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달성군의 읍면)] ||<-4> '''[[대구광역시|{{{#000000,#dddddd 대구광역시}}}]]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달성군 CI.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달성군}}}'''[br]達城郡[br]{{{-1 Dalseong County}}}}}}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광역시 달성군, 너비=100%, 높이=100%)]}}} || ||<-2> '''[[달성군청|{{{#fff 군청 소재지}}}]]''' ||<-2> 논공읍 달성군청로 33 (금포리) || ||<-2> '''광역자치단체''' ||<-2> [[대구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6[[읍(행정구역)|읍]] 3[[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428.36㎢ || ||<-2> '''인구''' ||<-2> 262,525명[* 2023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현황]]] || ||<-2> '''인구밀도''' ||<-2> 613.31명/㎢ || ||<-2> '''군수'''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재훈(정치인)|최재훈]] {{{-2 (초선)}}} || ||<|2><-2> '''군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9석[* 달성군 가선거구 (화원읍, 가창면): 전홍배, 신달호 [br] 달성군 나선거구 (논공읍, 옥포읍): 김은영, 서도원 [br] 달성군 다선거구 (유가읍, 현풍읍, 구지면): 곽동환, 최재규 [br] 달성군 라선거구 (다사읍, 하빈면): 신동윤, 박주용 [br] 비례대표: 이연숙]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3석[* 달성군 다선거구 (유가읍, 현풍읍, 구지면): 박영동 [br] 달성군 라선거구 (다사읍, 하빈면): 김보경 [br] 비례대표: 양은숙]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3석[* 달성군 제1선거구 (화원읍, 가창면): 하중환 (초선) [br] 달성군 제2선거구 (논공읍, 유가읍, 옥포읍, 현풍읍, 구지면): [[김원규(1961)|김원규]] (재선) [br] 달성군 제3선거구 (다사읍, 하빈면): 손한국 (초선)] || ||<-2> [[달성군(선거구)|{{{#ffffff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추경호| 추경호]] {{{-2 (재선)}}} || ||<|4> '''상징''' || '''군화''' ||<-2> [[참꽃]] || || '''군목''' ||<-2> [[이팝나무]] || || '''군조''' ||<-2> [[두루미]] || || '''군가''' ||<-2> [[http://www.dalseong.daegu.kr/index.do?menu_id=00001909&servletPath=%2Findex.do|달성군민의 노래]] || ||<-2> '''지역전화''' ||<-2> '''053''' || ||<-4> [[http://www.dalseong.daegu.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dalseonggu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dalseonggu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lseonggun, 크기=23)] | [[https://blog.naver.com/dalseonggun|[[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광역시]]의 군. 이름은 대구의 역사적 이름인 [[달성]]에서 따왔다. 동으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경산시]], 남으로는 [[경상남도]] [[창녕군]], 서로는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 북으로는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서구(대구광역시)|서구]], [[달서구]], [[남구(대구광역시)|남구]], [[수성구]]에 접한다. [[월경지]]가 많은 편으로 [[다사읍]], [[하빈면]]은 [[달서구]]를 거쳐야만 달성군청으로 갈 수 있는 진월경지이고, [[가창면]]은 [[비슬산]]으로 인해 분리된 [[실질월경지]]이다. 이 때문에 생활권 역시 분절되어 있는데 크게 '''다사-하빈 권역'''(성서 권역 종속),''' 화원-옥포 권역'''(크게 보면 군청 근방의 논공지역까지 포함, 월배권역 종속), '''현풍 권역'''(현풍읍, 유가읍, 구지면, 논공읍 일부), '''가창 권역'''(수성구 종속)으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하 후술한다. [[국민안전처]]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6년 기준으로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가장 안전 지수가 높은 지역'''이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2/23/2016122301745.html|대구 달성군은 어떻게, 한국에서 제일 안전한 곳이 됐나]]] '''2017년 조사에서도, 가장 안전한 곳으로 선정'''되어 이 부분에서 전국 행정 지역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보이고 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13/0200000000AKR20171213082000004.HTML?input=1195m|가장 안전한 지역 '대구 달성군'…부산 중구는 최하점]]] == 상징 == || {{{#fff {{{+1 '''달성군의 CI'''}}}}}} || || [[파일:달성군 CI.svg|width=150]] || || {{{#000,#fff 비슬산과 낙동강을 주제로 평화롭고 미래지향적인 의미를 함축하며 안정속에 발전하는 달성의 의지를 담음.}}} || || {{{#fff {{{+1 '''달성군의 마스코트'''}}}}}} || || [[파일:달성군 마스코트 비슬이.svg|width=150]] || || {{{#000,#fff 참꽃의 친근하고 부드러운 이미지와 비슬산의 청정함을 형상화하여 자연친화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참꽃제의 고장 달성군을 상징}}} || ||<-2> {{{#fff {{{+1 '''달성군의 상징물'''}}}}}} || || {{{-3 군화}}}[br][[진달래|{{{#33B540 '''참꽃'''}}}]] || {{{#000,#fff 비슬산 정상에 피어나는 붉은 빛의 향연은 밝은 내일을 향해 나아가는 달성군민의 뜨거운 정열을 상징}}} || || {{{-3 군목}}}[br][[이팝나무|{{{#33B540 '''이팝나무'''}}}]] || {{{#000,#fff 풍요로운 들녘에 가득한 새하얀 꽃무리는 천혜의 자연이 어우러진 달성군민의 넉넉한 마음을 상징}}} || || {{{-3 군조}}}[br][[두루미|{{{#33B540 '''두루미'''}}}]] || {{{#000,#fff 달성습지에 무리지어 있는 고고한 자태는 충효의 정신을 품고 있는 달성군민의 꼿꼿한 기상을 상징}}} ||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구광역시/역사)] ||<-5> {{{#fff {{{+1 '''달성군 행정구역 변화'''}}}}}} || || '''1895''' ||<|3> {{{#!wiki style="margin: 0px -10px;" →}}} || '''1914''' ||<|3> {{{#!wiki style="margin: 0px -10px;" →}}} || '''199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구군[br]{{{-2 (大邱郡)}}}}}}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경상북도]] 달성군[br]{{{-2 (慶尙北道 達城郡)}}}}}} ||<|2>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대구광역시]] 달성군[br]{{{-2 (大邱廣域市 達城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현풍군]][br]{{{-2 (玄風郡)}}}}}}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상북도 달성군 휘장(1995년 이전).jpg|width=100%]]}}} || || '''{{{#fff 과거 휘장 }}}''' || [[1914년]] [[경상북도]] 대구부 중 중구 도심과 북구 [[고성동]], [[칠성동]]을 제외한 나머지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이 되었다.[* 그래서 2014년에 개청 100주년 행사를 거하게 했다.] 