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단국대학교)] [include(틀:단국대학교)] || [[파일:서울캠전경.jpg|width=100%]] || ---- ||<-3>
{{{#f5f5f2 '''{{{+4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br] {{{#f5f5f2 ''' 檀國大學校 서울 校庭'''}}} [br] {{{#ffffff '''DANKOOK UNIVERSITY'''}}} [br] {{{#ffffff '''SEOUL CAMPUS'''}}} || ||<-3> [[파일:단국대 구 심볼.png|width=230px]] || ||<-2> {{{#f5f5f2 '''이념'''}}} ||'''구국ㆍ자주ㆍ자립''' || ||<-2> {{{#f5f5f2 '''교시'''}}} ||'''진리와 봉사''' || ||<|4> {{{#f5f5f2 '''상징'''}}} || {{{#f5f5f2 '''동물'''}}} ||검은 곰 || || {{{#f5f5f2 '''교목'''}}} ||느티나무 || || {{{#f5f5f2 '''교화'''}}} ||철쭉 || || {{{#f5f5f2 '''교색'''}}} ||{{{#045195,#69b6fb '''청색'''}}} || ||<-2> {{{#f5f5f2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대한민국]] || ||<-2> {{{#f5f5f2 '''설립 지원'''}}}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장.svg|width=20px]] [[대한민국 임시정부]], [[백범 김구]] || ||<-2> {{{#f5f5f2 '''분류'''}}} ||사립대학 || ||<-2> {{{#f5f5f2 '''지위'''}}} ||본교 || ||<-2> {{{#f5f5f2 '''총장'''}}} ||14대 권기홍 (2007년 기준) || ||<-2> {{{#f5f5f2 '''재단'''}}} ||학교법인 단국대학 || ||<-2> {{{#f5f5f2 '''사용'''}}} ||[[1957년]] - [[2007년]] || ||<-2> {{{#f5f5f2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산 8번지[* 現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1(한남동 810). 단국대학교가 [[수지구|수지]]로 이전한 후 이 자리에는 [[한남더힐]]이 들어섰다.] || ||<-2> {{{#f5f5f2 '''면적'''}}} ||129,043㎡ (2007년 기준)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한남캠 항공사진.jpg|width=100%]] ||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항공사진'''}}} || ||[[파일:한남캠퍼스맵1.jpg|width=100%]]||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캠퍼스맵'''}}} || ||[[파일:한남캠퍼스맵2.jpg|width=100%]]||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캠퍼스맵'''}}} || [[단국대학교]]는 [[2007년]]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에서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용인)|죽전동]]으로 학교를 이전했으며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는 [[1957년]]부터 [[2007년]] 상반기까지 [[단국대학교]]의 '''50년''' 역사를 함께한 곳이다. 당시 주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산 8번지였으나, [[수지구|수지]]로 캠퍼스 이전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37533|단국대 9월 수지로 캠퍼스이전..오늘 입학·비전선포]] 이후 [[용산구]] [[한남동]] 810번지로 변경되어 서울캠퍼스 시절의 주소는 말소되었다. 이후 이곳에 사용하는 도로명주소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1이며, 현재 서울캠퍼스가 있었던 자리에는 고급 아파트인 [[한남더힐]]이 들어서 있다. 학교 이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단국대학교]] 문서 참고. == 정문 == ||
