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야수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arkZebra-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다크 제브라'''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ゼブラ'''|| || 영어판 명칭 ||<-4>'''Dark Zebra'''||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는 4.] || 숲마족 || [[야수족]] || 1800 || 400 || ||<-5>그 줄무늬를 고속으로 움직여 상대를 번롱시켜 쓰러뜨려버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yugioh-kaitori.com/DL1-068.jpg]] || 한글판 명칭 ||<-4>'''다크 제브라'''||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ゼブラ'''|| || 영어판 명칭 ||<-4>'''Dark Zebra'''||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 || [[야수족]] || 1800 || 400 || ||<-5>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자신이 컨트롤하는 몬스터가 이 카드뿐일 경우, 이 카드는 수비 표시가 된다. 그 턴에 표시형식은 변경할 수 없다.|| 일본에서는 [[파라오의 사도]], 국내에서는 [[마법의 지배자]]에서 발매된 하급 효과 몬스터이다. 특정 조건 하에 자신을 수비 표시로 바꾸고, 표시 형식 변경을 봉인하는 [[유발효과]]를 가졌다. 머리에 [[뿔]]이 달린 [[얼룩말]]의 형상을 하고 있다. 수비 표시가 되는 디메리트는 자신의 스텐바이 페이즈에 발동하기 때문에, 공격해도 상대 턴에는 계속 공격표시를 유지하고 있다. 디메리트가 발동되는 타이밍이 늦으니까 큰 문제는 없는 셈. 여차하면, 메인페이즈 2에 [[싱크로 소환|싱크로 소재]] 또는 [[엑시즈 소환|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면 그만이다. 발매 당시에는 2기까지 야수족 하급 몬스터 중에서 공격력이 가장 높았다. 당시에는 [[쌍둥이 자매 엘프]], [[블러드 볼스]], [[메카 헌터]] 등이 활약하고 있었기에 이 카드가 나설 자리는 거의 없었지만 이들을 입수하기 힘들어서 이 카드라도 쓰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 레어도가 낮은 하급 어태커이면서 디메리트도 비교적 가벼운 [[번개낭랑]]이 등장했으며, 3기에 들어서는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4#그레이트 앵거스|그레이트 앵거스]], [[분노 유인원]]이 등장하면서 야수족 몬스터로서도 채용하는 의의를 상실하고 말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54화에서 [[카이바 세토]]가 듀얼로보와의 테스트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사이버 포드]]의 효과에 의해 특수 소환 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마하 바일로]]와 함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특수 능력을 발동시키기 위한 제물이 되었다. 참고로, 여기서는 수비력이 1000으로 잘못 표기되었다. 또한 88화에서는 [[구울즈]]의 일원이 [[라의 익신룡]] 레플리카의 소환을 위해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나온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마법의 지배자|Pharaoh's Servant- ファラオのしもべ -]] || PS-3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DUELIST LEGACY Volume.1 || DL1-068 || [[노멀]] || 일본 || ||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 SRL-EN08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마법의 지배자]] || SRL-K08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