이후 1938년 성북면[* 현 북구 침산동, 산격동, 검단동, 복현동, 동변동, 서변동], 달서면[* 현 서구 평리동, 비산동,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원대동, 내당동, 북구 조야동, 노곡동, 노원동, 달서구 감삼동, 성당동, 두류동], 수성면[* 현 [[수성구]]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황금동, 범어동, 만촌동, 상동, 중동, 수성동 일부와 남구 대명동, 봉덕동, 이천동과 중구 남산동 일부, 대봉동 일부와 동구 신암동, 신천동, 효목동, 북구 대현동]이 대구부로 편입되었고, 해안면은 1940년 동촌면으로 개칭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1957년 공산면[* 현 동구 덕곡동, 송정동, 중대동, 신용동, 지묘동, 내동, 미대동, 신무동, 백안동, 용수동, 미곡동, 도학동, 진인동, 능성동, 평광동과 북구 연경동], 동촌면[* 현 동구 지저동, 도동, 입석동, 불로동, 봉무동, 검사동, 둔산동, 방촌동, 부동, 신평동], 성서면[* 현 달서구 파호동, 호산동, 호림동, 신당동, 이곡동, 용산동, 죽전동, 갈산동, 장동, 장기동, 송현동, 본리동, 본동], 월배면[* 현 달서구 상인동, 도원동, 진천동, 유천동, 월성동, 월암동, 대천동], 가창면의 5개 면이 대구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동촌면을 제외한 나머지 4개 면은 [[파동(대구)|파동]]이 제외된 상태로 도로 달성군으로 환원되었다. 이후 1979년 월배면이 월배읍으로, 1980년 성서면이 성서읍으로 승격되었다가 1981년 경상북도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월배읍, 성서읍, 공산면이 다시 대구시로 편입됨으로서 현재의 달성군 영역이 이루어졌다. [[1995년]] [[1월 1일]]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칭되고 동년 [[3월 1일]] [[도농복합시]] 정책과 직할시 시역 확장 정책에 의해 달성군은 [[대구광역시]] 산하로 넘어갔다. 대구 편입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았는데 대구에 군청이 있었고 대구와 역사성을 공유하는데도 경북도는 편입에 완강히 반대했다. 그러나 주민들이 [[http://mnews.imaeil.com/SocietyAll/1994052712514208200|달성군수실에]] [[http://mnews.imaeil.com/PoliticsAll/1994051823521662956|찾아가고]], [[http://mnews.imaeil.com/SocietyAll/1994052712514208200|학생들까지 서명운동에 나서는 등]] 강력하게 요구한 끝에 결국 경북도의 반대를 꺾고 대구에 편입될 수 있었다.[* 그나마 경북의 강한 반발 때문에 달성 외에 편입 대상으로 고려되었던 [[경산시|경산]], [[칠곡군|칠곡]], [[고령군|고령]], [[청도군|청도]] 등은 편입 대상에서 제외되어 달성 외에는 경북의 영역을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훗날 2023년 7월 1일 [[군위군|군위]]도 대구에 편입하게 되나 이는 경북 입장에서 군위가 딱히 가치가 있는 땅이 아니라서 편입을 반대하지 않았다. 대구에서 편입 여론이 높은 경산, 칠곡은 경북에서도 알짜배기 지역이라 편입 가능성이 희박하다.] 대구 편입은 1995년에 이뤄졌지만 시내버스나 택시의 [[시계외요금]] 징수는 한동안 남아있었다. 택시는 위천삼거리, 달성터널 이남에 대해선 [[http://mnews.imaeil.com/page/view/1995022800310114071|계속 할증요금을 받았고]], 시내버스 역시 편입 직후에는 논공, 현풍, 유가, 구지에서 [[http://mnews.imaeil.com/page/view/1995030100304037072|할증요금을 받았다.]] 심지어 시계외요금이 없던 좌석버스도 예외가 아니라 대구 관할이 아닌 하양은 기본요금만 징수하는데, 대구 관할인 현풍은 할증요금을 징수하여 달성군 주민들의 불만이 [[http://mnews.imaeil.com/page/view/1997071614120629881|심했고,]] 결국 1997년 8월 17일자로 달성군 군내버스 요금이 대구 시내와 동일한 운임으로 [[http://mnews.imaeil.com/page/view/1997081800044684021|조정되고,]] 택시 역시 복합할증이 2001년에 [[http://mnews.imaeil.com/page/view/2001030915292105257|폐지되었다.]] 대구 산하가 된 이후 [[1996년]] 논공면이 [[논공읍]], [[1997년]]에 다사면이 [[다사읍]], [[1992년]]에 화원면이 [[화원읍]]으로 승격했다. 2018년에는 3개 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는데 유가면은 3월, 옥포면과 현풍면은 11월에 각기 읍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 18일에는 '''[[다사읍]]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 [[다사역]], [[대실역]]'''이 개통되면서 달성군에도 도시철도가 들어왔으며,[* 국내 최초의 사례는 아닌데, 국내 최초 군 단위 행정구역 소재 도시철도역은 '''1990년 개통한 [[서울 지하철 3호선]] [[지축역]]'''이며 당시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신도읍 시절에 개통했다. 부산에서는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에 '''1999년 개통한 [[부산 도시철도 2호선]]'''(당시 부산 지하철 2호선) '''[[호포역]]'''이 첫 번째 사례이다. 수도권 광역전철 역까지 포함할 경우 각기 [[시흥군]] 남면, 의왕면 시절이었던 '''[[1974년]] [[8월 15일]] [[경부선]] 국철로 개통한 [[군포역]]과 [[부곡역]]'''이 효시이다.] 2016년 9월 8일 '''[[화원읍]]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구간인 [[화원역]]과 [[설화명곡역]]'''이 개통하였다.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부지를 둘러싸고 대구 관내 기초자치단체들이 유치 경쟁을 선도하였는데, 달성군 측은 화원읍, 정확히는 설화리의 [[설화명곡역]] 인근에 있는 LH대구경북본부 분양홍보관 자리를 주장했다. 그러나 2019년 12월 22일 옛 두류정수장 터로 대구광역시청 신청사 부지를 최종 확정하면서 결국 무산되었다. 구 현풍군 지역을 제외하면 원래 대구와 역사를 함께한 지역이라 현 달성군 산하는 아니어도 대구에서 '달성'이라는 명칭이 붙은 곳이 남아있다.[* 이를테면 달성군에도 있지만 달서구에 더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달성습지]], 중구에 있는 [[달성공원]]이 있다. 달성공원과 유사한 사례로는 수원시에 있고 화성시에 없는 [[수원화성]]이 있다.] 그러나 대구 시가지가 확장하면서 개발된 지역은 거의 다 달성군에서 떨어져 나가 자치구로 편성되었고, 아직까지도 달성군으로 잔존한 지역들은 화원읍, 다사읍, 가창면 등 대구 시내 지역과 직접 접하고 있는 곳들을 제외[* 이것도 직접 시가지와 연담되거나 접경하고 있는 일부 리 지역에 해당하는 것이지, 해당 읍면 중에서도 시내 지역으로 나가기가 상당히 불편한 리 지역들도 꽤 있다.]하면 대구 시내로의 이동 시간이 제법 소요되기 때문에 대구광역시에 대한 소속감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특히 연령대가 있는 분들은 지금도 시 지역으로 갈 때 '대구 간다'는 표현을 많이 쓰는 편이고, 대구 시내 사람들도 '논공 간다', '현풍 간다', '구지 간다' 등 각각의 읍면을 얘기하는 식의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단 유가읍(당시 유가면)의 경우 '유가 간다'는 표현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원래 현풍군 영역이기도 했고 현풍과 가까워서 그런지 현풍에 묻어 가는 듯하고, 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된 뒤로는 테크노폴리스 한정으로는 '테크노(폴리스) 간다'는 표현을 많이 한다.] == 지리 == 자연지리적 특성으로는 서쪽 [[성주군]], [[고령군]]과의 경계에 [[낙동강]]이 있고[* 이러한 특성상 달성군이 갓 대구에 편입된 [[1990년대]] ~ [[2000년대]] 초 대구시 당국의 달성 개발 캐치프레이즈가 '''낙동강 시대'''였다.] 남동쪽 [[청도군]]과의 경계에 [[비슬산]]이 있음을 들 수 있다. 가창면을 제외하면 모두 낙동강변에 형성된 평지를 중심으로 읍면이 형성되어 있다. 인문지리적 특징은 딱히 '''군의 중심지라고 부를 만한 지역이 없다'''. 그럴 수밖에 없는게 달성군 자체가 [[부군면 통폐합]] 과정에서 시내를 대구부로 분리하고 교외 지역을 모아 만든 행정구역이니 자체 중심지는 전무한 채로 시작했고, 그마저도 대구부에 영역을 계속 잠식당하면서 월경지가 생겨버린 상황이다. 1981년 성서읍, 월배읍의 대구 편입으로 북서쪽 [[다사읍]], 하빈면과 남동쪽 지역의 가창면은 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남서쪽 지역과 지리적으로 떨어져게 되어 [[생활권]]이 완전히 다르다.[* 이 상황은 1957년 달성군 성서면, 월배면이 대구에 편입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1963년에는 다시 달성군으로 환원됬다가 1981년 재차 대구로 편입되었다.] 또 [[가창면]]이 있는 남동쪽 지역은 화원읍, 논공읍, 옥포읍, 현풍읍, 구지면, 유가읍이 있는 남서쪽 지역과 붙어 있긴 하지만[* 가창면 정대리가 화원읍 본리리, 옥포읍 반송리, 김흥리, 유가읍 양리와 붙어 있다.] 