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참전 캐릭터)] [[파일:smash_18drmario.png|width=400&align=right]] [목차] == 개요 == >[[1990년]]에 발매된 [[닥터마리오|액션퍼즐 게임]]에 나오는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그때까지의 모험가 스타일에서 돌변해, 흰 가운을 몸에 두른 [[의사]]의 모습으로 등장하였다.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스매시브라더스]]에서는 캡슐 알약을 던지고, 하얀 시트로 상대의 공격을 반사시키는 만능형 파이터.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보통의 마리오]]보다 무겁고 느리지만, 그만큼 기술들의 파워가 강력하다.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WiiU]] 피규어 설명 (비공식 번역) >'''캡슐의 탄막 / カプセルの弾幕 / The Prescriber / Fists Full of Medicine''' >---- >링네임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닥터마리오]]에 관해 서술하는 문서. 닥터마리오는 마리오보다 진중한 성격으로 정했는지 마리오는 보이스가 있는 일부 기술을 사용할 때 목소리가 나오지 않으며, 어필도 동작이 작고 표정 변화도 적다. 또한 바지가 흰색이 아닌 어두운 회색이다. == 상세 == === 성능 === 기술 배치는 마리오와 비슷하지만 공격력과 결정력이 더욱 증가한 버전으로, 높은 공중 기동력과 빠른 프레임, 균형 잡힌 기본기 등을 앞세워 콤보로 승부를 보는 일반 마리오와 달리, 기동력과 콤보 능력을 포기한 대신 전반적인 기술의 위력을 높이고, 일부 기술의 판정이 변형된 반격 위주의 설계를 부여받아 원본 마리오와는 상당히 다른 플레이를 할 수 있다. ||<:> '''장점'''||[br] * '''강력한 화력과 우수한 결정력''' 체격과 어울리지 않는 대량의 고화력 기술로 누구보다 빠르게 처치를 따낼 수 있다. 타 헤비 캐릭터와 확실하게 차별되는 필살기의 유틸성이 이 점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데, 필살기에 원거리 견제기와 장풍 반사기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굳이 진입하지 않아도 상대가 공격하러 오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받은 상대가 닥터를 공격하러 다가오면 오히려 위 필살기나 뒤 던지기를 맞고 어디론가 사라진다. * '''근접 상황의 압도적인 우위''' 마리오의 공격 속도에 더불어 강력한 대미지 축적 능력까지 얻은 닥터마리오는 상대가 사거리 안에 들어오는 순간 원본 마리오보다도 위협적인 캐릭터가 된다. 이동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공격적인 접근은 어렵지만, 반격 중심의 심리전에 능한 설계 덕에 한 번 기회가 생기면 중간에 상대가 빠져나오지 않게 적은 횟수의 공격으로 빠르고 확실하게 최대 화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일반 필살기 캡슐은 마리오의 파이어볼과는 다르게 PSI 마그넷 등의 흡수 기술로 무마할 수 없기 때문에, 상대에게 접근을 강요하는 동시에 닥터의 주 플랜인 심리전 상황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 '''쉬운 난이도''' 한계가 명확한 캐릭터가 다 그렇듯 반대급부로 입문 난이도는 높지 않은 편. 숙지해야 할 콤보도 몇 개 없고, 맞을 것을 각오하고 공격적으로 나와야 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멀리서 캡슐로 니가와를 시전하며 피해를 누적하다가 다가오는 상대의 공격을 막고 일반 기술이나 위 필살기로 반격하는 간단명료한 운영이 가능하다. 당연히 상위권에서는 도태되지만, 상대도 나도 콤보 관련 지식이 적은 중하위권까지는 오히려 원본 마리오보다도 크게 활약할 수 있다. [br]|| ||<:>'''단점'''||[br] * '''낮은 복귀력''' 장점만 보면 여타 헤비 캐릭터의 완전한 상위호환임에도 불구하고 티어리스트가 나왔다 하면 만년 최하위권인데, 그걸 '''[[리틀맥(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복귀력 하나가 죄다 말아먹었기 때문이다]].''' 점프력도 하위권인데 복귀기 두 개가 모두 이동 거리가 짧고, 전술한 모든 기술을 동원해야 하는 특성상 복귀 속도가 느려터져서 올라오다 맞고 무력하게 떨어지는 일도 잦다. 점프를 포함한 생존기 세 개 중 하나라도 빠지면 이미 빈약한 생존력이 급감한다.