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닷지(자동차)|[[파일:닷지.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12 닷지 캘리버.png|width=100%]]}}} || || {{{#ffffff '''Caliber'''}}} || [목차] '''Dodge Caliber''' == 개요 ==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닷지(자동차)|닷지]]가 생산한 [[준중형차|준중형]] 해치백 차량이다. [[닷지 네온|네온]]의 후속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2006년]] 3월부터 [[2012년]]까지 생산되었다. == 상세 == === 1세대(2006~2012) === [[파일:닷지 캘리버 후면.png|width=700]] 차량의 후면부 2005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콘셉트 카를 공개한 후, 2006년 1월 북미국제오토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동년 3월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생산은 [[미국]] [[일리노이]] 주 벨비디어 공장 및 [[베네수엘라]] 발렌시아 공장[* 남미형 혹은 해당 시장 한정.]에서 이루어졌다. 닷지 브랜드 최초의 MAV(Multy Activity Vehicle)로 마케팅한 크로스오버 모델이다. 2012년까지 대략 40만대 이상 판매되었다. 생산 첫 해에 전체 비용의 20% 이상이 온라인, 인쇄물, TV 광고 등 마케팅 부분이 차지했었다고 한다. [[파일:닷지 캘리버 국내 출시.png|width=700]] 대한민국 시장에는 2006년 12월 12일 다임러크라이슬러 코리아를 통해 출시되었으며, 2.0L 엔진이 탑재된 모델이 2,690만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는 당시 수입 크로스오버 차량들 중 가장 저렴한 가격이었다. 그래도 나름 팔렸는지 도로에서 가끔 보인다. 이외에도 [[일본]] 및 [[중국]], [[싱가포르]] 등 여러 시장에서도 판매가 이루어졌는데, [[중국]] 시장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두 번째로 진출한 차량이었으며, [[호주]] 시장에서는 [[1970년대]] 이후 재진출할 때 들여온 차량이기도 했다. [[일본]] 시장에서는 기존 [[크라이슬러 PT 크루저]]가 판매되고 있었으나 [[일본 정부]]의 제원 기준을 초과해 다량의 세금을 부과하게 되면서 판매량에 타격을 입게 되자 이러한 기준을 맞출 수 있으면서도 넓은 공간을 갖춘 차량으로 이 차를 들여오기도 했다. 차체는 [[미쓰비시 자동차|미쓰비시]] 사의 [[GS 플랫폼]]의 개량형인 [[JS 플랫폼]]이 탑재되어[* 소형차 부문에서는 PM/MK 플랫폼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GS 플랫폼을 사용한 [[미쓰비시 랜서]]와 차체를 일부 공유하긴 하나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한 [[지프 컴패스]] 및 [[지프 패트리어트]]와 더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2006년]] 출시 초기에 3가지 모델로 구성되었으나, 같은 해 중반에 모델 하나가 더 추가되었다. 기본형 --수준으로 보이는 깡통 모델--은 SE로, [[전륜구동]] 및 [[마그나 슈타이어]] 사의 T355형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고 148마력의 1.8L 월드 가솔린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옵션으로 158마력의 2.0L 월드 가솔린 I4 엔진과 [[자트코]] 사의 JF011E형 [[CVT|CVT2]] 변속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기본사양에서는 에어컨, 각종 전동 편의장비들[* 윈도우, 도어락, 사이드미러 등], 타코미터 및 천장 보조손잡이가 빠졌다. 15인치 강철 휠이 탑재되며, 그릴 주변은 차체 색상으로 되어 있었다.