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card10016472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다크 그레퍼, 일어판명칭=ダーク・グレファー, 영어판명칭=Dark Greph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700, 수비력=16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는 패에서 레벨 5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에서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제한 카드)] TCG에서 이벤트 카드로 첫 등장한 [[전사 다이 그레퍼]]의 [[다크화]] 버전. ①의 효과는 레벨 5 이상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패에서 버리고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룰 효과|소환 룰 효과]]. 패에서 버리는 카드가 한정되어 있다보니 사용할 수 있는 덱이 한정되지만, 묘지의 어둠 속성 몬스터 수를 조정하면서 자신도 총공격의 전력으로 참여하거나 각종 소재로 써먹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되도록 [[체스 데몬#프리즌 퀸 데몬|프리즌 퀸 데몬]] 등 묘지에 두는 게 더 나은 고레벨 몬스터를 버리는 것이 좋겠다. ②의 효과는 패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 삼아 덱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덤핑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 유사 효과를 가진 [[종말의 기사]]와 비교하자면, 하급치고는 안정적인 능력치에 묘지 덤핑 속도, 필드에 남기만 한다면 여러 번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점, 기동 효과라 발동 타이밍을 가릴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반면 몬스터 효과 발동에 패 코스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드밴티지 소비가 심하다는 점, 발동 전에 제거당할 위험성이 있다는 점에서 밀린다. 이처럼 일장일단이긴 하지만 어둠 속성 중심에 묘지 자원 채우기가 중시되는 덱이라면 둘 다 같이 써줄 수 있다. 이처럼 원조 다이 그레퍼와 비교하면 독보적으로 향상된 활용도를 자랑한다. 파격적인 묘지 덤핑 능력 덕분에 어둠 속성 몬스터를 고속으로 묘지로 보낼 수 있으며, 특히 이 카드 1장을 특수 소환한 후에 효과를 써서 묘지에 어둠 속성 몬스터 3장을 채우면 1턴만에 [[다크 암드 드래곤]]이 튀어나온다. 다크 암드 드래곤 외에도 [[다크 크리에이터]]나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 [[암령신 오블미라지]] 등의 다크화 몬스터를 주축으로 한 덱에선 전략의 중심으로 활약이 가능하다. 대부분이 어둠 속성인 [[인페르니티]] 덱에서도 순식간에 패를 있는 대로 다 묘지에 쑤셔넣고 묘지에 인페르니티를 마구 쌓을 수 있어 편리하다. [[데스티니 히어로]] 덱에서도 데스티니 히어로 디바인 가이의 효과 발동 조건인 패 0장 덕분에 덤핑 효과가 도움이 된다. 특히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와 [[데스티니 히어로 도그마 가이]]가 있다보니 자체 특수 소환 효과도 쓸 수 있다. 종족 / 속성 / 레벨도 데스티니 히어로 쪽에 도움이 되기에 호궁합이다.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와 [[좀비 캐리어]]를 묘지에 보낸 후에 둘 다 자신 효과로 소생시켜서 순식간에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TCG에선 다크 워리어 계열 덱에서 핵심 카드로 활약한 것 때문에 2019년 1월 28일에 제한 카드가 됐다. OCG에선 [[오르페골]]에 용병으로 불려다니다가 2019년 7월에 준제한, 오르페골의 약화 이후 2021년 1월에 다시 무제한 카드가 됐다. [[전사 다이 그레퍼]]가 [[다크화]]했다는 설정이지만, 다른 타락 버전인 [[다크 루시어스]]와의 연관성은 불명. [[츠쿠모 유마/덱#본즈 오브 라이벌|본즈 오브 라이벌]]이나 [[고통의 선택#고통의 전생|고통의 전생]], [[이차원의 해후]] 등의 일러스트를 봐도 여러모로 복잡한 사정이 있는 모양이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NEXT]]의 어드벤처 모드 4-1에서는 [[황야의 여전사]]와 [[이차원의 여전사]]와 함께 표적으로 다루는 몬스터로 등장. 승리하면 [[전사 다이 그레퍼]]를 도우미 몬스터로 입수할 수 있다.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08-01-2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TDN-ENSP1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Sneak Peek Participation Car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8-02-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TDN-EN000 | [[환영의 어둠|Phantom Darkn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0-07-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TU03-EN001 | Turbo Pack: Booster Thre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2-05-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6-EN058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6b]]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2-09-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YW-EN208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 ||<(> 2017-01-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PD-EN017 | [[펜듈럼 도미네이션|Pendulum Domination Structure Deck]] || ||<(> 2018-05-2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ASA-EN042 | [[다크 세이비어즈|Dark Savio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8-09-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XP1-JP023 | '''[[엑스트라 팩|EXTRA PACK]]''' || ||<(> 2016-03-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12-JP008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エクシーズ始動!!-]]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6-03-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30-JP017 | [[펜듈럼 도미네이션|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ペンデュラム・ドミネーション-]] || ||<(> 2019-07-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9SP-JP603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9-09-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XP1-KR023 | '''[[엑스트라 팩]]''' || ||<(> 2014-07-0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E05-KR009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4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6-03-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30-KR017 | [[펜듈럼 도미네이션|스트럭처 덱 - 펜듈럼 도미네이션 -]] || == 관련 카드 == === [[전사 다이 그레퍼]] === === [[라이트레이 그레퍼]] === === [[카오스 그레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