중간에 큰 산지가 막고 있어 왕래가 불가능하다. 현재 4차순환도로 앞산터널, 범물터널이 완공되어 달서구 [[월배]] 지역, [[수성구]] 파동, 수성구 범물동이 직통으로 연결되었지만 어떤 방식으로도 월배를 거치지 않으면 남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갈 방법이 없다. 가창면 용계리에서 청룡산을 [[등산]]해서 넘으면 화원읍 본리리가 나오긴 하지만 당연히 이런 상황을 교통이 이뤄지고 있다고 보는 일은 없다. 즉 가창면도 실질적으로는 월경지다. 군청을 비롯한 주요 기관들도 논공읍, 현풍읍, 화원읍, 옥포읍에 흩어져 있다.[* 사실 예전에 [[대구광역시]] 도심에 잔존한 기관들을 현재의 군청 인근으로 함께 옮기려고 했으나 예산 부족으로 무산되었다.] 인구로 따지면 [[화원읍]]이나 [[다사읍]]이 1, 2위를 다투고 있지만, 이 곳들도 달성군의 중심이라기보다는 그냥 [[대구광역시]]의 읍, 면지역이라고 보면 맞다. 화원읍, 논공읍, 현풍읍, 구지면, 유가읍, 옥포읍 지역은 [[달서구]] [[월배]] 지역, [[다사읍]], 하빈면 지역은 [[달서구]] [[성서(대구)|성서]], 가창면 지역은 [[수성구]] 생활권에 종속되어 있다. 우체국만 보아도 [[화원읍]], [[다사읍]], 하빈면은 달서우체국이 관할하고 옥포 이남 지역은 달성우체국이 관할하며, 수성구와 붙어 있는 가창면은 자연히 수성우체국 관할이다. [[우체국]] 위치를 검색할 때 똑같은 달성군이라도 다사/하빈/화원/가창은 [[달서구]], [[수성구]]를 선택하여 검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생활권에 맞게 지역을 재편해야 한다는 말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이미 달성군의 대구광역시(1995년 1월 이전 대구직할시) 편입에 관련된 논의가 한창이던 시절 자치구와 군을 상대로 어느 방향으로 편제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고 [[다사읍]], [[하빈면]]은 [[달서구]]에,[* 당시 달서구 인구는 50만 돌파를 목전에 두고 [[http://mnews.imaeil.com/page/view/1994092600424977911|있었는데,]] 당시 광역(직할)시의 분구 기준이 인구 50만 이상이었던 것을 고려할 시 다사와 하빈을 성서로 묶어 성서구를 신설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다.] [[가창면]]은 [[수성구]]에 편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제기되었으나[[http://mnews.imaeil.com/SocietyAll/1994091413431899018|#1,]][[http://mnews.imaeil.com/SocietyAll/1994091912430271039|#2]], 지역 국회의원이던 [[구자춘]]의 반대[[http://mnews.imaeil.com/SocietyAll/1994092800424193208|#]] 등도 있고 해서 현재의 형태가 됐다.[* 정작 구자춘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5대 총선]]을 앞두고 심장수술 중 사망하여 선거에 출마하지 못했다.] 그러나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 논의는 현재진행형인데 2023년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이 달성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309010001300|#]] [[최재훈(정치인)|최재훈]] 달성군수는 반대 입장을 밝혔지만[[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05072?sid=102|#]], 가창면 주민들은 여론조사 결과 65.3%가 찬성한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805427?sid=102|#]] 역시 월경지인 [[다사읍]], [[하빈면]]의 경우 홍준표 대구시장은 [[청년의꿈]]에서 달성군에 있어도 교통이 그리 불편하지 않다는 이유로 제외했다고 밝혔다.[[https://theyouthdream.com/qna/24839972|#]] 그런 이유가 아니더라도 두 지역을 합하면 총 10만명에 육박하는데다 성서5차산업단지도 끼고 있는 이들을 달성군에서 분리시키려고 한다면 극렬한 반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 군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daegu_dalseong.jpg|width=100%]]}}} || 군 청사가 본진인 대구광역시청보다도 크다. 원래는 논밭이었지만 군청이 가장 먼저 들어서고 그 뒤로 수많은 아파트와 상가가 들어서는 중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dalseong.jpg|width=100%]]}}} || || '''{{{#fff 구 달성군청. }}}''' || 사진 속 풍경과는 달리 지금은 옛 달성군청 부지 근처에 고층 건물들이 많이 세워져 사진과는 다른 감이 있다. 사진은 1981년 ~ 1986년 사이에 촬영되었다.[* '새경북 영광의 전진' 슬로건은 1981년 부임한 [[김성배(1927)|김성배]] 도지사 시절 사용되기 시작해 1986년 [[이상희(1932)|이상희]] 도지사가 [[행정안전부장관|내무부장관]]으로 이동할 때까지 사용됐다.][* 구 달성군청 부지는 공개입찰에 부쳐졌으나, 12차례 유찰된 끝에 6년 동안 흉물로 방치되어 있었다. 결국 2011년 7월 대구시는 옛 건물들을 모두 철거하고 아예 공영 주차장으로 활용한다고 발표했지만 2012년 3월 21일, 모 사업자가 건물 8동, 대지 6,197㎡·연면적 6,000여㎡ 전부를 '''152억 8,500만원'''에 사들인다는 계약을 체결했다. 그 해 4월부터 철거공사에 들어가서 7월 무렵에는 완전히 철거되고, 2013년 5월 관문빌딩, 군청빌딩, 한영메디아이, 유니존 공동 소유한 한영빌딩 세 빌딩이 완공되어 이제 더이상 구 달성군청의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과거에는 [[달성군청]]이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동(대구)|대명11동]]에 있었다. 인근에 [[서부정류장역|성당못역]], [[서부정류장]], [[관문시장]]이 있고 접근성이 좋아 유동인구가 많았다.[* 물론 이 곳은 원체 교통의 요지라서 지금도 여전히 유동인구가 많다.] 군청이 이전한 후에도 농협중앙회 달성군지부 등 일부 기관은 예산 문제로 [[계획대로]] 이전하지 못하고 구 달성군청 근처에 남아 있다. 달성군청이 대명동에 있을 때는 달성군 남서쪽 지역([[화원읍]], 옥포읍,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달성군 북서쪽 지역(다사읍, 하빈면), 달성군 동쪽 지역(가창면) 모두 접근성이 좋은 편이었다. 달성군이 3읍 6면이었던 당시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었던 구지면, 유가면[* [[대구 테크노폴리스]] 조성으로 인해 읍으로 승격되었다.], 하빈면을 제외하면 모두 대명동까지 직통 시내버스가 있었을 정도.[* 1998년 개편 이전에는 하빈면 빼고 모두 직통 시내버스가 있었다.] 논공읍으로 이전하면서 시내버스 노선을 개편하려고 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이전 후에도 개편이 이뤄지지 않아서 가창면과 하빈면에서는 접근성이 상당히 나빠졌다.[* 남서쪽 지역, 즉 논공읍, 화원읍, 옥포읍, 현풍면, 구지면, 유가면 주민들 입장에서는 좋아졌다.] 그러다 2005년 5월 25일 현 위치로 이전했는데, 문제는 금포리가 논공읍의 중심 지역이라고 하기에는 무척 애매한 위치라는 것. 논공읍사무소, 논공파출소, 논공새마을금고, 논공농협, 달성예비군훈련장 등이 몰려있는 곳이지만 주변 인구는 적으며, 논공읍의 실제 중심지는 금포리가 아닌 달성1차산단이 있는 북리다. 주거시설, 상업지역, 편의시설들이 죄다 북리 쪽에 몰려 있다. 사실 [[달성군청]]이 [[논공읍]] 금포리로 이전한 이유는 따로 있다. 달성군 3읍 6면이 지리상 월배 [[생활권]], 성서 생활권, 수성 생활권 3권역으로 철저하게 분리되어 있기에 딱히 중심지가 없기 때문. 그렇다고 인구가 많은 화원읍이나 다사읍으로 이전하면 위치도 어중간하고 일방적인 이전론과 지역 홀대론이 나올 것은 명약관화다. 결국 3읍 6면 중 2읍 4면이 있는 서남부 지역 중에서 논공읍을 선정하게 된 것인데, 마침 논공읍사무소가 금포리에 있고, 달성군청과 함께 다른 유관 기관들도 같이 이전해 달성군청 주변을 본격 행정타운으로 조성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달성군청 이전 후에는 예산 문제로 백지화되어 버리면서 허허벌판에 달성군청만 달랑 남게 되었다. 