[* 보통 닥터마리오 유저들은 날아가자마자 공중 회피를 해서 이동하고 닥터 토네이도로 고도 조절이후 점프로 한 번 더 고도 조절을 하고 위 필살기를 써서 올라가는 방식으로 복귀를 하는데 이동기란 이동기를 모두 동원하는 특성상 복귀 속도가 심하게 느려터져서 또 얻어맞고 날아가서 죽는 경우가 허다하다.] * '''짧은 리치''' 옆 스매시는 원본 마리오보다도 짧으며, 판정 범위가 좁은 데 더해 자체 기동력이 모자라서 검사 캐릭터나 니가와 캐릭터를 상대하는 것도 매우 피곤하고 짜증나는 일이다. 이들은 리치도 길고 판정도 매우 넓으면서 무기를 사용해서 공격하는데, 스매시브라더스는 무기에 피격 판정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과 닥터마리오가 동시에 공격하면 피격판정을 함께 내미는 닥터마리오가 무조건 판정에서 밀리기 때문. 캡슐의 니가와 성능이 출중한 것은 맞지만, 이것은 알약의 궤도와 긴 경직 때문이지 피해량이 높아서가 아니기 때문에 중거리 맞공격이 들어오면 캡슐은 소멸하고 닥터는 그대로 맞게 된다. * '''낮은 기동력''' 지상 기동성은 전체 중 77위, 공중 기동성 또한 전체 중 76위로 둘 다 최하위권에 속한다. 이는 상대가 가주지 않으면 닥터마리오는 너무나도 쉽게 무력화된다는 뜻으로 캡슐을 통한 니가와 및 반격 위주의 플레이를 하도록 강요하게 하는 요소가 된다. 이 점은 정말로 게임 내내 닥터를 괴롭히는데, 적극적인 거리 조절이 어려우니 보통 상대가 공격 주도권을 잡고 있는 일이 많고 스테이지 복귀는 물론이고 눈앞의 상황을 수습해야 하는 열세 상태, 심지어는 상대를 추격해야 하는 콤보 구사에서까지 발목을 잡는다. [br]|| 즉 이론상으로만 강력한 캐릭터. '느린 대신 맞혔을 때의 피해량이 높다'고만 하면 잘 체감이 안 되지만, 이 설계에는 실제로 공격이 들어가기까지의 과정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치명적인 오류가 있다. 마리오가 헤비 캐릭터가 되었다는 말은 바꿔 말하면 기동력도 생존력도 모자란데 여기에 리치까지 짧다는 말도 되며, 과정이 부실하기 때문에 실제로 해 보면 장점인 화력은 구경할 새도 없이 맞기만 하다가 복귀 방해로 비명횡사하는 일만 반복되기 십상이다. 그리고 대충 눈치 챈 사람도 있겠지만 닥터마리오의 장점과 단점은 [[로이(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로이]]와 매우 비슷하다. 거기다 둘 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DX]]에서 처음 참전했고, 각각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마르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르스]] 의 클론 캐릭터였으며, 이후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X]]에서 잘렸고, [[대난투 4|4편]]에서 다시 복귀했다. 심지어는 둘 다 오리지널보다 무게가 무거워지고 복귀력이 낮아진 대신에 결정력이 강해진다. 참 묘한 공통점. 차이점이 있다면 로이는 원본보다 속도가 빨라졌지만, 닥터마리오는 원본보다 속도가 느려졌다는 것. == 기술 일람 == === 지상 공격 === * 약한 공격 공식 명칭 '''ジャブ(잽)→ストレート(스트레이트)→けりあげ(발차기)'''.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펀치 펀치 킥으로 이어지는 간단한 콤보이며 위력이 좀 더 강하다. 딜레이가 빨라서 무난하게 쓸 수 있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2.9 + 1.7 + 4.7%로 총 합계 시 9.4%. * 대시 공격 공식 명칭 '''スライディング(슬라이딩)'''.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슬라이딩하며 태클을 걸어버린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마찬가지로 딜레이가 빠르고 판정이 좋으며 좀 더 위력이 강하고 맞은 적이 무조건 높은 수직으로 날아간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7.0~11.5%. * 강한 공격(옆) 공식 명칭 '''ミドルキック(미들 킥)'''.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간단한 발차기를 날리며 딱히 별 차이는 없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마찬가지로 지상 공격 중에선 리치가 제일 길다. 지상에 누워있는 적에게 잽 락을 거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8.2%. * 강한 공격(위) 공식 명칭 '''アッパーカット(어퍼컷)'''.