[* 다른 모델들은 모두 크롬 처리가 이루어졌다.] 중급형으로 SXT 모델이 있었으며, SE와 같은 파워트레인이 적용되지만 기본 옵션들이 많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에어컨 및 글로브 박스 하단부에 위치한 음료 전용 냉장고가 추가되었으며 타코미터 및 옵션 사양인 트립 컴퓨터가 제공되었다. 운전석 시트는 높이 조절 기능이 있었으며, 조수석 시트는 적재를 위해 편평하게 접히는 방식이, 뒷좌석은 리클라이닝 기능이 적용되었다. SE 모델에 적용되지 않았던 파워 윈도우, 잠금 장치, 사이드미러 및 원격 리모컨 등이 기본 적용되었다. 그릴은 크롬 처리가 이루어졌으며, 17인치 강철 휠이 기본으로, 같은 크기의 알루미늄 휠이 옵션으로 적용되었다. 적재 공간에는 탈착식 손전등이 추가되며, 2개의 독서등이 들어간 전면 돔 램프가 적용되었다. 일부 차량 소개물에서는 'SXT 스포츠 왜건' 혹은 같은 기능을 가진 'SXT E 패키지'로 판매되기도 했다. 여기에는 17인치 알루미늄 휠, 컬러 천 시트 및 센터페시아와 안개등이 추가 적용되었다. [[영국]] 시장 SXT 스포츠 왜건 모델 한정으로 18인치 알루미늄 휠 및 9스피커 오디오 시스템이 기본 탑재되었으며, 초기 모델에는 크롬 그릴이 적용되지 않았다고 한다. [[파워트레인]]으로는 [[폭스바겐]]제 2.0L I4 엔진과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고급형인 R/T 모델은 172마력의 출력을 내는 2.4L 월드 엔진을 탑재했으며, CVT가 탑재된 차량에는 기본 주행 모드 외에 6개의 시뮬레이션 고정비가 적용된 수동변속 기능인 '오토스틱'이 추가되었다. 18인치 알루미늄 휠이 기본으로 들어갔고 크롬으로 마감된 휠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출시 당시 R/T는 [[4륜구동]]과 CVT만 적용되었으며, T355형 5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된 [[전륜구동]] 사양은 2006년 늦여름부터 생산이 이루어졌다. 이후 [[4륜구동]]은 [[2008년]]형까지 CVT가 탑재된 차량에 한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ABS는 기본 탑재되었고 서스펜션 및 조향 시스템이 스포츠 지향으로 튜닝되었다. 외장 부문에서는 차체 색상의 크롬 도어 핸들[* 하위모델에서는 검은색 도어 핸들이 적용되었다.], 크롬 측면 몰딩, 크롬 배기 팁, 전면부 안개등 및 R/T 배지가 적용되었다. 실내의 경우, 컬러 천 시트 및 센터페시아가 기본으로 탑재되고, SXT와 동일하게 가죽 시트가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오디오 및 크루즈 컨트롤이 탑재된 가죽 스티어링 휠과 화물칸 커버[* SXT에서는 모두 옵션으로 적용되었다.]도 기본으로 제공되었다. [[파일:닷지 캘리버 SRT4.png|width=700]] SRT4 SRT4 모델은 [[2006년]] 2월 시카고 오토쇼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크라이슬러]]의 [[SRT(동음이의어)#s-6|스트릿 앤 레이싱 테크놀로지 그룹]](이하 SRT)에서 제작했던 [[닷지 네온]] 기반의 SRT-4를 대체한 차량이었다. [[폭스바겐]]의 골프 GTi와 [[마쓰다]]의 마쓰다스피드3와 경쟁이 이루어졌으며, 285마력의 출력과 359Nm[* 에드먼즈 닷컴에서 조사한 결과치는 281휠마력과 354Nm으로 제조사의 평가가 보수적이라 했는데, 2배 비싼 차보다 더 많은 출력을 낸다는 언급이 있었다.]의 토크를 내는 2.4L 월드 엔진 계통의 워호크 터보 [[DOHC]] I4 엔진과 이중 가변 밸브 타이밍(DVVT)가 탑재되었다. [[전륜구동]] 차량이며, 게트락 사의 6단 [[수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전륜은 이중 피스톤 캘리퍼가 장착된 13.4인치 [[디스크 브레이크|V디스크]][* [[닷지 차저]] 경찰차 패키지와 동일한 사양], 후륜은 단일 피스톤 캘리퍼가 장착된 11.9인치 [[디스크 브레이크]]를 적용하였다. 이외에도 [[ABS|브레이크 잠금 방지 시스템(ABS)]] 및 [[차체 자세 제어장치|차체 자세 제어장치(ESP)]]가 기본으로 제공되었다. 