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大角干 현대로 치면 [[원수(계급)]]와 비슷한 [[신라]] 역사상 최상위 임시 관등. == 상세 == 원래 있던 관직인 신라의 17관등 중 제1등 [[각간]](=[[이벌찬]])에다가 대 자까지 붙여서 만든 임시직이다. 여기서 태 자까지 또 붙여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한 [[태대각간]]은 [[김유신]]과 [[김인문(신라)|김인문]]에게만 붙었지만, 그 아래인 대각간은 찾아보면 신라 천 년간 임명된 사례가 종종 보인다. 고대사에 대한 기록이 상당히 부실하기 때문에 기록상 이 정도 임명이 되었으면 누락된 대각간들은 더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대각간에 오른 사람들 == * [[구진]]: [[진흥왕]] 시대의 무인. * [[김유신]]: 660년 [[백제]]를 멸망시킨 후 대각간에 오르고 668년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 유일하게 살아서 [[태대각간]]까지 승진. * [[김인문(신라)|김인문]]: 살아있을 때는 대각간이었으며, 죽고 나서 태대각간으로 추서. * [[효양]]: [[원성왕]]의 아버지. 사후에 아들이 즉위하면서 추서. * [[김옹]]: [[성덕대왕신종]] 명문에 있다. * [[위홍]]: 생전에는 [[각간]]. 사후에 대각간 추서. [[분류:신라의 관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