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빠른 어퍼컷을 날리는데 위력이 더 강하다. 위력이 좀 더 강해서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만큼은 아니지만 콤보용으로 유용하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7.4%. * 강한 공격(아래) 공식 명칭 '''スピニングローキック(스피닝 로우 킥)'''.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다리 걸기를 하며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마찬가지로 딜레이가 매우 빠르고 날려버리는 힘이 매우 약해서 콤보용으로 매우 좋다(아래 강-위 강/위 스매시).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안쪽으로 맞힐 경우 8.2%이며 발끝으로 맞힐 경우 5.8%. * 기상 공격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뒤로 쓰러졌을 경우 상체를 축으로 회전하여 [[킥#s-1]]을 날린다. 앞으로 쓰러졌을 경우 앞뒤로 [[펀치#s-1.1]]를 날린다. 바나나 껍질로 넘어졌을 경우 앞뒤로 발차기를 발린다. 얼티밋 기준으로 쓰러졌을 경우 대미지는 7.0%. 넘어졌을 경우 5.0%. * 복귀 공격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난간을 잡은 상태에서 뛰어올라 전방의 상대에게 [[드롭킥]]을 한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10.0%. === 공중 공격 === * 공중 공격(일반) 공식 명칭 '''ドクターキック/Dr. Kick(닥터 킥)'''.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특유의 포즈로 발차기를 날린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는 정반대로 공격 직후의 위력이 약하고 판정이 끝날 때가 더 강하다. 마찬가지로 딜레이가 빨라서 견제나 상대 공격 끊어먹기에 좋으며 늦게 맞을 수록 더 강하므로 이런 면에선 좀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5.8~9.4%. * 공중 공격(앞) 공식 명칭 '''ドクターグーパンチ(닥터 구 펀치)/Dr. Punch(닥터 펀치)'''.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앞으로 덩크슛을 날리듯이 강하게 주먹을 내지른다. [[메테오 스매시]] 판정이 있는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달리 적을 대각선 위로 날려버린다. 마찬가지로 딜레이가 길며 그만큼 위력도 강하다. 위력은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보다 강하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11.7~17.6%. * 공중 공격(뒤) 공식 명칭 '''ドロップキック(드롭킥)'''.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뒤로 드롭킥을 날린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딜레이는 비슷한데 위력이 더 증가해서 결정력이 매우 뛰어나다. 상대가 계속해서 스매시 공격을 피한다면 이걸로 대신 장외시키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단, 마리오처럼 소점프 한 번에 두 번 나가진 않는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8.2~14.1%이다. * 공중 공격(위) 공식 명칭 '''エアスラッシュ(에어 슬래시)'''.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위로 [[서머솔트 킥]]을 날린다. 위력이 좀 더 강하긴 하지만 상대방이 대각선 위로 날아가서 콤보로 잇긴 힘들다. 게다가 닥터마리오 자체의 기동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몸무게가 특출나게 무거운 캐릭터가 아니면 콤보를 잇기 더더욱 힘들다. 참고로 앞뒤로 공격 판정이 있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앞으로 맞든 뒤로 맞든 상관없이 10.2%. * 공중 공격(아래) 공식 명칭 '''全力メテオキック(전력 메테오 킥)/CLEAR!'''. 양발로 힘껏 내려찍는다. 내려찍는 만큼 [[메테오 스매시]] 판정이 있으며 양발 부분에 맞혀야 한다. 