[[파일:한남정문.jpg|width=100%]] || ||[[파일:단국대설캠정문.jpg|width=100%]]||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정문'''}}} || * 현 [[한남더힐]]이 있는 '서문'을 정문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이 정문이다. * 정문 바로앞에 '이삭 토스트'라는 가게가 있었는데, 꽤나 많은 학생들이 아침식사나 간식으로 이용했었다. == 서문 == ||
[[파일:한남서문.jpg|width=100%]] ||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문'''}}} || ||[[파일:한남서문1.jpg|width=100%]]||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문 입구'''}}} || ||준공 : 1975.12 || ||용도 : 서문 || * 정문의 서쪽에 있어 서문이다. 한남대로 대로변에 있어서 정문보다 더 정문다워 보였다. 바로 옆에는 서관이 있었다. 지금의 죽전캠퍼스보다 경사가 가팔랐다. 서문을 통과해서 제1, 제2공학관 사이만 지나면 경사진 곳도 별로 없고 있다해도 학교 면적이 좁아서 다니기에 그다지 힘들지는 않았다. == 서관 == ||
[[파일:단국대구서관.jpg|width=100%]] ||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서관'''}}} || ||준공 : 1999.12|| ||규모 : 지하 2층, 지상 12층|| ||용도 : 대학원 겸 수익용 건물|| ||면적 : 24,562㎡, 약 7,443평|| ||[[파일:한남대로변.jpg|width=100%]]|| || {{{#ffffff '''한남대로와 서관'''}}} || ||[[파일:한남IBK1.jpg|width=100%]]|| || {{{#ffffff '''리모델링 후 서관'''}}} || * 서관은 대학원 용도로 사용되었었다 * 이 서관 이후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죽전캠퍼스]]에도 똑같은 이름으로 서관을 지었으나, 대략 2016년부터 글로컬 산학협력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한남대교 진입하는 대로 바로 옆에 있어서 한남캠퍼스 시절 랜드마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지하 2층, 지상 12층 규모이며 연면적 24,562㎡(약 7,443평)이다. 1999년 12월에 완공되었다. * 한남캠퍼스가 모두 팔려 건물들이 모조리 헐리고 죽전캠퍼스로 이전하였지만, 이 서관만큼은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죽전캠퍼스]] 이전 후에 본래 특수대학원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었지만, 정부의 압력으로 교육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대학원도 모두 옮기게 되었다. * 2010년 11월 29일에 IBK 기업은행의 사옥용으로 819억에 매각했다[*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102171041283440912|#]]]. 현재 IBK 기업은행 한남동점이 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빌딩이름은 아직 단국빌딩이다. == 동양학관(일석기념관) == ||
[[파일:동양학관.jpg|width=70%]] ||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동양학관'''}}} || ||[[파일:단국대설캠동양학관.png|width=100%]]|| ||준공 : 1975.12|| ||규모 : 지상 9층|| ||용도 : 동양학연구소 겸 교수회관|| ||면적 : 1,960㎡, 약 593평|| * 학교 중점연구소인 동양학연구소가 들어서 있었다. * 동양학연구소는 3층까지 사용하고, 5층 이상은 교수들의 연구실로 쓰여 교수회관이라 불리기도 했다. * 국문학계의 원로이신 일석 [[이희승]] 선생이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대 소장으로 부임하셔서 10년여 세월동안 한한대사전 찬간에 도움을 주신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건물 별칭을 일석기념관이라 붙였다. == 1공학관 == ||
[[파일:한남1공학관.jpg|width=100%]] || ||[[파일:단국대서울1공학관.jpg|width=100%]]||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1공학관'''}}} || ||준공 : 1970.12|| ||규모 : 지상 7층|| ||용도 : 공과대학 건물|| ||면적 : 14,977㎡, 약 4,538평|| * 공학대학 소속 건물이다. * 원래는 단국대학교 병원으로 사용하려고 했던 건물이다. 건물 내부 구조가 중앙에 계단 없이 경사로 되어 있었다. * 중앙 통로에는 창문이 뚫려 있어 각종 쓰레기와 남은 배달 음식들이 버려져 쌓여 있었다. 그걸 먹고 자란 팔뚝만한 크기의 쥐들이 중앙 계단을 누볐다고 한다. == 2공학관 == ||
