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丹东站}}} || {{{+1 Dandong Railway Station}}} || ||<-6><)>[[중국 국철|[[파일:chinarailways_white.png|height=24&align=left]]]][[중국 국철|{{{#FFFFFF '''중국 국철'''}}}]]|| ||<-6><(>{{{#ffffff,#000000 {{{+2 단둥역}}}[br]{{{+1 丹东站}}}}}}|| ||<-2> [[선양난역|{{{#!html
선양난 방면}}}]][[우룽베이둥역|우룽베이둥]][br]← 18.0 km ||<-2> [[선단고속철도|{{{#!html
선단고속철도}}}]] ||<|2><-2> {{{#gray 시종착}}} || ||<-2> [[다롄베이역|{{{#!html
다롄베이 방면}}}]][[둥강베이역|둥강베이]][br]← 38.0 km ||<-2> [[단다도시간철도|{{{#!html
단다도시간철도}}}]] || ||<-2><|2> [[선양역|{{{#!html
선양 방면}}}]][[우롱베이역|우롱베이]][br]← 24.0 km ||<-2><|2> [[선단철도|{{{#!html
선단 철도}}}]]{{{#!html
}}} ||<-2> [[평양역|{{{#!html
평양 방면}}}]][[신의주청년역|신의주청년]][br]2.6 km → || ||<-2> [[평의선|{{{#!html
평의선 직결 ▶}}}]] || ||<-6> [include(틀:지도, 장소=단둥역, 너비=100%, 높이=300px)] || ||<-6> '''다국어 표기''' || ||<-2> 중국어 ||<-4> 丹东 || ||<-2> 영어 ||<-4> Dandong || ||<-6> '''주소''' || ||<-6> [[랴오닝성]] [[단둥시]] 진싱구 진징2호[br]辽宁省丹东市振兴区五經街2號 || ||<-6> '''철도역 등급''' || ||<-6> 1등급(一等站)[br]([[중국철도선양그룹]] 관할) || ||<-6> '''역 운영기관''' || ||<-2> {{{#ffffff 모든 노선}}} ||<-4> [[중국국가철로집단|[[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width=200]]]] || ||<-6> '''개업일''' || ||<-6> 1904년(중국 국철) || [[파일:단둥역.jpg|width=44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진씽구에 있는 국경철도역으로 단둥과 라오둥반도의 다롄을 잇는 단다도시간철도의 기점이며 [[압록강철교]]를 통해 [[북한]] [[평의선]]([[경의선]]) [[신의주청년역]]과 연결되어 있다. == 상세 == 이 역에서 중국 북부의 주요 도시인 [[베이징시|베이징]], [[선양시|선양]], [[하얼빈시|하얼빈]], [[용정시|룽징]], [[칭다오시|칭다오]], [[산해관|산하이관]] 등으로 가는 열차가 있으며 [[북한]]으로 가는 국제열차도 자주 운행된다. 특히, [[베이징역|베이징]] - [[평양역|평양]]간 국제열차도 무조건 이 역에 정차한다. 오히려 베이징역보다 단둥역에서 승하차하는 경우가 많다. [[압록강철교|조중우의교]] 너머로 [[위화도]]와 [[신의주시]]의 시가지가 보이며 단둥역 앞에서는 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단둥 버스터미널이 맞은편에 있어 다른지역으로 이동하기가 편리하고 또한 맞은편에 [[KFC]] 등 식당도 많다. 또한 5분 거리에 단둥 세관이 있으며 그 맞은편에는 조선한국민속거리라는 조선인 밀집구역, 일종의 [[코리아타운]]이 바로 있다. 2015년 12월 25일 현재 '조선한국민속거리'는 '고려거리(Korea Street)'으로 개명된 상태다. 보통 중국 [[만주]]를 여행오는 사람은 강 건너로 북한을 보기 위해서라도 이 역을 한번씩은 들른다. 2011년 5월 11일부터 단동-신의주간 '중조국제관광전용렬차'가 운행되였다. 이 열차는 11월말까지 매일 정상 운행된다. 매일 오전 9시 35분에 단동역에서 신의주로 출발하고 오후 4시 13분에 신의주에서 단동을 향해 출발하게 된다. 4개 객차에 마련된 경석의자에 도합 472명이 탑승할 수 있다. 동시에 단동역에서는 관광 편의제공을 위해 단동시변방검사참, 단동해관, 단동검역국 및 심양철도국제려행사와 공동으로 녹색 통로를 개통하여 통관시간을 절약하고 전용 대기실과 함께 통역인원을 배치하였다. 2015년 8월 말에는 선양과 단둥을 잇는 [[선단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이 지역생활권이 1시간으로 묶이게 되었다. == 단둥 철로통상구 ==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5]] {{{#gold '''[[중국|{{{#gold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gold 지린성}}}]]의 국경통상구[br]{{{+1 [ruby(丹东, ruby=Dāndōng)][ruby(铁路, ruby=Tiělù)][ruby(口岸, ruby=Kŏuàn)][br]신의주 세관 }}}'''[br] Dandong Railway Port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丹东站, 너비=100%, 높이=100%)]}}} || ||<-2> '''{{{#gold 분류}}}''' || 육로(철도) || ||<-2> '''{{{#gold 등급}}}''' || 국가급(1류) || ||<-2> '''{{{#gold 접경지}}}''' || [[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 [[평안북도]] || ||<-2> '''{{{#gold 관할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해관총서|[[파일:1024px-Flag_of_the_Customs_of_the_People's_Republic_of_China.svg.png|height=15]]]]다롄해관[br][[중국 국가이민관리국| [[파일:Flag_of_the_National_Immigration_Administration_of_PR_China.jpg|height=15]]]]랴오닝 출입경변방검사총참 || ||<-2> '''{{{#gold 주소}}}''' || {{{-1 [[랴오닝성]] [[단둥시]] 진싱구}}}[br]{{{-1 辽宁省丹东市振兴区}}} || ||<-2> '''{{{#gold 설치년도}}}''' || 1954년 || 단둥철도세관은 북한과 연결된 철도세관이며 북한측에는 신의주세관이 설치되어 있다. == 남북통일 이후? == [[경의선]] 및 [[경의고속철도]]가 완성된다는 가정하에 대한민국 국민이 [[베이징시]]를 국제열차로 갈때 가장 먼저 보게되는 역이 될 것이다. 또한 [[평안북도]] [[신의주시]]와 매우 가까운 지리적 환경으로 인해[* 말이 그렇지 사실상 압록강 건너편의 이웃동네다.] 당일치기 중국여행 관광지 중 하나로 부상될 가능성이 높다. == 여담 == * 1912년부터 1965년까지 이 역 이름이 안둥역(安东站)이었다.[* 원래는 톄이푸역이었는데(铁一浦站) [[경의선]]과 압록강철교로 이어진 이후에 안동역으로 바뀐 것이다.] 이 역 때문에 광복 이전까지 한국의 [[안동역]]의 이름이 '''경북'''안동역이었던 역사가 있다. 위치상 단동이 경북 안동보다는 훨씬 중요하고, 단동 같은 한반도와 최근접한 만주 지역은 본격적인 만주 침탈과 중일 전쟁 훨씬 이전부터 진작 일본의 영향권에 있었기 때문. [[분류:190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중국의 철도역]][[분류:중국의 국경통상구]][[분류:단둥시]][[분류:북중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