휠은 19인치 5스포크 SRT 로고가 음각된 알루미늄 휠 및 [[굳이어]]제 RSA 225/45 R19형 타이어가 탑재되었다. 옵션으로 광택 알루미늄 휠, 굳이어 이글 F1 슈퍼카 타이어, 키커 SRT 오디오가 탑재된 시리우스 위성 라디오, 성능 페이지가 포함된 EVIC, 경보 알람 및 전용 페인트 색상이 추가되었다. [[2009년]]을 끝으로 SRT4 모델이 단종되었다. [[2009년]]형의 경우 마이너체인지가 이루어져 SE의 검은색 도어 핸들이 R/T에서만 적용되었던 차체 색상의 도어 핸들로 변경되었다. 또한 트렁크 뚜껑의 중량을 줄이면서 개방 시 기능을 간소화하였다. 실내의 모든 패널을 회색에서 검은색으로 바꾸었으며 후방 [[RAM(자동차)|RAM]] 로고 위에 있던 [[닷지(자동차)|DODGE]] 배지는 크기를 키워 좌측 상단으로 옮겼고, 해당 위치에 있던 CALIBER 배지를 우측으로 옮겼다. 해당 위치에 표시되었던 차량 트림명은 우측 하단 모서리 부분으로 위치를 옮겼다. [[파일:북미형 닷지 캘리버.png|width=700]] 후기형 차량(북미형) 후기형인 [[2010년]]형은 200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으며, 실내 디자인을 더 개선하였다. 이로 인해 전기형에서 과하게 사용된 플라스틱 소재를 다소 줄일 수 있었으며, R/T에만 적용되었던 8방향 운전석 시트, 열선 내장 사이드미러, 자동 실내 온도 조절장치 등이 추가되었다. 또한 대시보드는 많은 고객 불만 사항으로 인해 상단 글로브 박스를 라디오 패널 위로 재배치하였고 이전의 찝어서 올리는 개방 방식 대신 눌러서 여는 방식의 잠금 장치로 변경되었다. SE 및 SXT에 탑재되던 1.8L 엔진과 SRT4 모델이 단종되었다. [[유럽]]형의 경우 2.2L 디젤 엔진에 개선이 이루어져 163마력의 최대 출력과 320Nm의 최대 토크를 냈다. 복합 연비는 약 17.3km/L였다. 미국 시장의 경우, 모델명을 변경하여 SE를 메인 스트리트, SXT를 히트(Heat), 그리고 R/T를 러쉬로 바꿨다. 모든 옵션이 들어간 고급 모델인 업타운과 검은색 플라스틱 도어핸들이 장착된 --깡통--기본형 차량인 익스프레스가 추가로 출시되었다. 익스프레스에는 자동 실내 온도 조절장치을 옵션으로 탑재하지 않은 유일한 모델이었고, 메인 스트리트에서는 과거 SE에서는 선택할 수 없었던 옵션인 크루즈 컨트롤, ABS 및 ESP가 추가되었다. 익스프레스를 제외한 모든 모델에는 17인치 휠이 적용되었다. [[2011년]]형에는 6가지 색상이 추가되었으며, ESP[* 익스프레스에는 탑재되지 않았다.] 기본 탑재, 시리우스 트래픽 기능이 탑재된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18인치 크롬 휠 옵션이 추가된 업타운,[* 기본 17인치 도색 휠], 새로워진 쇼크 업소버 및 더 단단해진 후방 안티롤 바 등이 러쉬와 히트에 추가되었다. 캘리버는 [[닷지 니트로]]와 함께 로고 변경 이후에도 램 로고를 유지한 닷지의 마지막 2종 차량이기도 했다.[* 니트로의 경우에는 조수석 및 운전석 매트에도 적용되었으나, [[2009년]]형 이후 생산된 캘리버에서는 더 이상 적용되지 않았다.] [[2012년]]형에는 모델명이 회귀하여 SE, SXT, SXT 플러스로 구성되었으며, SXT 플러스에서는 SXT에 적용된 18인치 알루미늄 휠과 6방향 조절 가능한 운전석 시트가 적용되었으나, SXT 플러스는 [[캐나다]] 시장에서 판매되지 않았었다고 한다. ==== 안전성 ==== |||| [youtube(6_7qb8WUpfk)] || |||| IIHS 충돌테스트 영상 || ||||<-2> '''{{{#ffffff 초기형 차량 [[IIHS|{{{#FFFFFF IIHS}}}]] 충돌 테스트 결과(2007년형~2009년형)}}}''' || || '''오버랩 테스트 및 전면부 충돌''' || '''{{{#008000 Good}}}''' 등급 || || '''측면 충돌''' || '''{{{#FF7F00 Marginal}}}''' 등급 || || '''지붕 강도''' || '''{{{#FFCA08 Acceptable}}}''' 등급 || || '''머리 고정물 & 시트''' || '''{{{#FF7F00 Marginal}}}''' 등급 || |||| [youtube(ye9C-e2AvPc)] || |||| NHTSA 충돌테스트 영상 || ||<-2> '''{{{#ffffff 후기형 차량 [[IIHS|{{{#FFFFFF IIHS}}}]] 충돌 테스트 결과(2010년형~2012년형)}}}''' || || '''오버랩 테스트 및 전면부 충돌''' || '''{{{#008000 Good}}}''' 등급 || || '''측면 충돌''' || '''{{{#FF7F00 Marginal}}}''' 등급 || || '''지붕 강도''' || '''{{{#FFCA08 Acceptable}}}''' 등급 || || '''머리 고정물 & 시트''' || '''{{{#008000 Good}}}''' 등급 || 사이드 커튼 에어백은 기본으로 탑재가 되었으나, 몸통을 보호하는 앞좌석 사이드 에어백은 옵션으로 들어갔다. 