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000,#dddddd '''{{{+1 다이노 타임}}}''' (2012)[br]Back to the Jurassi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ce7847db1dad664892421798b12842913a63cb3fa1e0b5ae1558955898d9e629.jpg|width=100%]]}}} || ||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코미디, 가족 || || '''감독''' ||최윤석, 존 카프카 || || '''각본''' ||애덤 비첸(Adam Vichen), 박재우|| || '''제작''' ||데이빗 러브그린 || || '''기획''' ||로버트 아브라모프 || || '''음악''' ||스티븐 바튼 || || '''편집''' ||데이비드 배런 || || '''주연''' ||파멜라 애들론, [[타라 스트롱]], [[유리 로웬탈]] || || '''제작 기간''' ||2008년 ~ 2012년 || ||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토이온 || ||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리아드 픽쳐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 ENM MOVIE]] || || '''개봉일'''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0]] [[2012년]] [[11월 30일]] [br]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2012년]] [[12월 7일]] [br]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2013년]] [[1월 31일]] [br]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0]] [[2013년]] [[2월 8일]] [br]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0]] [[2013년]] [[5월 23일]] [br][[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0]] [[2013년]] [[6월 13일]] [b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2013년]] [[7월 4일]]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2013년]] [[8월 1일]] [br]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0]] [[2013년]] [[8월 30일]] [br] [[파일:페루 국기.svg|width=2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0]] [[2014년]] [[1월 16일]] [br]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0]] [[2014년]] [[3월 28일]] [br] [[파일:칠레 국기.svg|width=20]]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0]] [[2014년]] [[7월 3일]] [b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0]] [[2014년]] [[8월 28일]] [br]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0]] [[2014년]] [[9월 18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4월 30일]][br]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0]] [[2015년]] [[5월 14일]] [br]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0]] [[2015년]] [[6월 4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5년]] [[6월 9일]] || || '''화면비''' ||1.78:1[* 3D 상영 비율은 1.85:1] || || '''상영 시간''' ||85분 || || '''제작비''' ||'''163억 원(1500만 달러)''' || || '''월드 박스오피스''' ||'''$6,423,279(63억 원)''' || || '''북미 박스오피스''' ||'''$4,351'''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85,084명 || || '''스트리밍''' ||(티빙)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68654?utm_source=Daum&utm_medium=Organic&utm_campaign=SERP |▶]](웨이브)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EN01_EN000000276|▶]] || || '''상영 등급'''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MbtgjbCMD2c)] 한국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토이온>에서 제작한 3D 애니메이션이다. 