결국 군 유관기관은 계획대로 논공읍에 집결하지 못한 상태로 군 전역에 흩어져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논공읍]]: '''[[달성군청]]''', 달성군민운동장(북리)[* 영화 [[페이스메이커]]의 촬영장소 중 하나이기도 하다.] * [[현풍읍]]: [[대구달성경찰서]], [[달성소방서]], 달성군보건소, 달성우체국, 달성도서관, 달성군민체육관, 달성종합스포츠파크 * [[옥포읍]]: 달성군농업기술센터(교항리), [[대구광역시달성교육지원청]](강림리)[* 2021년 이전 전까지 남구 대명동에 있다가 이전했다.] * [[화원읍]]: 달성군선거관리위원회(본리리), 대구달성[[산림조합]](설화리) * [[달서구]] [[송현동(대구)|송현동]]: [[NH농협은행]] 달성군지부 == 인구 == || '''[[달성군|{{{#000 대구광역시 달성군}}}]]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4.5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3,5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3.3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30,1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6.64%,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39,91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3.97%,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61,922명}}}}}} || || [[1981년]] [[7월 1일]] '''달성군''' [[월배지구|월배읍]], [[성서지구|성서읍]], [[공산동|공산면]] → 대구직할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6.77%,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80,3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1.2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93,797명}}}}}} || || [[1995년]] [[3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 대구광역시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9.99%,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19,9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1.43%,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54,2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2.7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58,3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9.6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78,8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4.2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92,74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86.45%,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59,3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87.6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10월 262,525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ffffff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3.092%, #1c62b7 0%, #1c62b7 92.605%, #888 0%)" {{{#fff 다사읍 92,605명[*서재출장소 39,5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6.94%, #888 0%, #888 100%, #AAA 0%)" {{{#fff 화원읍 46,94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9.334%, #888 0%, #888 100%, #AAA 0%)" {{{#fff 유가읍 29,3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4.186%, #888 0%, #888 100%, #AAA 0%)" {{{#fff 옥포읍 24,1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2.737%, #888 0%, #888 100%, #AAA 0%)" {{{#fff 현풍읍 22,7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9.653%, #888 0%, #888 100%, #AAA 0%)" {{{#fff 구지면 19,6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542%, #1c62b7 0%, #1c62b7 16.736%, #888 0%)" {{{#fff 논공읍 16,736명[*공단출장소 12,19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7.465%, #888 0%, #888 100%, #AAA 0%)" {{{#fff 가창면 7,4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399%, #888 0%, #888 100%, #AAA 0%)" {{{#fff 하빈면 3,399명}}}}}} || || {{{-2 2023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 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 }}}}}}}}} || 군 지역 중 인구 수 1위이다. 여러 신도시 개발과 [[대구국가산업단지]], [[대구테크노폴리스]] 등 각종 대규모 국책 사업에 힘입어 대구에서 가장 성장세가 큰 지역으로 2016년 2월 22일에 인구 20만 명을 돌파하면서 [[남구(대구광역시)|남구]]와 [[서구(대구광역시)|서구]]의 인구를 추월했으며, 2017년 1월 기존 군 인구 1위였던 [[울주군]](219,201명)을 제쳤다. 2019년 6월 10일자로 26만 명을 달성했다. 인구 수가 [[경산시]]와 거의 비슷하다. 인구수가 늘면서 달성시 승격이나 달성구 전환 논의도 나오고 있지만 광역시 산하에서 시 승격은 법적으로 불가능하고 구 단위로는 행정절차를 통해 변경 가능하지만 군 단위에서 누릴 수 있는 농어촌특례[* 농어촌특례는 엄밀히는 군 단위가 아닌 읍면 단위이지만,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상 자치구는 산하에 읍면을 둘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서술.], 세금 혜택 등이 사라지기 때문에 군청에서는 구로 전환되는 것을 원치 않고 있다.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70407.010070729470001|#]][* 반면에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군 환원 논의가 있었지만 지금은 흐지부지된 상태이다.] ===# 읍면별 인구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화원읍|{{{#000 달성군 화원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7.397%,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0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8.791%,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0,805명}}}}}} || || [[1973년]] [[7월 1일]] 화원면 [[대곡동(대구)|대곡동]] → 월배면 편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0.012%,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50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0.969%,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2,0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6.81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5,4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5.91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20,652명}}}}}} || || [[1992년]] [[3월 1일]] 화원면 → '''화원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0.779%,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34,9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83.010%,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7,7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3.911%,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53,9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9.15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57,01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1.10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52,3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84.55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48,6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81.63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46,94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논공읍|{{{#000 달성군 논공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2.295%,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8,8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8.789%,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7,9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9.807%,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8,19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7.13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7,4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2.691%,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8,99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5.506%,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5,2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75.822%,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20,851명}}}}}} || || [[1996년]] [[3월 1일]] 논공면 → '''논공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6.72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6,5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3.55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25,7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86.367%,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3,75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78.83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1,6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7.22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8,4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0.85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16,736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다사읍|{{{#000 달성군 다사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7.75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7,36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79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6,45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603%,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6,2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665%,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5,3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764%,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5,47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982%,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6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1.30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0,743명}}}}}} || || [[1997년]] [[11월 1일]] 다사면 → '''다사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1.197%,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29,6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2.32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0,7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8.27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55,3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7.097%,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63,7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4.091%,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89,38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7.47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92,60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유가읍|{{{#000 달성군 유가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4.613%,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38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0.2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9,0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8.16%,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8,4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1.817%,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6,5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8.75%,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5,6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5.957%,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4,78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5.137%,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4,5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2.4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3,73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1.193%,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3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923%,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2,97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23.29%,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6,987명}}}}}} || || [[2018년]] [[3월 