[[파일:한남2공학관.jpg|width=100%]] ||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2공학관'''}}} || ||준공 : 1977년 || ||규모 : 지상 9층|| ||용도 : 공과대학|| ||면적 : 1,960㎡, 약 593평|| * 공과대학 소속 건물이다. * 교수회관 옆에 애드온처럼 딸려 있는 건물이다. 높은 층수 동을 동양학관으로 썼고, 낮은 층수 동을 2공학관으로 썼다. == 학생회관(혜당기념관) == ||
[[파일:한남학생회관.jpg|width=100%]] || || {{{#ffffff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회관'''}}} || ||준공 : 1976년 9월|| ||규모 : 지하 1층, 지상 5층|| ||용도 : 학생회관|| ||면적 : 5,265㎡, 약 1,595평|| * 동아리와 학생식당이 있던 곳이다. * 설립자이신 혜당 조희재 선생을 기리기 위해 별칭으로 혜당기념관이라 불렀다. 현재도 [[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죽전캠퍼스]]의 학생회관의 이름은 혜당관이다. == 2부 학관 == ||<-2>[[파일:2부학관.jpg]]|| ||<-2> {{{#ffffff '''2부학관'''}}} || ||준공||1966|| ||규모||지상 3층|| ||용도||야간대학|| ||면적||2,162㎡, 약 655평|| * 야간대학 학생들이 강의를 듣던 건물이다. * 단과대나 학과별로 엠티를 갈 때 이곳 앞에서 학교로부터 김치를 싸게 사서 받아갔다고 한다. == 퇴계기념중앙도서관 == ||<-2>[[파일:한남퇴계기념중앙도서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퇴계기념중앙도서관'''}}} || ||준공||1986.09|| ||규모||지하 1층, 지상 5층|| ||용도||중앙도서관|| ||면적||17,755㎡, 약 5,380평|| ||<-2>[[파일:한남도서관1.jpg]]|| ||<-2> {{{#ffffff '''서울캠퍼스 퇴계기념중앙도서관 봄철 모습'''}}} || * 1986년 9월 신축개관된 중앙도서관이다. 개관당시 국내 대학 중 최대 도서관이었다. * 종합대학 승격을 기념하여 새롭게 건축되었고, '민족사학의 자긍심으로 겨례가 숭모하는 퇴계 이황 선생의 학문정신을 계승'하고자 퇴계기념중앙 도서관이라 명명하였다. * 1987년 서울시와 한국건축가협회로부터 "우수건축상"을 수상했다. * 1996년 제28회 『韓國圖書館賞 功績賞』 단체부문을 수상(한국도서관협의회)했다. * 당시 한강이 보이는 도서관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 서울캠퍼스 시절에는 도서관 열람실을 학생들이 직접 청소했다고 한다. 현재는 거의 모든 대학들이 미화직원들에게 청소를 맡기는 편이다. 밤 11시부터 12시까지 청소를 한 학생들에게 학교가 만원씩 주었다. 죽전캠퍼스 이전 이후에 이러한 전통은 없어졌다. == 사범학관 == ||<-2>[[파일:사범학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사범학관'''}}} || ||준공||1974|| ||규모||지하1층, 지상 6층|| ||용도||사범대학|| ||면적||5,752㎡, 약 1,743평|| * 사범대학 건물로 쓰였다. == 신관 == ||<-2>[[파일:한남신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신관'''}}} || ||준공||1987|| ||규모||지하1층, 지상 5층|| ||용도||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면적||7,766㎡, 약 2,353평|| *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舊 정경대학) 건물로 쓰였다. == 본관 == ||<-2>[[파일:한남본관.jpg|width=100%]]|| ||<-2> {{{#ffffff '''본관'''}}} || ||준공||1966|| ||규모||지상 3층|| ||용도||대학본부|| ||면적||3,034㎡, 약 919평|| * 대학본부가 소재해 있었다. * 본래 사용하던 본관은 1986년 멸실하고. 기존에 사용하던 법정학관을 본관으로 개조해 사용하였다. 