측면 충돌 시험 결과 'Marginal' 등급을 받았는데, 시험 차량에 앞좌석 사이드 에어백이 적용되지 않은 사양이었다고 한다. ==== 단종 ==== [[유럽]] 시장에서는 [[2010년]]을 끝으로 단종되었으며, [[2011년]]형은 같은 해 11월 23일을 끝으로 생산이 끝났으나 [[2012년]]형으로 [[미국]] 및 [[캐나다]] 시장에 재고가 판매되다가 단종되었다. 후속 차종은 [[알파 로메오 줄리에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닷지 다트]]가 계승하였다. ==== 판매량 ==== |||||||||||||| {{{#ffffff '''닷지 캘리버 판매량'''}}} || || '''국가별 판매량''' || '''[[대한민국]]''' || '''[[미국]]''' || '''[[캐나다]]''' || '''[[호주]]''' || '''[[프랑스]]''' || '''[[유럽]]''' || || '''2006년''' || 20대 || 92,224대 || 19,524대 || - || 1,314대 || 10,657대 || || '''2007년''' || 271대 || 101,079대 || 18,553대 || - || 1,903대 || 16,956대 || || '''2008년''' || 289대 || 84,158대 || 19,544대 || - || 1,294대 || 11,056대 || || '''2009년''' || 99대 || 36,098대 || 9,802대 || - || 443대 || 6,055대 || || '''2010년''' || 122대 || 45,082대 || 7,275대 || - || 167대 || 3,444대 || || '''2011년''' || 66대 || 35,049대 || 4,919대 || 1,257대 || - || 835대 || || '''2012년''' || - || 10,176대 || 282대 || 410대 || - || 24대 || || '''2013년''' || - || 45대 || 7대 || - || - || 1대 || || '''2014년''' || - || - || - || - || - || 1대 || || '''총합''' || '''867대''' || '''409,311대''' || '''79.906대''' || '''1,667대''' || '''5,121대''' || '''49,029대''' || ==== 제원 ==== ||<-2> {{{#cd3029 '''CALIBER'''}}} || || {{{#ffffff '''생산지'''}}}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일리노이]]주 벨비디어[br]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발렌시아 || || {{{#ffffff '''코드네임'''}}} || PM || || {{{#ffffff '''차량형태'''}}} || 5도어 [[준중형차|준중형]] [[해치백]] || || {{{#ffffff '''승차인원'''}}} || 5명 || || {{{#ffffff '''전장'''}}} || 4,414mm || || {{{#ffffff '''전폭'''}}} || 1,747mm || || {{{#ffffff '''전고'''}}} || 1.516[*SRT] ~ 1,533mm || || {{{#ffffff '''축거'''}}} || 2,635mm || || {{{#ffffff '''윤거(전)'''}}} || 1,520mm || || {{{#ffffff '''윤거(후)'''}}} || 1,520mm || || {{{#ffffff '''공차중량'''}}} || 1,345 ~ 1,500kg || || {{{#ffffff '''연료탱크 용량'''}}} || 51^^(AWD)^^ ~ 52^^(FWD)^^L || || {{{#ffffff '''타이어 크기'''}}} || 