1일]] 유가면 → '''유가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9.043%,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9,71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7.7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29,334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옥포읍|{{{#000 달성군 옥포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6.844%,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1,71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3.848%,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0,96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3.64%,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0,9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0.7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0,1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38.412%,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9,6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1.124%,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0,28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3.07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0,7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0.032%,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0,0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1.56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0,39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3.3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0,8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5.74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3,936명}}}}}} || || [[2018년]] [[11월 1일]] 옥포면 → '''옥포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5,3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6.744%,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24,186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현풍읍|{{{#000 달성군 현풍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4.768%,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6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9.092%,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2,2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7.444%,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8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4.46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1,1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2.99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0,7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7.2%,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4,30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60.54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15,1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0.196%,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12,5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4.564%,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11,1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43.796%,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10,9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54.68%,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13,670명}}}}}} || || [[2018년]] [[11월 1일]] 현풍면 → '''현풍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3.24%,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3,3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B540 90.948%,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22,73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가창면|{{{#000 달성군 가창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2,83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93.04%,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6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93.336%,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6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92.192%,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11,5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88.128%,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11,0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84.584%,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10,5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75.336%,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9,41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73.24%,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9,1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4.48%,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8,0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72.264%,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9,03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7.864%,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8,48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3.776%,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7,97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59.72%,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7,46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하빈면|{{{#000 