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헤이룽장성의 행정구역]][[분류:중국의 지구]][[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헤이룽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000,#ddd 헤이룽장성}}}]]의 지구'''}}} || ||<-3> {{{#ff0 '''{{{+1 [ruby(大兴安岭, ruby=Dàxìngānlíng)][ruby(地区, ruby=dìqū)] | ᠠᠮᠪᠠ᠋ ᡥᡳᠨ᠋ᡤᡤᠠᠨ ᠵᡠᡨ᠊ᡠᠨ}}}'''[br]다싱안링지구 | Daxing'anling Prefectur[br]Округ Да-Хинган-Лин}}}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大兴安岭地区,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행정공서 소재지}}}''' || [[헤이룽장성]] 다싱안링지구 자거타치구[br]징관다다오1호[br]黑龙江省大兴安岭地区加格达奇区[br]景观大道1号 || ||<-2> '''{{{#ffff00 지역}}}''' || [[둥베이]] || ||<-2> '''{{{#ffff00 면적}}}''' || 83,000㎢[* [[헤이룽장성]] 영역 64,800㎢, [[내몽골 자치구]] 영역 18,200㎢. 다싱안링지구 자체는 헤이룽장성 소속 행정구역이지만 정작 다싱안링지구 내 현급행정구는 내몽골 소속도 존재한다.]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4구 1현급시 2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331,276명^^(2020)^^[* [[http://www.dxal.gov.cn/publicity_zfxxgk/fdzdgknr/tjxx__xxgktjsj/14079|출처(다싱안링지구 행정공서)]]] || ||<-2> '''{{{#ffff00 인구밀도}}}''' || 3.99명/㎢ || ||<-2> '''{{{#ffff00 서기}}}''' || 쉬샹궈(徐向国) || ||<-2> '''{{{#ffff00 전원}}}''' || 판칭화(范庆华)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2억 3,171만^^(2020)^^ || || '''{{{#ffff00 1인당}}}''' || $12,379^^(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없음 || || '''{{{#ffff00 시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黑P'''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兴'''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23'''27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457''' || ||<-2> '''{{{#ffff00 우편번호}}}''' || '''165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L-27''' ||}}}}}}}}} || ||<-3> [[http://www.dxal.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헤이룽장성]]의 최북단에 위치한 지급 [[구(행정구역)|행정구]]. 중국 최북단인 헤이룽장성에서도 가장 북쪽에 위치해, '''중국 전체에서 최북단에 위치한 지역이다.[* 다싱안링지구에서 최북단에 위치한 모허시의 위도는 북위 53° 33′이다.]''' 지명인 '다싱안링'은 이 지역을 지나는 산맥인 [[다싱안링 산맥]]에서 유래하였다. 동쪽으로는 샤오싱안링 산맥(小兴安嶺山脈)과 접하고 서쪽은 다싱안링 산맥(大兴安岭山脈)과 [[내몽골 자치구]]와 맞닿아 있으며, 남쪽으로는 쑹넌 평원(松嫩平原), 북쪽은 [[아무르강]]을 너머로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중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지역이니만큼 중국에서 가장 추우며, 이로 인해 중국에서는 '''‘선저우 북극(神州北极)’'''이라는 별칭으로도 부른다. 참고로 이 선저우 북극은 현재 중국 최북단 공원의 공원명으로 채택되었고, 이 선저우 북극이 위치한 마을명도 여기에 맞춰서 베이지촌(北极村)으로 개칭하였다. 개명 전 명칭은 모허촌(漠河村). == 역사 == 기록상으로는 과거 [[요나라]]와 [[원나라]]가 통치하였으나, 말이 통치였지 실제 이 지역은 매우 척박하고 삼림이 우거진 지역이었기에 그냥 방치한 땅이나 다름없었다. 