [[https://youtu.be/CS5D0prnl4M|강제 개명당했다]]. 벌써 팬들 사이에서는 온갖 짤이 생성되는 중. * 호주 출신이지만, 자국인 호주 그랑프리에서는 우승은 커녕 포디움에도 올라본 적이 없다. HRT 시절에야 포인트도 힘들던 성능이었으니 그렇다 치더라도, 레드불로 올라온 2014 시즌부터 마지막 해인 2018 시즌까지 한 번도 포디움에 오르지 못했다. 특히 2014년에는 2위로 피니쉬했지만 시간당 연료 유동량 100 kg을 초과하여 위반했다는 것을 이유로 경기 후에 실격당하며 트로피는 3등인 [[케빈 마그누센]]에게 넘겨줘야만 했다. 이 점에선 동향 선배 웨버와도 비슷하며 이것도 일종의 징크스라고 여겨지는 듯. [youtube(DZWrkkI8EDM, start=74)] * 2021년 1월 8일 업로드된 [[피파 온라인 4]]의 "1년 동안 오늘만을 기다렸다 21 TOTY" 광고에서 1:14초 쯤에 등장한다. 영상에서는 "[[킬리안 음바페|MBAPPE]]. Now that's speed."[* 자막에는 "음바페... 빠르단건 이런거지."라고 나왔다.]라고 발언하였다. * 엉덩이가 크다. 레드불 시절 [[애드리언 뉴이]]는 다니엘 때문에 패키징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장난스레 언급한 적이 있으며, 맥라렌 이적 후 첫 시트 피팅 시에도 맥라렌에서 미리 준비한 시트가 엉덩이에 맞지 않아 조정을 해야 했다. * [[더 그랜드 투어]]에 호버크래프트를 타는 모습으로 출연했다...가, 등장 10초만에 [[https://youtu.be/_6MKvqTCX5w|'''팬에 갈려 죽는''']] 끔찍한 결말을 맞이하고 말았다... 물론 더 그랜드 투어는 특유의 병맛 진행이 특징인 만큼 이 또한 연출된 장면. *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와 행보가 상당히 비슷하다. 리카도와 사인츠 모두 레드불 소속 팀[* 리카도는 레드불, 사인츠는 토로 로쏘.]에 있다가 르노로 옮기고, 그 다음엔 맥라렌으로 옮겼다. ~~그럼 다음은 페라리인가...~~ * || [[파일:23리카도.jpg|width=100%]] || [[파일:22리카도_hd.jpg|width=100%]] || 원래의 2023년도 프로필 사진은 시즌 중반에 들어와서 그런지 2022년도 사진의 머리를 [[닉 더프리스]]의 몸에다가 합성해놓은 사진이다. 자세히 보면 허리 쪽에 있어야 할 이름표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2022년에 깜짝 복귀를 한 [[케빈 마그누센]]도 겪었던 것이며, 마그누센은 2020년 프로필 사진의 머리가 [[믹 슈마허]]의 몸에 합성되었다. 이후 직접 슈트를 입고 사진을 제대로 찍은 후 프로필 사진이 위처럼 교체되었다. === [[벌꿀오소리|허니뱃저]]와 스마일맨 === ||[[파일:external/pbs.twimg.com/CNE8LgSWUAAFWXq.jpg]]|| || --오솔맨이 따라가고 있으니 뒤를 조심하라구!-- || [[벌꿀오소리|허니뱃저]]가 트레이드마크이다. 레드불 승격 후 호시탐탐 뒤를 노리며 기회를 엿보는 스타일, 그리고 그 스타일이 성적을 거두는 모습을 보이는 덕분에 허니뱃저의 이미지가 더더욱 그럴싸해졌다. 항상 빅 스마일로 일관하는 것으로 인해 긍정왕이라는 별명이 있기도 하다. ||[[파일:external/image3.redbull.com/cirebox-s-take-on-the-hungarian-grand-prix.jpg|width=600]]|| || 허니뱃저가 덮치기 전에 마지막으로 보이는 것.[br]'''"[[OMG]]!! 그 녀석이다!!!"''' || 유투브 포뮬러 원 애니메이션 "Los Minidrivers"에선 항상 웃는 모습으로 나온다. F1 오프닝 영상에서 모두가 진지하게 나오는 와중에 유일하게 잇몸 미소를 보이며 나온다. === 슈이 (Shoey) === [[파일:external/a.fssta.com/073116_motor_ricciardo_shoe.vadapt.664.high.35.jpg|width=600]] 포디움에만 올라가면 레이싱 슈즈에 샴페인을 담아 마시는, 일명 "슈이 (Shoey)" 퍼포먼스로 유명해지기도 했다. 요 퍼포먼스가 처음 나왔던 2016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2위로 포디움에 오른 뒤 레이싱 슈즈에 샴페인을 부어서(...) 마셨다.