달성군 하빈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100%,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0,22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85.56%,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8,5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82.79%,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8,2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5.58%,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6,55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0.44%,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6,04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52.5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5,25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50.78%,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5,0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46.19%,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6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38.46%,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84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44.92%,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4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43.6%,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4,36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37.02%,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3,70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33.99%,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3,399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달성군 CI.svg|height=20]] '''[[구지면|{{{#000 달성군 구지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6.025%,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13,2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58.395%,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11,67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56.67%,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11,3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43.53%,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8,7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36.96%,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7,39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30.26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05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27.69%,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5,53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22.58%,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4,5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17.62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3,52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22.47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4,49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37.53%,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50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66.315%,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13,2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62b7 98.26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8월 19,653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달성군/교통|교통]] == [include(틀:달성군의 로)]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달성군/교통)] == 경제 == === 산업 === [[달성1차산업단지]](논공읍), [[달성2차산업단지]](구지면), [[대구 테크노폴리스]](유가읍, 현풍읍), 성서제5차일반산업단지([[다사읍]]) 등 대구의 주요 산업단지가 몰려 있으며, 구지면에는 [[대구국가산업단지]]가 조성 중이다. 또한 화원읍과 옥포읍에 [[대구미래스마트기술국가산업단지]]가 건설될 예정이다. 서구와 북구가 대구 제조업의 과거(몰락), 달서구가 대구 제조업의 현재(정체)를 상징한다면, 달성군은 대구 제조업의 미래(신산업)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공업단지들을 기반으로 대구광역시 기초자치단체 중 성장성이 가장 밝다고 볼 수 있다. === 상권 === 달성군 전체의 중심 상권은 없고, [[화원읍]], [[다사읍]], [[현풍읍]]의 세 축으로 나뉜다. 화원읍은 천내리가 중심지로 중소규모 시 정도의 중심상권을 형성하고 있으나 동네 한복판에 위치한 [[교도소]] 때문에 상권 발달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다만 교도소는 [[하빈면]]으로 이전할 예정이다. 다사읍은 [[대실역]]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로 [[달구벌대로]] 북쪽에 몰려 있다. 현풍읍은 원래 군청소재지 수준의 재래시장 중심의 상권이었으나, [[대구테크노폴리스|테크노폴리스]]가 읍내에 딱 붙어 개발되면서 중앙공원을 중심으로 한 신도시 상권과 전통상권이 공존하고 있는 상태이고 역할도 서로 다르다. [[대형마트]]의 경우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는 달성군 관내에 하나도 없고, 사실상 화원읍에 있는 [[농협 하나로마트]] 달성점이 유일하다. 다만 모두 소생활권 수준의 상권으로 상위 기능은 달서구([[성서(대구)|성서]], [[월배]])나 [[동성로(대구)|동성로]]에 의존한다. === 금융 === ||<-4> '''{{{#ffffff 달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 ||<-4> '''{{{#1d1e23 국가기관}}}''' || ||<-2> [[우정사업본부|{{{#ffffff '''달성우체국 (6)'''}}}]] || [[우정사업본부|{{{#ffffff '''대구달서우체국 (4)'''}}}]] || [[우정사업본부|{{{#ffffff '''대구수성우체국 (1)'''}}}]] || ||<-4> '''{{{#1d1e23 국책은행}}}'''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3)'''}}}]] || ||<-4> '''{{{#1d1e23 특수은행}}}'''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1)'''}}}]] || ||<-4> '''{{{#1d1e23 시중은행}}}'''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1)'''}}}]]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1)'''}}}]] ||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2> [[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5)'''}}}]] || ||<-4> '''{{{#1d1e23 