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닷지(자동차)|[[파일:New_Dodge_logo.png|width=3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09-dodge-dakota-driving-front-angle-carbuzz-934967-1600.jpg|width=100%]]}}} || || {{{#ffffff '''Dakota'''}}} || [목차] == 개요 == [[크라이슬러]] 산하 [[닷지(자동차)|닷지]]의 중형 프레임 바디 [[픽업트럭]]으로, 1986년부터 2011년까지 3세대에 걸쳐 생산되었다. == 상세 == === 1세대(1986~1996) === [[파일:1세대 닷지 다코타.jpg]] 당시에는 [[지프 코만치]]와 형제차였다. === 2세대(1997-2004) === [[파일:2세대 닷지 다코타.jpg]] 1991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2세대 닷지 다코타는 1996년 여름 공개되어 그해 7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생산되었다. 동급의 중형 트럭들이 엔진을 점차 줄여나간 것과 달리, 다코타는 특유의 스타일링에 더해 [[닷지 램|한 체급 위의 트럭]]에 달리는 V8 엔진을 유지하고 있었다. === 3세대(2004~2011) === [[파일:닷지 다코타 3세대 브로셔.jpg]] ||<-3><:>'''{{{#FFFFFF DODGE DAKOTA}}}'''|| ||<:>'''{{{#FFFFFF 제조사}}}'''||<-2> [[닷지(자동차)]] || || '''{{{#FFFFFF 전장}}}''' ||<-2> 5,558 mm || || '''{{{#FFFFFF 전폭}}}''' ||<-2> 1,855 mm || || '''{{{#FFFFFF 전고}}}''' ||<-2> 클럽 캡 1,742 mm [br] 쿼드 캡 1,745 mm || || '''{{{#FFFFFF 휠베이스}}}''' ||<-2> 3,335 mm || || '''{{{#FFFFFF 디자이너}}}''' ||<-2> 클리프 윌킨스 || || '''{{{#FFFFFF 엔진형식}}}''' || 3.7ℓ 매그넘 V6 SOHC || 4.7ℓ 매그넘 V8 SOHC || || '''{{{#FFFFFF 최대출력}}}''' || 210 hp@5,200rpm || 235 hp->265 hp->290–310 hp || || '''{{{#FFFFFF 최대토크}}}''' || 319 N*m@4,000rpm || 400 N⋅m->447 N⋅m->434–453 N⋅m || || '''{{{#FFFFFF 미션형식}}}''' ||<-2> 4단 42RLE 자동변속기 [br] 5단 545RFE 자동변속기 [br] 6단 게트락 238 [[수동변속기]] || || '''{{{#FFFFFF 전륜 서스펜션}}}''' ||<-2> 코일 스프링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서스펜션}}}''' ||<-2> 리프 스프링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 || '''{{{#FFFFFF 구동방식}}}''' ||<-2> [[FR(자동차)|FR]], [[4WD]] || == 북미 판매량 == || '''{{{#FFFFFF 연표}}}''' || '''{{{#FFFFFF 판매량}}}''' || || '''{{{#FFFFFF 1986-1998}}}''' || '''-''' || || '''{{{#FFFFFF 1999}}}''' || '''144,148''' || || '''{{{#FFFFFF 2000}}}''' ||'''177,395''' || || '''{{{#FFFFFF 2001}}}''' || '''154,479''' || || '''{{{#FFFFFF 2002}}}''' || '''130,712''' || || '''{{{#FFFFFF 2003}}}''' || ''' 111,273''' || || '''{{{#FFFFFF 2004}}}''' || ''' 105,614''' || || '''{{{#FFFFFF 2005}}}''' || ''' 104,051''' || || '''{{{#FFFFFF 2006}}}''' || ''' 76,098''' || || '''{{{#FFFFFF 2007}}}''' || ''' 50,702''' || || '''{{{#FFFFFF 