그리고 신관을 지어 새롭게 법정학관으로 사용했다. == 과학관 == ||<-2>[[파일:한남과학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과학관'''}}} || ||준공||1984|| ||규모||지하1층, 지상 6층|| ||용도||자연과학대학|| ||면적||8,546㎡, 약 2,589평|| * 자연과학대학 소속 건물이었다. == 문학관 == ||<-2>[[파일:한나문학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문학관'''}}} || ||준공||1984|| ||규모||지상 5층|| ||용도||문과대학|| ||면적||5,060㎡, 약 1,533평|| * 문과대학 소재 건물이었다. * 단대부고, 단국공고, 단대부중이 강남구의 현 위치로 이동하면서 본래 단국공고로 쓰이던 건물을 개보수해 문학관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문학관 오른편(체육관측)에도 작은 쉼터가 있었는데, 뽀뽀동산이라 불렸었다. == 상경학관 == ||<-2>[[파일:한남상경학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상경학관'''}}} || ||준공||1981|| ||규모||지하1층, 지상 3층|| ||용도||상경대학|| ||면적||3,500㎡, 약 1,060평|| * 상경대학 건물이었다. * 앞에 보이는 작은 쉼터의 이름은 '케인즈 공원'이라고 한다. 수정자본주의를 이끈 존 메너드 케인즈를 기리기 위해 붙였다고 한다. 당시 상경대학 학생들의 주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야 케인즈로 나와!"~~). == 교수회관 == ||<-2>[[파일:한남교수회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교수회관'''}}} || ||준공||1980|| ||규모||지하1층, 지상 4층|| ||용도||교수연구실|| ||면적||1,804㎡, 약 546평|| * 교수들의 연구실이 위치해 있었다. * 본래 교수회관으로 쓰이던 동양학관 일부가 제2 공학관으로 쓰이면서 새로 지어지게 되었다. == 체육관(범정기념관) == ||<-2>[[파일:한남체육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체육관'''}}} || ||준공||1977|| ||규모||지상 4층|| ||용도||체육관|| ||면적||4,507㎡, 약 1,365평|| * 체육부와 체육교육과 학생들의 건물로 쓰였다. * 설립자이신 범정 [[장형(독립운동가)|장형]] 선생의 건학정신을 기리고 개교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범정기념관이란 별칭을 붙였다. == 석주선 기념박물관 == ||<-2>[[파일:한남박물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석주선 기념박물관'''}}} || ||준공||1980|| ||규모||지하1층, 지상 3층|| ||용도||대학박물관|| ||면적||2,473㎡, 약 749평|| * 1981년 고 난사 석주선 박사가 평생 수집한 3,365점의 유물을 단국대에 기증한 걸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이후 석주선 박사는 1996년 타계 직전까지 석주선 기념박물관의 초대 관장을 역임하였다. * 석주선 박사의 기증과 관리 아래 단국대 박물관은 전통복식 분야의 독보적인 위상을 구축하였는데 그 산물이 바로 석주선 기념박물관이다. * 1990년 중앙박물관과 통합되었다. 그 이래로 고고와 복식분야 모두 함께 전시되어 있다. 죽전캠퍼스 박물관도 마찬가지로, 한 건물에 관만 달리하고 같이 전시되어 있다. * 2001년 제1종 종합박물관(문화관광부)으로 등록되었다. 또한 같은 해 문화기반시설 박물관 부분(문화관광부) 장려상을 수상 하였다. * 2004년 4월서울 세계박물관 대회(ICOM) 특별전을 개최하였다. * 죽전캠퍼스 이전 후 석주선 기념박물관으로 신축되었다. == 음악관 == ||<-2>[[파일:한남음악관.jpg|width=100%]]|| ||<-2> {{{#ffffff '''난파기념 음악관'''}}} || ||준공||1984|| ||규모||지하1층, 지상 3층|| ||용도||음악대학|| ||면적||5,671㎡, 약 1,718평|| ||<-2>[[파일:한남난파흉상.jpg]]|| ||<-2> {{{#ffffff '''서울캠퍼스 홍난파 흉상'''}}} || * 음악대학 소속 건물이었다. * 현재 죽전캠퍼스의 난파 음악관과 마찬가지로 홍난파를 기리기 위해 난파기념 음악관이라 불렸다. * 죽전캠퍼스에 있는 [[홍난파]]상은 서울캠퍼스에 있던 것을 홍난파 동요 악보 원판, 자필 악보, 유품과 함께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 미술관 == ||<-2>[[파일:한남미술관.