[* 당시에는 해밀턴과 로즈버그가 피튀기게 1, 2위를 번갈아가며 먹는 와중에 2위로 포디움에 올라 기쁜 마음에 이 퍼포먼스를 했다고 밝혔다. ~~이게 트레이드마크가 될 줄은 몰랐지~~] [[파일:external/pbs.twimg.com/Cq9UW8gWgAAJ47Y.jpg|width=600]] 그리고 본인이 마시는 것도 모자라 벨기에 GP 포디움에선 본인을 이 자리에 있게 도와준 장본인[* 웨버가 항상 자국인 호주인 드라이버가 내 뒤를 이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으며 리카도가 마침 레드불 소속인 토로 로쏘에서 달리고 있었기 때문. 이덕분인지는 몰라도 레드불레이싱이 리카도를 웨버의 후계자로 낙점했다.]이자 포디움 인터뷰 진행을 위해 출연한 [[마크 웨버|동향 선배님]]에게 [[츄라이|슈이를 잡수게 하였다...]] 나중에 웨버는 신발을 저 멀리 던져버리기도(...). 심지어 이것은 유행을 슬슬 타는지 다른 오스트레일리안 드라이버[* 미국의 인디카 시리즈의 드라이버들도 그렇고 일반 GT레이스 클래스, 심지어 모토 GP의 유일한 호주인인 잭 밀러가 첫 우승을 하고 선보이기도 하였다.]들도 포디움에만 오르면 레이싱 슈즈를 벗을 준비를 한다고 한다. ~~호주인들은 원래 샴페인을 저렇게 마시나요~~ [[파일:Lyvn9mJ.gif]] [[패트릭 스튜어트]]는 포디움 인터뷰에서, 아예 자청해서 마셨다는 듯 하다(...). --왜 사서 고생을...-- 제라드 버틀러에게도 포디움에서 샴페인을 권했다. 그러나 버틀러는 술을 안 마실거라고 얘기했는데 관중들 앞에서 '술을 안드시니 레드불 특제 드링크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나게 외치며 발을 쪼물딱 거리며 신발을 주섬주섬 벗는 모습을 보이는 건 덤.][* 이 문서를 읽은 사람이라면 당연히 저 레드불 드링크가 뭔지 알 것이다....]라고 훼이크를 쳤다. --그 말을 할 때 옆에 있던 해밀턴 붙잡고 F워드를 외치며 당황하는 모습이 압권, 심지어 해밀턴은 손사래치며 도망가려고 했다-- 2018년 모나코에선 염원하던 우승을 차지했고 모두들 그의 화끈한 슈이가 나올 거라 예상했다. 여기서 한 술 더떠 크리스티안 호너는 모나코 국왕인 [[알베르 2세(모나코)|알베르 공]]에게 슈이를 먹이자는 ~~섬뜩한~~ 제안을 했는데[* 팀 라디오로 얘기했지만 ~~당연히~~ 편집되었다.] 리카도는 슈이를 하긴 했으나 ~~진짜로 먹이면 잡아 죽이려던 근위병들을 뒤로 하고~~ 알베르 공에겐 점잖게 목례만 하고 [[애드리언 뉴이]]에게 대신 슈이를 먹였다. ~~지못미~~[* 그 대신 자신의 샴페인 병을 알베르 공에게 건네주고 알베르 공은 그걸 받아 마시면서 리카도의 우승을 축하했다.] 르노 소속으론 포디움에 오를 기회가 없어 슈이를 하지 못하다가, 2020년 아이펠 그랑프리에서 포디움에 오르며 많은 팬들이 슈이를 기대하였으나 포디움에선 보여주지 못하고[* 경기 후 인터뷰에서 왜 슈이를 안했냐는 질문에, "오...! 새까맣게 잊고 있었어요!"라고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며 본인이 슈이를 하는 것을 잊어버렸다고 답했다.] 개인 인스타그램으로 보여주었다. 하지만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에서 3위를 당당하게 차지했고, 이번에는 친히 마스크를 벗고 화끈하게 슈이를 해주셨다.[* 같이 포디움에 오른 [[루이스 해밀턴]] 역시 자신이 자청해서 슈이를 마셨다.] 여담이지만 한국에서는 이걸 하는 사람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2021년 9월에 열린 슈퍼레이스 강원국제모터페스타 대회 중 특별히 열린 포뮬러 클래스에서 우승한 지젤킴 선수가 이걸 '''처음으로 했다.''' 2021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면서 정말 간만에 슈이를 선보였는데, 이때는 2위를 차지한 팀메이트 [[랜도 노리스]]가 슈이를 나눠받았고[* 노리스는 마시긴 했지만 차마 모두 삼키진 못했는지 조금 뱉어버렸다.] 잭 브라운도 직접 슈이를 따라주고 같이 마시며 축배를 들었다. 역시 호주 출신인 [[UFC]]의 [[타이 투이바사]]도 승리 후 해당 세리머니를 한 적이 있다. [[분류:호주의 포뮬러 1 드라이버]][[분류:1989년 출생]][[분류:퍼스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분류:스쿠데리아 토로 로쏘-스쿠데리아 알파타우리/은퇴, 이적]][[분류:레드불 레이싱/은퇴, 이적]][[분류:르노 F1 팀-알핀 F1 팀/은퇴, 이적]][[분류:맥라렌 F1 팀/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