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리태니커 대백과사전 선정 세계의 여성들)] [include(틀:역대 리투아니아 대통령)]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20018 0%, #c1272d 20%, #c1272d 80%, #a20018); color: #fff" '''[[리투아니아 대통령|{{{#fff 리투아니아 제9대 대통령}}}]][br]{{{-1 Her Excellency}}}[br]{{{+1 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br]Dalia Grybauskaitė'''}}}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jpg|width=100%]]}}} || || '''본명''' ||'''Dalia Grybauskaitė[br]달리아 그리바우스카이테''' || ||<|2> '''출생''' ||[[1956년]] [[3월 1일]] ([age(1956-03-01)]세) || ||[[소련]]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빌뉴스 주 [[빌뉴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리투아니아)] || || '''학력''' ||빌뉴스 살로메야 네리스 고등학교[* Vilniaus Salomėjos Nėries gimnazija.] {{{-1 ([[졸업]])}}} (-1974년) [br]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1 ([[정치경제학]] / [[석사]])}}} (-1983년)[br]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1 ([[박사]])}}} (-1988년) || || '''정당''' ||'''[[무소속|{{{#!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8em" {{{#ffffff '''무소속'''}}}}}}]]''' || || '''직업''' ||[[정치인]] || || '''경력''' ||리투아니아 외무부차관[br]리투아니아 재무부장관[br]유럽 교육 문화 언어 위원회 의원[br]유럽 예산 감사 집행위원회 의원[br]'''前 리투아니아 제9대 대통령''' || ||<|2> '''재임기간''' ||제9대 대통령 || ||[[2009년]] [[6월 12일]] – [[2019년]] [[7월 15일]] || || '''링크''' ||[[https://www.facebook.com/D.Grybauskait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rybauskaite_lt, 크기=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리투아니아]]의 前 제9대 [[대통령]]. 리투아니아의 최초 여성 대통령이다. 모국어인 [[리투아니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러시아어]], [[폴란드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 출처는 [[https://en.wikipedia.org/wiki/Dalia_Grybauskait%C4%97|영어 위키백과]]] 2019년 7월 12일에 대통령에서 물러나고 기타나스 나우세다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 일생 == 1953년 당시 [[소비에트 연방]]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노동자 계급 부모님 아래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전기기사였고 어머니는 판매원이었다. 어린시절에는 농구강국 리투아니아답게 농구선수를 하기도 했으며 1974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 2년동안 리투아니아 필하모닉에서 일하였다고 한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에 입학하여 정치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은 뒤에는 리투아니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비서직으로 일하였으며 1983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한 후 정치경제 강의를 열기도하였고 1988년 모스크바 사회과학 아카데미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았다. 1988년 이후로는 리투아니아 공산당에서 활동하였다. 1991년 미국 워싱턴에 소재한 조지 타운 대학교 국제 관계 연구소에서 활동하다가 1993년 돌아와 리투아니아 외부무에서 일하였으며 외무부차관과 재무주차관/장관을 역임한 후 유럽 집행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2009년 대선 후보에 등록하여 알기르다스 부트케비추스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재선에도 성공하였다. [[마가렛 대처]]총리가 롤모델이라 하며 언론에서도 '''리투아니아의 [[철의 여인]]'''으로 불리는 대통령이다. 실제로 정치 노선도 대처리즘과 판박이인게 이 양반도 [[반러]]적 성향이 강하며, [[국민보수주의]]적이고 [[신자유주의]] 노선을 타고 있다. 노딜 브렉시트를 지지하기도 하였다. [[분류:1956년 출생]][[분류:리투아니아 대통령]][[분류:빌뉴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