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미술관'''}}} || ||준공||1990|| ||규모||지하1층, 지상 4층|| ||용도||예술조형대학|| ||면적||4,032㎡, 약 1,221평|| * 예술조형대학 소속 건물이었다. * ~~어째 박물관부터 음악관, 미술관까지 건물 디자인이 다 똑같은 것 같다~~ == 체육부 기숙사 == ||<-2>[[파일:한남체육부기숙사.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체육부 기숙사'''}}} || ||준공||1985|| ||규모||지하1층, 지상 3층|| ||용도||체육부 기숙사|| ||면적||2,297㎡, 약 696평|| * 운동부 기숙사였다. 이외에도 교내에 고시반 학생들을 위한 법선재라는 작은 기숙사가 3개정도 존재하였다. 교외에도 외국인 유학생들과 교수들을 위한 별도의 작은 기숙사가 존재하였으나 현재는 확인할 수가 없다. * ~~흡사 군대 생활관(구 막사)과 비슷하다.~~ == 인공폭포 == ||[[파일:한남인공폭포.jpg]]|| || {{{#ffffff '''서울캠퍼스 인공폭포'''}}} || * 캠퍼스 내에 조성된 인공폭포이다. 도서관에서 문과대가는 길로 올라가다보면 문과대 옆에 있었다. * 죽전캠퍼스에 폭포공원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다(~~알고보면 죽전캠은 전체적으로 서울캠의 전통을 잇는 요소 거리가 굉장히 많다. 다만 그걸 학생들이 모른다는 게 문제~~). == 곰상 == ||<-2>[[파일:한남곰상.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곰상'''}}} || ||준공||1980.03|| * 서울캠퍼스에 있던 곰상이다. 현재 죽전캠퍼스에 있는 것과 동일하다. * 79년부터 당시 학도호국단을 중심으로 대학의 상징인 곰상을 건립하자는 움직임이 일어 <단국인의 상 정립위원회>가 결성됐으며 이윽고 80년 3월 3일 곰상을 건립하기에 이르렀다. * 곰상의 제작은 당시 문리대에 출강하던 조각가 안찬주 교수가 맡았다. 안 교수는 한국 반달곰을 기준삼아 79년 6월부터 작업에 착수했는데 곰상 자체의 실형은 2m50cm이며 총높이는 6m이다. * 곰상 주변에서 분수가 함께 틀어졌다. * 분수 줄기가 마치 비데처럼 곰의 엉덩이로... == 범은정 == ||<-2>[[파일:범은정.jpg|width=100%]]|| ||<-2> {{{#ffffff '''서울캠퍼스 범은정'''}}} || ||준공||1976.11|| * 범정선생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것으로 1976년 9월에 기공되어 개교기념일인 11월 3일에 준공되었다. * 역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에도 정자가 있다. *대표적인 약속장소였다.6시까지 은정이네 집으로. == 각종 기념탑과 조형물 == === 4.19 기념탑 === ||<-2>[[파일:한남419.jpg|width=100%]]|| ||<-2> {{{#ffffff '''4.19 기념탑'''}}} || ||준공||1988.04|| * 도서관 진입로 옆, 본관 좌측에 마련되어 있던 4.19 혁명 기념탑이다. * 1988년에 4.19혁명 28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 기념탑의 크기는 가로 6m, 세로 8m이고, 높이는 탑받침 40cm, 탑단 10cm, 탑신 90cm이며, 탑의 앞면에 "사월항쟁 계승하여 민족자주통일의 길로!"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 현재 죽전캠퍼스 혜당관 우측에 위치한 4.19 기념탑 역시 서울캠퍼스에 가져온 것이다. === 신동엽시인 시비 === ||[[파일:한남신동엽.jpg]]|| || {{{#ffffff '''서울캠퍼스 신동엽시인 시비'''}}} || * 도서관에서 신관으로 가는 길목에 마련된 신동엽시인 시비이다. 단국대 사학과를 졸업해 '껍데기는 가라'를 쓰신 신동엽 시인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 뒷면에는 시인의 대표시인 '껍데기는 가라'가 새겨져 있다. * 현재 이것은 죽전캠퍼스 상경관 앞에 세워져 있다. === 도약상 === ||[[파일:한남도약상.jpg]]|| || {{{#ffffff '''서울캠퍼스 도약상'''}}} || * 현재 죽전캠퍼스 체육관 앞에 세워져 있다. == 캠퍼스 갤러리 == [[파일:단국대설캠정문.jpg]]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단국대학교/캠퍼스, version=263)] [[분류:단국대학교]][[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건축물]][[분류:2007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