참고로 몸 부분에 맞으면 옆으로 날린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14.1%. DX와 4에서는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회전하며 아래를 발로 공격했다. === 잡기 공격 === * 잡기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팔을 내뻗어 상대의 멱살을 잡아버린다. 딜레이나 리치 등은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동일하다. 던지기들이 그 강력하다는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에서 가져온 만큼 닥터마리오의 던지기도 매우 강력하다고 평가받는다. * 잡기 공격 공식 명칭 '''つかみヘッドバット(잡고 헤드버트)'''.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잡힌 상대에게 박치기를 날린다. 대미지는 3%로 같은데 공격 속도가 더 딸린다. 얼티밋에서는 마리오처럼 고개를 옆으로 돌렸다가 박치기를 한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1.5%. * 던지기(앞) 공식 명칭 '''ふり抜き投げ(뿌리뽑기 던지기)'''.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상대를 잡고 한 바퀴 돈 뒤에 던져버린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보다 위력이 강하지만 킬을 내기에는 부족하다. 절벽 앞에서 적을 잡지 않는 이상 잘 쓰이지 않는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9.4%. * 던지기(뒤) 공식 명칭 '''ヒコーキ投げ(비행기 던지기)'''. 적을 통째로 들어올려 뒤로 집어던진다. 닥터마리오의 주력 킬 무브중 하나로 약 110~120%에서 킬이난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보다도 결정력이 강력한데다 전 캐릭터를 통틀어서 3위라는 엄청난 위력을 자랑하는 킬 던지기이니 퍼센티지가 쌓인 상태에서 닥터마리오에게 잡기를 허용하게 하지 말 것.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12.9%. DX 시절에는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자이언트 스핀으로 상대를 멀리 날려버렸으며 던지는 중에 다른 상대방이 접근하면 약간의 대미지를 주고 넉백을 가했다. * 던지기(위) 공식 명칭 '''スルーアップ(스루 업)'''.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상대를 위로 헹가레 하듯 던져버린다.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마찬가지로 콤보용으로는 아래 던지기가 더 낫고 처치용으로는 뒤 던지기가 더 낫다. 그러나 콤보용으로 사용하기도 무난하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8.2%. * 던지기(아래) 공식 명칭 '''スルーダウン(스루 다운)/Hospital Bed'''.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상대를 땅바닥에 던져버린다. 역시 콤보용으로는 좋지만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보다 더 높게 띄우는지라 콤보용으로는 마리오에 비해 덜한 성능이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5.8%. === 스매시 공격 === * 스매시 공격(옆) 공식 명칭 ~~[[치도리]]~~'''心臓マッサージ(심장 마사지)'''.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의 옆 스매시와 같은 포즈로 전기를 방출한다. 불꽃 속성인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와 달리 전기 속성이며 손 끝으로 맞는 것보다 최대한 가까이 맞는게 더 강하다. 그 때문에 리치도 좀 더 짧긴 하지만 위력은 정말 강하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전기 안쪽에 맞힐 경우 20.9~29.3%, 전기 바깥쪽에 맞힐 경우 17.2~24.2%. * 스매시 공격(위) 공식 명칭 '''スマッシュヘッドバット(스매시 헤드 배트)/ Ear, Nose, and Throat'''.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위로 강하게 박치기를 날린다. 딜레이도 빠르고 위력도 더 강하지만 마찬가지로 리치가 매우 짧다. 머리 부분에 생기는 무적 판정은 닥터마리오의 위 스매시에서도 빛을 본다. 