이후 원나라가 붕괴하면서 [[중국]]의 통치에서 벗어나 [[여진족]]을 비롯한 북방 유목민족의 거주지로 변하였으며, [[청나라]] 대에 들어서 다시 중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중국의 영토로 편입되었지만 역시 그 척박함 덕분에 청말 [[틈관동]] 시기에도 이 지역은 한족의 이주는 커녕 그냥 사람 자체가 거의 없는 땅으로 남았으며, [[만주국]] 시기에 [[관동군]]이 만주를 개발할 당시에도 이 땅은 그냥 삼림으로 남았다. [[1964년]],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다싱안링특구(大兴安岭特区)'''를 발족시켜 행정구역을 독립시키고 [[중국 인민해방군|군]]을 배치하는 동시에 입간 기업도 설치하여 임간부 산하 다싱안링 임업관리국(大兴安岭林业管理局)을 설치하고 개발에 나섰다. [[1980년]], 본래 [[내몽골 자치구]]와 [[헤이룽장성]]의 공동관할구였던 다싱안링지구가 헤이룽장성에 완전히 편입되었다. == 기후 == [[중국]] 전체에서 최북단에 위치한데다 바다와 접하지 않은 내륙 지역이라 중국에서 가장 혹독한 날씨를 보인다. 다싱안링지구에서 가장 북쪽 끝에 위치한 모허시는 연평균 기온 -5.5℃, [[1월]] 평균 기온 -30.9℃에[* 심지어 [[1965년]] [[12월]] 모허에서 '''월평균 기온'''이 무려 '''-35.3℃'''를 기록하여 역대 가장 낮았다. 즉 [[한반도]]에서 가장 추운 [[중강군|중강]], [[삼지연시|삼지연]], [[개마고원]] 일부 지방의 최저 기온에서나 볼법한 -35℃ 기록이 최저 기온도 아닌, '''월평균 기온으로 기록된 것이다.''' 이는 한반도에서는 아무리 기록적인 [[한파]]가 올지라도 절대로 기록할 수 없는 엄청난 수치이다. 당장 한반도의 역대 최저 월평균 기온은 [[1922년]] [[1월]] [[중강군|중강]]의 -26.6℃이다.], 역대 최저 기온은 [[2023년]] [[1월 22일]]에 기록된 '''-53.0℃'''이다. 이견의 여지없이 '''[[동아시아]]에서 가장 추운 곳'''이다. 최난월인 [[7월]] 평균 기온은 18.4℃로 우리나라 기준으로는 시원하지만 [[한반도]] 내 최한지인 [[삼지연시|삼지연]]보다는 오히려 높은데, 이로 인해 연교차가 매우 큰 편에 속한다. 역대 최고 기온은 36.3℃로 역대 최저 극값과 최고 극값이 '''90℃ 가까이''' 벌어지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431mm로 매우 적어, [[비(날씨)|비]]가 많이 내리지 않고 [[눈(날씨)|눈]]도 매우 적게 내리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를 띈다. == 교통 == 이자 철도(伊加铁路)와 넌린 철도(嫩林铁路)가 다싱안링지구를 관통한다. 인구가 거의 없는 지역이기에 [[고속철도]]는 요원하며, 재래선만 지나간다. [[공항]]은 2개가 존재하는데, 행정공서 소재지인 자거타치구에 다싱안링 어룬춘 공항(大兴安岭鄂伦春机场)이 존재하고 또 하나는 최북단 모허시에 모허 구롄 공항(漠河古莲机场)이 위치한다. 이 둘 모두 국내선 전용이며, 어룬춘 공항은 [[하얼빈 타이핑 국제공항|하얼빈]] 및 모허로만 취항하고 구롄 공항은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베이징]],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선전]]으로도 취항한다. == 경제 == 인구가 너무 적어 공단이나 산업단지는 없고, 대부분의 경제가 [[농업]]에 의존한 형태로 운영된다. 또한 기후가 너무나도 척박하여 [[쌀]]이나 [[밀]] 등의 곡물 농업은 거의 불가능하고, 주로 [[옥수수]] 및 [[감자]]가 재배된다. 또한 이 지역은 삼림지구인 만큼 삼림 자원이 풍부하여 [[임업]] 또한 다싱안링의 주요 돈줄로 작용한다. [[산업#s-2.2|2차산업]]은 최근 들어서 개발되는 중인데, 주로 [[광업]] 및 식품가공업 위주로 발전하는 편이다. 또한 최근 [[중국]]은 다싱안링에 [[발전소]]의 건설도 잇따라 추진 중이다. [[관광업]]도 나름 주요 돈줄인데, [[중국/환경오염|환경오염이 심각한 중국]]에서 몇 안 되는 청정 지역인데다가 원시림이 거의 훼손되지 않고 남아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도 거의 안 사는 곳에 [[공항]]이 2개나 위치해 있다. [[나선정벌]]이 일어난 지역이기 때문에 나선정벌 유적지인 아커사 고전장 유지(雅克萨古战场遗址)를 관광지화하여 개방 중이기도 하다. == 군사 == 북부전구육군 제 326 국경경비여단 일부가 주둔해있다. == 행정구역 == 자거다치구와 쑹링구는 [[내몽골 자치구]] 영역에 속한다. * 자거다치구 * 쑹링구 * 후중구 * 신린구 * 모허시 * 후마현 * 타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