지방은행}}}''' || ||<-2> [[대구은행|{{{#9acd32 '''대구은행 (19)'''}}}]] ||<-2> [[경남은행|{{{#ff0000 '''경남은행 (1)'''}}}]]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농협|{{{#fcaf16 '''다사농협 (5)'''}}}]] || [[농협|{{{#fcaf16 '''달성축산농협 (5)'''}}}]] || [[농협|{{{#fcaf16 '''화원농협 (5)'''}}}]] || [[농협|{{{#fcaf16 '''하빈농협 (2)'''}}}]] || || [[농협|{{{#fcaf16 '''옥포농협 (4)'''}}}]] || [[농협|{{{#fcaf16 '''논공농협 (3)'''}}}]] || [[농협|{{{#fcaf16 '''현풍농협 (3)'''}}}]] || [[농협|{{{#fcaf16 '''유가농협 (2)'''}}}]] || ||<-2> [[농협|{{{#fcaf16 '''구지농협 (3)'''}}}]] ||<-2> [[농협|{{{#fcaf16 '''가창농협 (1)'''}}}]] || ||<-4> '''{{{#ffffff 새마을금고}}}''' || || [[새마을금고|{{{#afeeee '''옥포새마을금고 (2)'''}}}]] || [[새마을금고|{{{#afeeee '''화원새마을금고 (3)'''}}}]] || [[새마을금고|{{{#afeeee '''달성새마을금고 (2)'''}}}]] || [[새마을금고|{{{#afeeee '''다사새마을금고 (3)'''}}}]] || || [[새마을금고|{{{#afeeee '''유가새마을금고 (1)'''}}}]] || [[새마을금고|{{{#afeeee '''구지새마을금고 (1)'''}}}]] ||<-2> [[새마을금고|{{{#afeeee '''평화그룹새마을금고 (1)'''}}}]] || ||<-4> '''{{{#ffffff 신용협동조합}}}''' || || [[신협|{{{#ffa500 '''포산신용협동조합 (3)'''}}}]] || [[신협|{{{#ffa500 '''달성대건신용협동조합 (1)'''}}}]] || [[신협|{{{#ffa500 '''대경신용협동조합 (1)'''}}}]] || [[신협|{{{#ffa500 '''화원신용협동조합 (1)'''}}}]] || ||<-4> [[신협|{{{#ffa500 '''대구성서신용협동조합 (2)'''}}}]] || ||<-4> '''{{{#ffffff 산림조합}}}''' || ||<-4> [[산림조합|{{{#9acd32 '''대구달성산림조합 (1)'''}}}]] || == 관광 == [include(틀:대구12경)] [include(틀:달성12경)] 대구12경 중 [[비슬산]]과 [[강정고령보]]가 위치한다. == 생활문화 == === 교육 ===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중학교)]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고등학교)] 교육으로는 특별한 것은 없는 편이지만 군 지역답게 농어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구 중심지와 멀리 떨어진 현풍쪽의 경우 교육열이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다.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대학)] 고등교육기관으로는 [[과학기술원]]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관내에 위치하여 고등교육 한정으로 수성구를 이길 수 있다. 명목상으로는 다른 대학들도 있지만 달성군에 들어오기로 한 대학들이 부지만 잡아두고 별다른 행동이 없어 실질적으로 달성군에 위치한 유일한 4년제 대학이다. === 음식 === [include(틀:대구10미)] [[다사읍]] [[문양역]] 근처 일대가 대구10미 중 하나인 [[메기|논메기]] [[매운탕]]으로 유명하다. === 의료기관 === 인구 26만의 도시답지 않게 의료기관이 충분하지 않은데, 아무래도 생활권이 파편화되어 있고 상위 소비기능을 대구시내에 의존하는 지역 특성 때문이다. 이 때문에 종합병원으로 분류되는 의료기관이 단 하나도 없고, 병원급도 딱 5개 있으며 그나마도 가장 큰 병원이 화원연세병원(114병상)이다. 다만 다사읍은 강 건너 성서지구에 상급종합병원인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이 있다. 현풍읍, 유가읍, 구지면에 거주중인 주민의 경우에는 간단한 CT촬영마저도 차로 최소 20분은 이동해야하며, 응급실도 임시방편으로 운영될 예정인 행복한병원이 유일하다. 테크노폴리스가 조성되고 거의 10년만에 생기는 첫 응급실이다. === 스포츠 === [[대한민국]] 6부 축구리그인 [[K6리그]] 대구리그에 참가하는 [[대구 상록 FC]]의 소재지다. == [[달성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달성군/정치)] == [[달성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파일:sub02_05_i0122.jpg|width=8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달성군/행정)] == 여담 == * 2020년 3월 1일, 대구광역시 편입 25주년을 맞이했다. [[http://www.idaegu.com/newsView/idg202001210009|달성군, 대구시 편입 25주년!]] == 출신 인물 == * [[곽결호]]: 前 환경부 차관, [[환경부장관]], [[한국수자원공사]] 이사장 * [[곽대훈]]: 現 새마을운동중앙회장, 제20대 국회의원, 달서구청장[* 지역구도 대구광역시 [[달서구 갑]]이었다.] * [[곽상도]]: 前 제20~21대 국회의원[* 지역구: 대구광역시 [[중구·남구]]] * [[곽승준]]: 경제학자(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前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장 * [[권오훈(1911)|권오훈]]: 前 정치인 * [[구성재]]: 구자춘의 아들, 前 조선일보 대구취재본부장 * [[구자영]]: 現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치안정감) * [[구자춘]]: 前 [[서울특별시장]], 내무부 장관, 국회의원 * [[김대욱]]: 前 공군참모총장 * [[김문오]]: 前 달성군수 * [[김보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김병수(1954)|김병수]]: 前 울릉군수 * [[김부기]] * [[김성곤]]: 前 기업인, 정치인, [[쌍용그룹]] 창업자·초대 회장 * [[김용호(1853)|김용호]] * [[김재영(1934)|김재영]]: 前 정치인 * [[김진향]]: 現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 前 대통령비서실 인사비서관 * [[김치열]]: 제13대 검찰총장 * [[김현수(1961)|김현수]]: 前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 [[문희갑]]: 前 [[대구광역시장]] * [[박경호(1949)|박경호]]: 前 달성군수 * [[박상희(1951)|박상희]] * [[박용규(1906)|박용규]] * [[박준규(1925)|박준규]]: 前 정치인, [[대한민국 국회의장|국회의장]] * [[박증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Hena * [[박재정(배우)|박재정]]: 배우 * [[서정석]]: 前 용인시장 * [[성기영]] * [[양시영]]: 前 달성군수 * [[엄삼탁]]: 前 병무청장, [[새정치국민회의]] 소속 정치인 * [[유치곤]]: 공군107기지단 단장(공군 최초 200회 출격기록)[* 영화 「[[빨간 마후라(영화)|빨간 마후라]]」의 실제 주인공] * [[이구범]] * [[이달희]]: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 [[이동경]]: 축구선수 * [[이용택(1930)|이용택]]: 인민혁명당 사건의 기획자 * [[이인선]]: 現 제21대 국회의원[* 지역구: 대구광역시 [[수성구 을]]], 前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장,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 [[이종진(1950)|이종진]]: 前 국회의원, 달성군수 * [[이해봉]]: 前 국회의원, 대구직할시장, 체육청소년부 차관 * [[전우헌]]: 現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삼성전자 전무 * [[조환길]]: 現 [[천주교 대구대교구]]장 * [[추경호]]: 現 [[대한민국 부총리|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제20~21대 [[달성군(선거구)|달성군]] 국회의원 * [[추미애]]: 정치인, 前 [[법무부장관]], 국회의원 * [[최선길]]: 前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 [[도봉구]]청장 * [[최재훈(정치인)|최재훈]]: 現 달성군수 * [[허만일]]: 前 문화부 차관, 예술의 전당 사장, 제1회 행정고시 수석합격자 * [[현택환]]: 서울대학교 교수. 하빈면 기곡리[* 연주 현씨 집성촌이다.] 출신. == 홍보대사 == [include(틀:달성군의 홍보대사)] [각주] [[분류:달성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