맞은 상대는 수직이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 날아간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앞으로 맞든 뒤로 맞든 상관없이 16.4~23.0%. * 스매시 공격(아래) 공식 명칭 '''ブレイクスピン(브레이크 스핀)'''.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처럼 윈드밀을 해서 적을 공격한다. 딜레이가 괜찮은데다가 위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보다 처치용으로도 좋다. 뒤로 공격하는게 더 강하다. 얼티밋에서는 마리오처럼 댄스 댄스 레볼루션에서 나오는 브레이크 댄스로 변경되었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앞으로 맞혔을 때 11.9~16.4%, 뒤로 맞혔을 때 14.3~19.7%. === 필살기 === * '''캡슐''' 일반 필살기. 바닥에 튕기는 캡슐을 쏜다.[* 캡슐의 색은 [[닥터마리오]]에서 나온 색 배치 (빨강, 파랑, 노랑색의 조합) 중 하나로 나온다.] 마리오와 마찬가지로 멀리 나아가기에 견제용으로 매우 좋고 스테이지 밖으로 사용하여 대각선 아래의 상대를 복귀도 방해할 수도 있다. 파이어볼보다 높게 튀고 모양은 원기둥인데 판정은 캡슐 중심에 원형으로 있어 가드 타이밍도 재기 힘들기에 상대에게 크게 방해되는 존재이다. 마리오와 달리 에너지체가 아니기 때문에 네스와 류카 등의 에너지 흡수가 통하지 않는다. 여러모로 좋은 점만 있는 기술이기에 마리오의 파이어볼과 함께 얼티밋 최고의 일반 필살기로 각광 받는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4.7~5.8%. * '''슈퍼 시트''' 옆 필살기. 흰 색 시트를 아래에서 위로 휘두른다. 마리오와 달리 흰색이지만 '''공중에서 버티지 못 한다.''' 그래서 공중에서 사용할 때 주의해야한다. 반사, 상대의 방향 전환 능력은 그대로 있어서 마리오 것의 하위호환 정도로 보면 된다. 이 기술만 보면 마리오와 마찬가지로 닥터 마리오의 강력한 복귀 방해기로 활약할 것 같지만 닥터 마리오의 복귀력은 얼티밋에서 손에 꼽히게 낮아서 이거 쓰겠다고 스테이지 밖으로 나가기에는 리스크가 너무 큰 탓에 그냥 투사체 반사용으로 쓰이며 복귀 방해용으로는 대부분 너죽고 나죽자 식으로 쓰인다. 얼티밋에선 시트를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리는 모션으로 변경되었으며 모션에 맞게 커버하는 범위도 좌우로 좁아지고 상하로 넓어졌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8.2%. * '''슈퍼 점프 펀치''' 위 필살기. 어퍼컷을 날리며 상승한다. 마리오보다 반 정도 더 낮게 상승하고 단타이다. 발동 시가 제일 강하고 이후엔 약해진다. 히트렉이 커서 첫 타를 맞춘 뒤 방향 전환이 매우 쉽다. 통칭 고학력 펀치. 하지만 얼티밋에선 그 방향에서 각도 조절만 되도록 하향되었다. 마리오와 루이지처럼 상승하기 직전에 무적 판정이 존재하는데 특이하게도 팔이 아니라 다리 부분에 있다. 마리오의 것처럼 실드 옵션으로 매우 유용하다. 닥터마리오는 위력도 강력해 킬까지 노려볼 수 있는 편. 하지만 상승력이 낮아서 점프가 없으면 복귀력이 매우 낮으므로 닥터마리오의 티어 하락에 가장 크게 일조했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첫 히트 시 14.1%, 상승 중 7.0%. * '''닥터 토네이도''' 아래 필살기. 주위에 토네이도를 일으키며 [[더블 래리어트]]를 시전한다. [[루이지(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루이지]]의 '루이지 사이클론'보다는 복귀력이 안 좋았으나 그래도 닥터마리오의 복귀를 조금이나마 보강해주긴 한다.[* 주의사항으로 공중에서 닥터 토네이도를 한 번 사용한 뒤에 지면에 착지하지 않고 다시 토네이도를 사용하면 '''상승 효과가 없다.''' 복귀 시 유의할 것.] 연타를 하면 점점 상승한다. 얼티밋에서 상승 능력이 없어진 루이지와는 달리 낙하 중에도 그대로 상승할 수 있다. 절벽 밑에서 스핀을 하는 등 복귀 방해로도 쓸 수 있다. [[대난투 4|4편]]에선 상승 높이가 줄어들고 빈틈이 커져 복귀하는 거리가 크게 줄었다. 게다가 손이 느리면 아예 추락하고 만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얼티밋]]에서는 마무리 공격을 할 때 두 손을 펼친 채 약간 점프를 하는 모션으로 변경되었으며 거기다가 시전하기 직전 [[슈퍼아머]]가 붙어서 몇 약한 공격을 씹고 토네이도를 날릴 수 있게 되어 안정성이 올라갔다. 얼티밋 루이지 토네이도의 상위호환이라고 봐도 무방. 위력이 매우 강력해서 마무리 용으로도 좋다. 얼티밋 기준으로 대미지는 1~6타에 1.8%, 막타에 3.5%. 총 7타로 합계 시 14.8%. === 비장의 무기 === * '''닥터 파이널''' [[파일:DrMarioSSBUDoctorFinale.png]] X에서 짤리고 4에서 재참전하면서 생긴 닥터마리오의 비장의 무기. 