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890_1.jpg]] || 한글판 명칭 ||||||||'''다크 버그'''|| || 일어판 명칭 ||||||||'''ダーク・バグ'''||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어둠]] || [[곤충족]] || 100 || 100 ||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시,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벨 3의 튜너 1장을 선택해 자신의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묘지에 레벨 3 튜너만 있으면 즉석에서 레벨 4 싱크로 소환할 수 있는 카드. 다만 레벨 3 한정이라 소생 범위가 좁고 레벨 4 싱크로 몬스터가 적은 것이 단점. 다른 소재 몬스터를 미리 준비해서 레벨 4 이상의 싱크로 소환을 노리는게 좋다. 아쉽게도 본인은 튜너가 아닌 관계로 [[대저의 아라크네]]를 싱크로 소환할 수는 없다. [[곤충족]]이니까 싱크로 소재가 되는것은 가능하지만, 유일하게 어둠 속성 곤충족 튜너인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비틀]]을 못 부르고 레벨도 부족하다. 대신 [[나츄르|나츄르 버터플라이]]와 [[렉스 고드윈|붉은 개미 아스카틀]]은 부를 수 있기 때문에 곤충족 싱크로 소환 덱이라면 채용하기는 쉽다. 종족을 신경 안 쓰고 사용한다면 소환할 만한 레벨 3 튜너는 넘쳐난다. 특히 [[정크 싱크론]]과는 '''어느 쪽이든 먼저 묘지로 간 쪽을 서로가 소환 가능'''해서 어떤 의미로는 단짝. 레벨 4 싱크로 몬스터로는 무난한 [[암즈 에이드]]를 꺼내도 되지만 [[칠흑의 줌발트]] 쪽이 제법 쓸만하다. 칠흑의 줌발트를 채용한다면 어둠 속성 레벨 3 튜너가 필요한데 정크 싱크론 말고도 [[BF-질풍의 게일]]이나 [[블랙 봄버]]등 유용한 카드는 많다. 특히 [[사이버 다크]] 덱에 넣을 경우 묘지의 [[드래그니티-파랑크스]]를 하급 사이버 다크가 소환해서 레벨 6 싱크로 소환, 그 하급 사이버 다크를 블랙 봄버가 소환해서 레벨 7 소환, 그 블랙 봄버를 다크 버그가 소환해서 레벨 4 싱크로 소환을 하는 진풍경을 연출할 수 있다. 뭐 보통은 블랙 봄버까지만 써도 자리가 꽉차서 이 카드까지 넣지는 않지만. 원작 사용자는 [[잭 아틀라스]]. [[후도 유세이]]와의 연습 듀얼에서 [[스워드 마스터]]를 소생시킨 후, [[트윈 브레이커]]와 함께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다. 원작에서는 레벨 제한이 없었다. 짝퉁 잭과의 2번째 듀얼에서도 함정 카드 [[레이 오브 호프]]로 짝퉁 레드 데몬즈 드래곤 3장의 다굴을 견딘 후에, 레이 오브 호프의 효과로 특수 소환. 다음 턴에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같이 [[세이비어 데먼 드래곤]]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되었다. 일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몸통이 폴리곤처럼 되어있어 순수한 곤충이라기보다는 왠지 컴퓨터의 버그를 연상케 한다. 일종의 말장난이 약간 들어간 듯. [[분류:유희왕/OCG/곤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