205/70R15[br]215/60R17[br]215/55R18[br]225/45R19 || || {{{#ffffff '''플랫폼'''}}} || 크라이슬러 PM/MK 플랫폼[* 미쓰비시 GS 플랫폼의 개량형] || || {{{#ffffff '''구동방식'''}}} || [[FF(자동차)|앞엔진-앞바퀴굴림(FF)]][br][[4WD|앞엔진-4바퀴굴림(F4)]][* 2007~2008년형 R/T 모델 한정] || || {{{#ffffff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 {{{#ffffff '''후륜 현가장치'''}}} || [[트레일링 암 서스펜션|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 [[멀티링크 서스펜션]] || || {{{#ffffff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 {{{#ffffff '''후륜 제동장치'''}}} || [[드럼 브레이크]][br][[디스크 브레이크]] || ||<-7> {{{#cd3029 '''파워트레인'''}}} || || {{{#ffffff '''엔진'''}}} || {{{#ffffff '''엔진 형식'''}}} || {{{#ffffff '''과급 방식'''}}} || {{{#ffffff '''배기량'''}}} || {{{#ffffff '''최고 출력'''}}} || {{{#ffffff '''최대 토크'''}}} || {{{#ffffff '''변속기'''}}} || ||<-7><#cd3029> {{{#ffffff '''가솔린'''}}} || ||<|4> [[크라이슬러 월드 가솔린 엔진|크라이슬러 월드]] || 1.8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798cc || 150ps || 17.3kg·m || 5단 [[수동변속기]] || || 2.0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998cc || 160ps || 19.5kg·m || 5단 [[수동변속기]][br][[CVT]] || || 2.4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2,360cc || 174ps || 22.8kg·m || 5단 [[수동변속기]][br][[CVT]] || || 2.4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2,360cc || 288ps || 36.6kg·m || 6단 [[수동변속기]] || ||<-7><#cd3029> {{{#ffffff '''디젤'''}}}[* 유럽 및 호주형] || || [[폭스바겐]] TDI (BKD)[* DPF 미적용] || 2.0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968cc || 141ps || 31.6kg·m || 6단 [[수동변속기]] || || [[폭스바겐]] TDI (BMR)[* DPF 적용] || 2.0L 직렬 4기통 || 싱글터보 || 1,968cc || 172ps || 31.6kg·m || 6단 [[수동변속기]] || [[파워트레인]]으로는 148마력의 1.8L [[크라이슬러 월드 가솔린 엔진|월드]] 가솔린 I4 엔진, 2.0L 월드 가솔린 I4 엔진, 2.0L [[폭스바겐|VW]] 디젤 터보 I4 엔진[* 유럽 및 호주형 SXT에 탑재되었다.], 2.4L 월드 가솔린/가솔린 터보 I4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와 함께 마그나 T355형 5단 [[수동변속기]], BG6형 [[아이신]]제 6단 [[수동변속기]], 게트락제 DMT6형 6단 [[수동변속기]], [[자트코]]제 JF011E형 [[CVT]] [[자동변속기]][* 다임러크라이슬러 차량 중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A클래스]]에 처음 탑재되었다.]가 탑재되었다. 옵션으로 전자제어식 [[4륜구동]] 기능이 탑재되었고 최적의 핸들링을 위해 40km/h~105km/h의 속도에서 가변 토크 기능이 적용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닷지의 차량)] [[분류:닷지/생산차량]][[분류:2006년 출시]][[분류:2012년 단종]][[분류:준중형 해치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