2008}}}''' || ''' 26,044''' || || '''{{{#FFFFFF 2009}}}''' || ''' 10,690''' || || '''{{{#FFFFFF 2010}}}''' || ''' 13,047''' || || '''{{{#FFFFFF 2011}}}''' || ''' 12,156''' || || '''{{{#FFFFFF 2012}}}''' || ''' 490''' || == [[대한민국]] 출시 == * 2세대 ||<-3><:>'''{{{#FFFFFF 한국 출시 제원}}}'''|| ||<:>'''{{{#FFFFFF 제조사}}}'''||<-2> [[닷지(자동차)]] || || '''{{{#FFFFFF 전장}}}''' ||<-2> 5,465 mm || || '''{{{#FFFFFF 전폭}}}''' ||<-2> 1,745 mm || || '''{{{#FFFFFF 전고}}}''' ||<-2> 1,820 mm || || '''{{{#FFFFFF 휠베이스}}}''' ||<-2> 3,330 mm || || '''{{{#FFFFFF 엔진형식}}}''' || 4.7ℓ 매그넘 V8 SOHC || || '''{{{#FFFFFF 최대출력}}}''' || 235 hp@4,800rpm || || '''{{{#FFFFFF 최대토크}}}''' || 40.8kg·m@3,200rpm || || '''{{{#FFFFFF 적재중량}}}''' ||<-2> 657kg || || '''{{{#FFFFFF 견인중량}}}''' ||<-2> 2,600kg || || '''{{{#FFFFFF 구동방식}}}''' ||<-2> 풀타임 [[4WD]] || || '''{{{#FFFFFF 차량가격}}}''' ||<-2> 4.580만원[*VAT포함] || 2003년 1월 6일에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고 7일부터 계약을 받기 시작하였다. 2월 4일부터 [[대한민국]]에 출고된 2세대 다코타는 '''[[대한민국]]에서 정식 판매된 최초의 [[미국]]산 [[가솔린 엔진]] 픽업트럭'''으로, 4.7리터 V8 매그넘 엔진에 235마력, 5인승, 657kg의 적재량과 2.6t의 견인력을 냈으며 당시 가격은 4,580만 원이었다. 대배기량 V8 가솔린 엔진이 달려서 연료비는 부담스러웠지만 화물차로 형식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자동차세가 저렴했고, 84도나 열리는 트렁크 도어와 높은 견인력 등의 실용성은 당시 다코타가 [[대한민국]] 시장에 어느 정도 안착케 한 요인이었다. 또한 당시 화물차 특혜 덕분에 일반인들도 LPG 개조가 가능했고, 이러한 유지비 절감이 가능한 것 역시 장점이었다. 한편으로 다코타는 출시 초기 당시 대한민국 자동차 법규와 마찰을 빚었다. 2002년 9월 출시된 [[쌍용 무쏘 스포츠]]는 대한민국에서 생소했던 픽업트럭에 대한 특소세 부과 논란에 휘말렸는데, 닷지 다코타는 이를 넘기고 특소세 면제 등 화물차 혜택을 그대로 받았다. 이후 정부가 트럭 화물칸에 덮개를 부착하는 것은 불법개조라는 입장을 내놓자,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는 이를 재검토해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정부에 발송하기도 했다. 이러한 조치에 항의하고자 2003년 5월에 열린 수입자동차모터쇼에서는 닷지 다코타의 화물칸에 빨간색 덮개를 달고 전시했으며, 다임러 크리아슬러 코리아 웨인 첨리 사장이 직접 다코다 픽업 트럭의 덮개 불법개조 논란에 대한 의견을 피력하며 다코타를 적극 홍보했다. 2005년 들어 미국 자동차 회사들의 실적 전반이 부진해지자 2005년 5월 한 달간 40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과 서울모터쇼 전시차량 10% 할인의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 3세대 ||<-3><:>'''{{{#FFFFFF 한국 출시 제원}}}'''|| ||<:>'''{{{#FFFFFF 제조사}}}'''||<-2> [[닷지(자동차)]] || || '''{{{#FFFFFF 전장}}}''' ||<-2> 5,557 mm || || '''{{{#FFFFFF 전폭}}}''' ||<-2> 1,887 mm || || '''{{{#FFFFFF 전고}}}''' ||<-2> 1,745 mm || || '''{{{#FFFFFF 