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원작 소설, rd1=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2>
{{{#fff {{{+2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2016)[br]''Will You Be Ther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fc8c4af1588d1670dfb7366f03cf016d16141beb563ebec9f24d9cac3d1ab753.jpg|width=100%]]}}} || || '''감독''' ||<|2>[[홍지영]] || || '''각본''' || || '''원작''' ||[[기욤 뮈소]]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 || '''제작''' ||민진수, [[민규동]], 박선혜 || || '''기획''' || || || '''촬영''' ||박홍렬 || || '''조명''' ||강대희 || || '''동시녹음''' ||이순성 || || '''음향''' ||이승엽, 김영록 || || '''편집''' ||김창주, 박경숙 || || '''미술''' ||장춘섭, 전성호, 김종석 || || '''음악''' ||김준성 || || '''출연''' ||[[김윤석]], [[변요한]], [[채서진]] 등 || || '''장르''' ||[[사이언스 픽션|SF]], [[어반 판타지|판타지]], [[로맨스]], [[드라마]], [[가상 역사 판타지|시대극]] || || '''제작사''' ||㈜수필름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롯데엔터테인먼트]] || || '''제작 기간''' ||[[2016년]] [[3월 22일]] ~ [[2016년]] [[6월 16일]]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6년]] [[12월 14일]] || || '''상영 시간''' ||111분 || || '''총 관객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1,168,782명 (최종) || || '''[[영상물 등급 제도|{{{#fff 국내 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 12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유명 소설가 [[기욤 뮈소]]의 동명 소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Seras-tu là?)를 원작으로 각색을 한 한국 영화. 한 남자가 수십 년 전 과거로 돌아가 젊은 자신을 만나고, 가장 후회됐던 순간을 바꾸기 위해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펼치는 [[타임슬립]]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시놉시스 == || [br]인생을 뒤바꾼 기적 같은 10번의 기회 “넌 30년 전의 나고, 난 30년 후의 너야” 2015년 현재 “간절히 바라는 소원이 있습니까?” 현재의 수현(김윤석)은 의료 봉사 활동 중 한 소녀의 생명을 구하고 소녀의 할아버지로부터 신비로운 10개의 알약을 답례로 받는다. 호기심에 알약을 삼킨 수현은 순간 잠에 빠져들고 다시 눈을 떴을 때, 30년 전 과거의 자신과 마주하게 된다. 1985년 과거 “분명 모르는 사람인데... 이상하게 낯이 익었어” 오래된 연인 연아(채서진)와 행복한 나날을 보내던 과거의 수현(변요한)은 우연히 길에 쓰러진 남자를 돕게 된다. 남자는 본인이 30년 후의 수현이라 주장하고 황당해하던 과거의 수현은 그가 내미는 증거들을 보고 점차 혼란에 빠진다. “과거는 되돌릴 수 없어. 지금 이 순간 역시,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이고.” “당신에겐 과거지만 나한테 미래에요. 그 미랜 내가 정하는 거고!” 사랑했던 연아를 꼭 한 번 보고 싶었다는 현재 수현의 말에 과거 수현은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느끼고 이어 믿기 힘든 미래에 대해 알게 되는데… '''그 때로 돌아간다면… 지금의 내 인생도 바뀔 수 있을까요?'''[br][br] || == 마케팅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u9qYAln1Gc)]}}} || ||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PjABdC_bXo)]}}} ||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7U35rZzkg4)]}}} || || '''최종 예고편'''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메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크리스마스 포스터.jpg|width=100%]]}}} || || '''메인 포스터''' || '''크리스마스 포스터'''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3인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투수현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해외 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3인 포스터'''}}}}}}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투수현 포스터'''}}}}}}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해외 포스터'''}}}}}} || ||<-3> '''바다 3종 포스터''' ||}}}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현재 수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과거 수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연아.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현재 수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과거 수현'''}}}}}} || {{{#!wiki style="margin: -3px -10px;" {{{-2 '''연아'''}}}}}} || ||<-3> '''캐릭터 포스터''' ||}}} || ==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당신\, 거기 있어줄래요/등장인물)] == 평가 == ||