거대한 도트 캡슐 2개를 날려서 적을 계속 쭉 밀어낸다. 마리오의 것과 비슷하지만 하위권의 비장의 무기라고 평가 받는 마리오의 것보다는 실질적인 성능은 더 좋다는 평. 범위가 마리오 파이널의 불꽃보다 더 넓고 대미지는 풀 히트시 40.2%로 더 높은 편. 확실히 마리오의 비장의 무기보다 쓸 만하다. === 어필 === 동작이 작고 대사도 없어서 어필이 심심하다는 평이 많다. 옆 어필 정도를 제외하면 썼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다수. 빈약한 자체 성능과 더불어 [[리틀맥(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괜찮은 공격 몇 개만 골라 스팸한다던가]], [[여울(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멀리 떨어져 니가와를 하는]] 다른 하위권 캐릭터들과 달리 성능 발휘가 순전히 실력에 달려 있어서 '''최고의 매너 캐릭터'''라는 웃지 못할 드립도 있다(...). * 어필(위) 신발에 묻은 것을 떼어내듯이 발을 바닥에 직직 비벼댄다. * 어필(옆) 캡슐을 들다가 미끄러져 튕겨나가자 당황하고 다시 잡는다. * 어필(아래) 한 팔로 반대쪽 어깨를 두드린다. === 승리 포즈 === * 승리 테마 마리오 시리즈 공용 승리 테마를 사용한다. * 왼쪽 두 개의 메가비타민을 다른 방향으로 던지고 나서 장갑의 먼지를 턴 뒤, 두 개의 메가비타민을 더 뽑는다. * 위쪽 청진기를 양 옆으로 계속 흔들어 댄다. * 오른쪽 신발을 바닥에 톡톡 친 후, 생각에 잠긴 자세로 오른손을 턱에 댄다. == 타이틀별 특징 ==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 === [include(틀:대난투 2의 등장인물)] [[파일:Dr._Mario_SSBM.jpg]] 첫 참전. 숨겨진 캐릭터로 출연했다. 언락 방법은 단순하게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로 어드벤쳐나 클래식 모드 하나를 클리어 하면 난입. 기존 마리오의 중량형 버전으로 마리오보다 조금 더 무거우며, 크기도 조금 더 크다. 특히 넉백과 대미지가 높아서 대미지 축적 및 결정력 면에서 마리오보다 우위를 점한다. 이때만 해도 티어는 기존 마리오보다 높을 정도로 평가가 괜찮았다. 하지만 큰 단점들도 존재하는데, 크기가 커진 탓에 피격 판정이 늘어나 버린데다가, 공격이 느려지기도 해서 조금 아쉬운 편. 또한 마리오와 달리 벽 점프가 안 된다는게 단점. 물론 벽 점프 자체가 아주 중요한 테크닉은 아니기 때문에 크게 부각되는 단점은 아니다. 공식 티어리스트에는 '''26명 중 13위로 B-랭크에 위치해있다.''' 26명 중 딱 중간인 13위인 것을 보았을 때 꽤나 균형잡힌 캐릭터. 실제로 매치업 차트에서 리치에서 크게 밀리는 마르스를 제외하면 크게 불리한 파이터가 없어 무난한 매치업을 지니고 있다. DX에서는 큰 단점은 아니지만 다른 파이터에 비해서 크게 떨어지는 복귀력을 지니고 있는데 DX에서는 벼랑 독차지라는 시스템 때문에 아무리 복귀력이 무난해도 오프 스테이지로 쫓겨난 상태에서 벼랑을 한 번 뺏기면 벼랑을 못 잡아 복귀에 실패하는 그림이 '''매우''' 자주 나오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는 단점은 아니다.[* 실제로 DX대회를 보면 상대를 플랫폼 바깥으로 밀어내고 벼랑을 독차지해서 1스톡을 가져가는 형식이 많이 나온다. ] 복귀력이 안 좋다는 단점은 벼랑 독차지 시스템이 사라지고 모든 캐릭터들의 복귀가 상향평준화된 후속작에 가서야 크게 부각되는 편.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 === [include(틀:대난투 4의 등장인물)]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DrMarioSSB4.png|width=500]]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전작]]에서 아래 필살기가 펌프로 바뀐 일반 마리오와는 다르게 닥터 토네이도를 그대로 가지고 나왔으며, 공중 아래공격도 마리오와 달리 변경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툰링크(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툰링크]]나 [[팔코(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팔코]] 같은 준 클론 캐릭터가 되었다. 초기엔 티어가 마리오보단 떨어졌어도 나름 밥값은 했었지만 다른 캐릭터들의 복귀력이 전체적으로 상향평준화 되었고 절벽 독차지 시스템이 사라지며, 복귀력이 지나치게 나쁘다는 단점이 크게 부각되면서 티어가 확 낮아져 최하위권으로 떨어졌다. 사람들의 평가는 마리오의 [[하위호환]] 정도. 