휠베이스}}}''' ||<-2> 3,335 mm || || '''{{{#FFFFFF 앞 윤거}}}''' ||<-2> 1,595 mm || || '''{{{#FFFFFF 뒷 윤거}}}''' ||<-2> 1,598 mm || || '''{{{#FFFFFF 최소회전반경}}}''' ||<-2> 6.6m || || '''{{{#FFFFFF 스티어링}}}''' ||<-2> 랙 앤 피니언 || || '''{{{#FFFFFF 엔진}}}''' || 4.7ℓ 매그넘 V8 SOHC || || '''{{{#FFFFFF 변속기}}}''' || 5단 자동변속기 || || '''{{{#FFFFFF 기어비}}}''' || 3.00/1.67-up shift, 1.50-킥다운/1.00/0.75/0.67 후진 3.00 최종 감속비 3.55 || || '''{{{#FFFFFF 최대출력}}}''' || 235 hp@4,800rpm || || '''{{{#FFFFFF 최대토크}}}''' || 40.8kg·m@3,200rpm || || '''{{{#FFFFFF [[제로백|0-100km/h 가속시간]]}}}''' ||<-2> 9.3초 || || '''{{{#FFFFFF 연료탱크 용량}}}''' ||<-2> 83L || || '''{{{#FFFFFF 연비}}}''' ||<-2> 5.8km/L || || '''{{{#FFFFFF 적재중량}}}''' ||<-2> 650kg || || '''{{{#FFFFFF 견인중량}}}''' ||<-2> 2,600kg || || '''{{{#FFFFFF 구동방식}}}''' ||<-2> 풀타임 [[4WD]] || || '''{{{#FFFFFF 타이어}}}''' ||<-2> 265/70R16 || || '''{{{#FFFFFF 전륜 서스펜션}}}''' ||<-2> 코일 스프링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서스펜션}}}''' ||<-2> 리프 스프링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브레이크}}}''' ||<-2>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 || '''{{{#FFFFFF 후륜 브레이크}}}''' ||<-2> 드럼 브레이크 || || '''{{{#FFFFFF 차량가격}}}''' ||<-2> 4.580만원[*VAT포함] || || '''{{{#FFFFFF 출처}}}''' || [[http://global-autonews.com/bbs/board.php?bo_table=ct_097&wr_id=423&sfl=wr_subject&stx=%EB%8B%B7%EC%A7%80|#]] || 2005년 8월에 출시된 3세대 다코타는 4,480만 원에 판매되었다.운전석 6방향 파워 시트와 프리미엄 가죽시트, [[인피니티]] 288W 고급 스피커에 인대시 타입의 6매 CD/MP3 헤드 유닛을 포함한 카스테레오 등 고급화에 신경썼으며, 최고 사양인 라레미 트림만이 들어왔다. 그러나 2006년부터 수입되기 시작한 신형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의 경우에는 기존과 똑같은 엔진을 장착했음에도 불구하고 ECU 사양과 피스톤 재질이 변경되는 바람에 LPG 개조시 엔진 수명이 급락했고, 이는 유지비에서 단점으로 다가왔다. 2008년 10월 14일에는 뉴 다코타가 출시되었는데, 기존 대비 70마력이나 상승한 305마력의 최고 출력에, 45.5kg•m의 최대토크를 내며 적재중량은 그대로지만 견인 하중은 3.5톤으로 거의 1톤이 증가하였다. 또한‘크레이트앤고(Crate ‘N Go)’라는 2열 시트 하단의 원터치 조립형 박스가 장착되었는데, 2열 시트를 접어 올리면 사용할 수 있는 구조였다. 이외에도 안티슬립 디퍼렌셜 등의 기능이 들어갔으며, 4,680만 원으로 출시되었다. 2011년 단종과 함께 [[닷지(자동차)|닷지]]가 철수하면서 [[대한민국]] 판매를 종료했다. 그리고 9년 후 [[대한민국]] 시장에서 크라이슬러의 픽업트럭은 [[지프 글래디에이터]]가 다코타의 자리를 이어받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닷지의 차량)] [include(틀:램의 차량)] [[분류:닷지/생산차량]][[분류:램/생산차량]][[분류:1986년 출시]][[분류:2011년 단종]][[분류:중형 픽업트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