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Tragedy-TF04-JP-VG.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단두대의 참극'''|| || 일어판 명칭 ||'''[ruby(断頭台, ruby=だんとうだい)]の[ruby(惨劇, ruby=さんげき)]'''|| || 영어판 명칭 ||'''Mystic Guillotine''' (원작)[br]'''The Mystical Guillotine'''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2> 일반 마법 || ||<-2>적 몬스터 1마리를 단두대에 묶어 처형한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 [[판도라(유희왕)|판도라]]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코스트 없이 몬스터를 제거하는 위력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 카드로 [[블랙 매지션]]을 파괴하려 했으나, 유우기가 [[매지컬 실크햇]]을 발동해 블랙 매지션을 숨기는 바람에 실패했다. 카드 발동시 연출은 말 그대로 몬스터를 단두대에 묶어놓고 절단하는 것으로, 하드한 연출이 꽤 나오는 편인 원작에서도 상당히 충격적인 연출에 속하나 다행히 효과가 수포로 돌아가 실제로 처형이 묘사되지는 않았다. 영어판 명칭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TCG와는 달리 심의가 빡빡한 북미판 애니메이션에서도 단두대를 직접적으로 언급했었다. 애니메이션 장면을 직접적으로 수정하기가 힘들어서 수정없이 간 걸로 추측된다. 대신 단두대의 칼날은 파란색으로 칠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파일:断頭台の惨劇.jpg|width=100%]] || [[파일:Tragedy-15AY-KR-C-U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단두대의 참극, 일어판 명칭=断頭台(だんとうだい)惨劇(さんげき), 영어판 명칭=Tragedy,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표시 형식이\, 앞면 공격 표시에서 앞면 수비 표시로 변경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조건을 충족하면 상대 필드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전부 파괴할 수 있는 함정 카드. 장수를 따지지 않는 대량 제거가 가능한 점은 우수하지만, 발동 조건이 너무 한정적이라 사용하기 어려운 카드다. 실제 듀얼에서 공격 표시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바꾸는 상황 자체가 흔치 않기 때문. 사용하고 싶다면 [[진입금지! No Entry!!]]와 같은 상대 몬스터를 강제로 수비 표시로 바꾸는 카드와 함께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당연히 카드 소비에 비해 이득이 크지 않아 실전성은 없다시피 하다. 일본판의 일러스트는 카드명 그대로 [[단두대]]가 그려져 있지만, 북미판에서는 단두대가 민감할 수 있는 소재라고 판단했는지 일러스트를 아예 새로운 것으로 변경하고 카드명도 "참극"만을 따와서 번역했다. 그림체에서 [[양키 센스]]가 느껴지는 것은 이 때문. 이후 'lost art promotion 2020'의 카드로 일본어판 사양의 북미판 카드가 나오게 되었다. 한편 별다른 사정이 없다면 카드명은 일본판에서, 일러스트는 북미판에서 따오는 경향이 있는 [[대원미디어]] 측에서는 평소대로 일본판의 카드명과 북미판의 일러스트를 조합해서 카드를 발매했고, 결과적으로 일러스트와 카드명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 카드가 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운명의 시작|RISE OF DESTINY]] || RDS-JP049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3]] || EE3-JP109 || [[슈퍼 레어]] || 일본 || || || [[운명의 시작|Rise of Destiny]] || RDS-EN049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3]] || DR3-EN109 || [[슈퍼 레어]] || 미국 || || || [[운명의 시작]] || RDS-KR049 || [[슈퍼 레어]][br][[얼티미트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ume.3]] || HGP3-KR109 || [[슈퍼 레어]] || 한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