한국에서 흔하지 않게 해외 배급을 목표로 한 글로벌 장편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에는 2015년 4월 30일, 미국에는 2015년 6월 12일에 개봉했다. '''총 제작비는 160억 원에 육박하는 초 거대 자본 애니메이션이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기념비인 [[마당을 나온 암탉]]의 3배가 넘고, 화제가 된 [[너의 이름은.]]의 5배 이상, 천만 관객을 돌파한 [[겨울왕국]]의 1/10 수준이다.[* '마당을 나온 암탉' 과 '너의 이름은.' 은 대규모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치고 경제적인 제작비로 유명하다.][* 물론 해당 애니가 그 정도의 자본을 들였을지는 추측이고 실제 들어간 돈은 얼마인지 확인할 길이 없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k2zeby&logNo=220800564596&proxyReferer=|#]] 이 글을 참조해 봐라.] === 줄거리 === >쉿! 엄마 아빠한테는 비밀! 상상초월 다이노 패밀리가 찾아온다! > >말썽꾸러기 삼총사 어니, 맥스, 줄리아는맥스 아버지의 비밀 작업실에서 알 모양의 타임캡슐을 건드려 1억년 전 공룡세계에 도착하게 된다. > >하필 그들이 도착한 곳은 무시무시한 [[티라노사우루스]] '타이라'의 둥지 속. '타이라'는 말썽꾸러기 삼총사를 아기 공룡으로 착각하고 '타이라'의 알을 노리는 알 도둑 공룡들은 타임캡슐을 훔치려 하는데... > >다이노 패밀리와 함께 짜릿한 공룡시대로의 환상적인 모험이 시작된다! - [[네이버 영화]] == 등장인물 == * 어니 - [[주인공]]. 성우는 [[우정신]]. 본작의 주인공으로 말썽꾸러기이며 친구인 맥스가 개조한 자신의 스케이트보드를 타고다닌다. 동생인 줄리아가 자신이 사고치고다닌것에 대해 고자질하는것에 짜증과불만을 호소하는 편이다. * 타이라 - 제 2의, 그리고 본작의 메인 히로인으로 [[분홍색]]의 피부를 가지고 있는 티라노사우루스. 성우는 [[최정현(성우)|최정현]] 처음, [[공룡시대]]로 떨어진 어니 일행을 자신의 새끼로 착각해 그들을 보호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 사르코 형제를 쓰러뜨린다. 이쯤 보면 [[투희]] 계통일지도? * 줄리아 - 제 1의 [[히로인]]. 성우는 [[이재현(성우)|이재현]].어니의 [[여동생]]으로, 어니와 달리 [[금발벽안]]을 지니고 있다. 능동적인 성격이라고 한다. * 맥스 - 어니의 [[친구]].성우는 [[이지현(성우)|이지현]]. [[안경 캐릭터|안경을 끼고 있다.]] 평소에는 다른애들한테 괴롭힘을 당하는 편이지만 ~~ 제2의 [[밀하우스]] ~~[* 실제로 [[밀하우스]]는 찌질한 바보에 비해 맥스는 똑똑한 편이다] 이걸 어니가 목격하게되면 바로 구해주는듯 하다. 아버지와 똑같이 발명가 기질이 있다. *수 - 어니와 줄리아의 [[엄마]]. 성우는 [[최정현(성우)|최정현]].[* 타이라와 중복캐스팅이다.]항상 잔소리가 많으며 어니는 사고치고 줄리아는 그걸 고자질하는 면에서 규정을 세우고 영화 초반에는 최고의 어머니상 시상식에 나오기까지 하는 대단한 어머니이다. *다져 - 타이라의 첫자식. 정확히는 입양자식이며 모티브는 시조새의 일종이 아닐까 싶다. 성우는 [[엄상현]]. 항상 장난끼가많으며 시간을거슬러온 어니일행을 동생으로보고 동생들과 놀아주는 형제애도 있는 모양이다.영화 마지막에는 시간여행 자동차에 몰래탑승한채 어니일행이 사는 현재시대로 함께 돌아간다. *사르코 - 본작의 최종보스로 성우는 [[시영준]]. 자신을 추방한 타이라를 저주하며 위압감이 장난이 아닌 사르코스쿠스다. *디에고 - 어니의 친구 맥스의 아버지로 ~~이번사태를 일으킨 만악의 근원~~ 성우는 [[홍진욱]].[* 사르코의 동생인 설리와 중복이다.] 타임머신 개발중이며 공룡에 관심이 큰 발명가이다. 자식인 맥스가 어니와함께 사고치거나 휘말려도 수 에비해 화를 별로안내는 편이며 벌을 준다해도 간단한 집안일을 하게 하는걸로 끝내는편인듯 하다. == 흥행 == [include(틀:한국 애니메이션 영화 역대 박스오피스)] 한국에서는 913개관에서 상영되었으며, 상영횟수는 6,780회이며, 누적매출액은 2,111,126,800원(21억)이며, 배급비 차감후 추정수익은 약 7억 원, 누적관객수는 285,084명이다. 국내에서 100% 충당한다고 쳤을 때 500만 명은 넘게 봐야 [[손익분기점]]을 넘기고 흥행에 성공했다 볼 수 있으므로, 흥행 면에서 참패했고 137억원 정도의 손실을 보았다. [[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한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공룡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