★★ '''개성과 매력을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로 그저 흘러간다.''' -[[이동진]]- || 그동안 [[타임슬립]]을 소재로 한 영화들이 내세우던 긴박한 스릴이나 판타지 요소보다는 감독 특유의 섬세하고 따뜻한 감성이 묻어나는 [[멜로]]에 치중했다는 평이다.[[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015|#]] 다만 전체적인 개연성이 후반부로 진행될수록 떨어지며, 타임 패러독스 요소가 너무 간략하게 생략되었다는 비판점이 있다. 감동적인 내용이 진행되는 중 강태호 시점에서 뜬금없이 개그 요소가 나와 분위기를 망친다는 평도 있다. 그런데 사실 이 장점과 단점 모두 원작이 원래 그렇다. 원작과 똑같다는 게 장점이자 단점. == 흥행 == 제작비가 약 50억이라는 보도가 있어 손익분기점은 160~18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통 제작비가 30억일 경우 100만명을 손익분기점으로 잡는 편.] 개봉 첫 날 [[판도라(영화)|판도라]]에 밀려 2위로 시작하더니 이후 주말에는 [[라라랜드]]에 2위 자리를 빼앗겨 3위로 추락했다. 그리고 신작들이 다수 개봉한 2017년 1월 4일을 기점으로 사실상 스크린에서 내려갔다. 전국 관객 수는 약 116만명. == 여담 == * 내용이 [[tvN]]의 드라마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와 유사하다는 의견이 있는데, 사실 그 반대이다. 나인이 [[기욤 뮈소]]의 소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고[* 본래 나인 제작진도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의 판권을 사려 했으나 원작자가 판권을 안팔아서 소설의 모티브만 따오는 건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해서 그냥 판권을 사지 않았다고 한다.] 이 영화는 정식으로 소설 판권을 사서 리메이크한 작품이다. * [[기욤 뮈소]]가 [[김윤석]] 배우를 좋아하기 때문에 영화화 될 수 있었다. 영화 [[추격자]]를 보고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고 한다. [[http://ch.yes24.com/Article/View/30057|링크]] * 김윤석은 '실제로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기자의 질문에, "[[2014년]]으로 돌아가 '[[세월호 참사|타지 마라, 그 배에 타지 마라]]'라고 할 것"이라고 답한 바 있다. * 각종 매체에서는 세계 최초의 [[기욤 뮈소]] 소설 영화화라고 홍보하지만, 그 이전에 [[그 후에|그 후에 / 완전한 죽음 (Et Après)]]이 2008년 프랑스에서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75607|애프터워즈]]라는 제목으로 영화화 되었고 존 말코비치가 주연을 맡았다. 한국 공식 최초라고 보는 게 좋을 듯. * 과거의 일이 개변됐음에도 불구 수아의 존재를 잊지 않는다든가, 태호와 사이가 멀어진 걸 모른다든가 하는 걸 보면 시간에 대한 인식이 [[닥터후]]와 같은 듯 하다. ~~[[리딩 슈타이너]]~~ * 현재의 한수현(김윤석)과 과거의 한수현(변요한)이 차고 있는 시계는 독일 시계 브랜드 [[Junghans]] 의 max bill 027/3500.00 이다.[[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5&dirId=5040304&docId=268980200&qb=64u57IugIOqxsOq4sCDsnojslrTspITrnpjsmpQg7Iuc6rOE&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T5FfVlpVuECsstx03TKssssssss-488449&sid=Ww00SoAQJJczqB/WI13hDg%3D%3D|링크]] * 타임슬림 영화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백 투 더 퓨처]]' 오마쥬의 흔적들이 엿보인다. 작중 흐르는 배경 음악 중에 [[척 베리]]의 [[Johnny B. Goode]]가 있는데 이는 주인공 마티 맥플라이가 작중 내에서 부른 곡. 그리고 타임슬립 시기도 '백 투 더 퓨처 2'와 동일한 1985년과 2015년이다. 또한 바뀐 역사로 하여금 신문이나 사진 등이 소실되고 새로 만들어 지는 것 역시 '백 투 더 퓨처' 시리즈에 사용된 수법. * 김윤석의 비행기 화장실 씬에서 기장의 기내방송이 흐르는데 원래는 성우가 하려고 했다가 감독이 느낌이 안산다고 실제 항공사 기장을 섭외(이스타항공)하여 녹음을 진행했다고 한다. * 극중 1985년도 수현(변요한)과 태호(안세하)가 앉아서 대화하는 해변에서 인물들 뒤로 '광안리 해수욕장'이라는 현수막이 흐린 촛점으로 보이며 수평선 너머에는 다리 같은 것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설정이며 실제는 배경으로 보나 주변 상황으로 미루어 짐작할 때 송정해수욕장으로 보인다. 당시의 광안리해수욕장은 광안대교가 건설되기 전이라 실제 광안리해수욕장에서의 촬영으로는 교각을 CG등으로 편집하여 없애야 하는데, 그런 수고를 덜기 위해 85년경의 광안리 해변을 대체하여 섭외한 장소로 판단된다. * 영화 초반부 캄보디아 노인의 입을 통해 미국 작가이며 대중 연설가인 프란 레보비츠Fran Lebowitz의 말이 인용된다. "삶은 때때로 당신이 잠들지 못할 때에 벌어지는 일이다.Life is something to do when you can't get to sleep. [[분류:한국의 드라마 영화]][[분류:한국의 로맨스 영화]][[분류:한국의 SF 영화]][[분류:어반 판타지 영화]][[분류:시간여행물]][[분류:2016년 영화]][[분류:대한민국(20세기)/창작물]][[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가치봄]][[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