전반적인 평가는 약캐~최약캐로, 원본 마리오의 초너프 버전이다. 12월 11일부로 업데이트된 1.1.7 공식 티어리스트에서는 58명 중 '''49위'''다.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include(틀:대난투 5의 등장인물)] ||<:>'''{{{#FFFFFF #18}}}[br]{{{#FFFFFF {{{+2 DR. MARIO}}}}}}'''|| ||<:>[[파일:smash_18drmario.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0qVpaEtEF4)]}}}|| 본작에선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마리오]]의 클론 캐릭터임에도 불구하고 시리즈가 진행되며 마리오와는 다른 기술이 많아졌기 때문에 [[루키나(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루키나]], [[블랙피트(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블랙 피트]]와 다르게, 그냥 에코 파이터가 아닌 별개의 파이터로 참전했다. 원본과 기반 무브셋을 공유하는 아종 캐릭터이지만 성능 상의 여러 차이가 있어 별도의 파이터 번호를 부여받은 [[피츄(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피츄]]나 [[소년 링크(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소년 링크]], [[툰링크(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툰링크]] 등과 유사한 사례. 초기 8인을 제외하면 전부 히든 캐릭터로 변경되었기에, 이번에도 닥터마리오는 히든 캐릭터이다. 해금 조건은 [[로이(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로이]]로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클래식 모드|클래식 모드]] 클리어, [[쿠파주니어(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쿠파주니어]]를 획득한 후 일반 난입, [[등불의 별]]이다. 상당히 늦게 해금하게 되는 캐릭터이다. 얼티밋에서의 변경점으론 우선 아래 필살기의 상승력이 사실상 없어진 [[루이지(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루이지]]와는 다르게 아래 필살기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일반 필살기의 넉백이 증가하며 히트스턴이 길어졌고, 공중 아래공격은 꽤나 넉백이 좋은 메테오 스매시로 변경되었다. 던지기도 강화되었는데, 특히 뒤 던지기의 위력이 매우 강력해져서 킬 용도로 쓸 수 있는 던지기가 되었다. 덕분에 전작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성능이 눈에 띌 정도로 좋아졌다.[* 이 뒤 던지기의 넉백은 얼티밋의 뒤 던지기 중 top5급의 넉백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매우 강력한 기술이다.] 하지만 [[리틀맥(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리틀맥]]보다도 동떨어지는 복귀력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본작에서 상위권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캐릭터들과 상성이 매우 좋지 않아 게임이 발매되고 얼마가지 않아 굴러떨어졌다. 제일 문제가 되는 점은 리틀맥과 마찬가지로 '''복귀력'''인데 닥터마리오는 복귀기인 위 필살기가 마리오의 절반 수준이기 때문에[* 원본 마리오도 상승력이 좋지 않다고 평가 받는 마당에 상승력이 반토막나며 더 낮아졌다.] 밑 필살기인 닥터 토네이도와 같이 복귀를 해야하는데 이 두 가지를 쓰고 복귀해도 거리가 짧아 절벽에 못 미쳐 떨어져서 장외되는 경우가 많다. 거기다가 상위권의 캐릭터들은 하나씩 좋은 복귀 방해기를 가지고 있는데 닥터마리오는 복귀 방해를 한 번이라도 당하면 복귀하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특히 상대가 리치가 긴 캐릭터들이면 게임도 힘들어지고 복귀는 거의 포기하는게 좋을 정도. 복귀력이 안 좋다는 단점 하나가 캐릭터의 평가를 매우 크게 깎아먹었다. 파워 하나는 정말 강력하지만 그 파워를 빼면 남는 게 없는 캐릭터. 상황이 이렇다보니 7.0.0 패치에서 버프를 받았는데 옆 강공격의 넉백과 파워가 증가했고 아래 강공격의 넉백을 줄이면서 콤보용으로 더 적합하게 변경하였다, 또한 아래 강공격과 연계가 가능한 위 필살기의 넉백 증가. 이와 같이 공중기도 연달아 버프를 먹었는데 공중 일반공격의 넉백 상향, 판정이 애매했던 아래 공중공격의 판정 지속시간이 늘어나는 버프를 먹으면서 상대에게 맞추기도 쉬워졌고 복귀 방해용으로 더 적합해졌다. 하지만 기존에도 강력한 파워가 더 강해진 것 뿐이지 근본적인 문제는 '''단 하나도''' 고쳐지지 않았기 때문에 평가는 전혀 오르지 않았다. 때문에 평가는 가논돌프, 리틀맥과 함께 얼티밋 3대 바닥 캐릭터로 누구나 '''최하위권'''이라고 말하는 캐릭터로 전락하였다. 리틀맥과 같이 복귀력 하나로 캐릭터가 이렇게나 망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 대신 가논돌프와 리틀맥보다 매치업이 그나마 안정적인 편이고 초고성능 투사체인 알약의 존재, 준수한 성능의 기본기와 공중기 덕분에 3대 밑바닥 라인업 중에서는 그나마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았고 현재는 그나마 재평가되어서 3대 밑바닥 라인에선 제외되는 편이다. 그래도 온라인에선 강력한 파워와 압도적인 근접전, 초고성능의 투사체인 알약의 존재 덕분에 A급의 강캐릭터로 평가 받는다. 콤보 의존도가 높은 원본 마리오는 하위권만 간신히 면한 중캐릭터 취급받는다는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 질 낮은 온라인 환경에 참다 못한 마리오 유저들이 마리오 대신 쓰기도 한다. 그리고 숙련자가 잡는다면 원본 마리오보다도 더욱 무서운 파이터로 변모할 수도 있으니 주의. 얼티밋의 모든 DLC 캐릭터 출시 이후 네토라보에서 진행한 파이터 인기 투표에서 154표를 얻으며 79위를 달성하였다. [[https://nlab.itmedia.co.jp/research/articles/500071/9|#]] 2023년에 제작된 얼티밋의 [[https://www.reddit.com/r/SmashBrosUltimate/comments/11b1jrg/ultrank_2023_official_smash_ultimate_tier_list/|공식 티어리스트]]에서는 82명 중 '''79위'''로, D+급에 등재되었다. 여전히 바닥을 기는 수준의 성능이지만, 디디디 대왕이 자신의 밑으로 들어간 덕에 얼티밋 3대 약캐 취급에선 벗어난 것이 그나마의 위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 [[등불의 별]] ==== 과학자나 박사 계열 캐릭터들은 죄다 닥터마리오에 빙의해서 등장한다. [[오타콘(메탈기어 시리즈)|오타콘]]에 [[Dr. 와일리]]까지...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클래식 모드|클래식 모드]] ==== [[파일:SSBU_Congratulations_Dr_Mario.png]] 타이틀은 '''삼색 처방 대작전'''. 아무래도 원본 닥터마리오 게임에는 빨강, 파랑, 노랑색 캡슐과 병균이 등장하기 때문인 것 같은데 그래서인지 등장하는 적들이 전부 3색을 컨셉으로 한다. 빨강, 파랑, 노랑의 Mr.게임 워치, 커비, 요시, Wii Fit 트레이너, 패밀리 컴퓨터 로봇, 와리오랑 싸우고 나면 [[마스터 핸드]]가 보스로 등장한다. 특전 이미지에서는 [[악마성]] 스테이지를 배경으로 [[간호순|포켓몬 간호사]] 모자를 쓴 푸린이 마리오를 보조하는 중이다. 뒤에 있는 미라가 환자 역할인듯. 클리어 BGM은 [[닥터마리오]]의 대표 BGM인 Fever. [[https://youtu.be/F-4JjS26WLI|#]] == 기타 == * 이름 앞 '닥터'는 말 그대로 의사라는 뜻도 있지만, 북미 지역에서의 Doctor는 비단 의사만이 아닌 박사 학위 소지자 전반을 가리키는 호칭이다. 시리즈 등장인물 중 거의 유일한 학위 소지자라는 점에서 관련 드립이 많이 나오는 편으로, 주로 공부만 해서 싸우는 법을 모르니 밑바닥 약캐릭터일 수밖에 없다는 식의 성능 관련 농담의 소재로 사랑받는다(...). 미국 밖에서도 의사라고 하면 보통 엘리트나 공부 잘 하는 사람 이미지가 대중적이라 학력 관련 농담은 국가를 가리지 않고 등장한다.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에서는 짤렸다. * 닥터마리오의 등장으로 마리오는 자기 자신이 클론으로 등장하는 유일한 캐릭터가 되었다. 동인계에서는 마리오와 닥터마라오를 아예 다른 인물들로 취급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 관련 문서 == * [[닥터마리오]]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등장인물]] * [[마리오(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닥터마리오,version=186)] [[분류: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캐릭터]][[분류:마리오(마리오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