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음3411WX.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동구3.png|width=100%]]}}}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3(부동 방면)}}}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부동종점) ||<-2>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칠성고가도로하단) || ||<|2> 종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2> 기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2> 배차간격 ||<-4> 1일 5회 (통합 26분) || ||<-2> 운수사명 || [[관음교통]] ||<-2> 인가대수 || 통합 4대 || ||<-2> 노선 ||<-4> __'''부동'''__ - 부동삼거리 - 해안동 행정복지센터[*A 칠성시장 방향 정류장 이름은 방촌빌라] - (방촌시장 →/← 대구선방촌공원) - 입석중교 - [[동구청(대구)|동구청]] - 평화시장 - [[칠성시장역]] - 칠성고가도로하단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3(옻골 방면)}}}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경주최씨종가) ||<-2>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칠성고가도로하단) || ||<|2> 종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2> 기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2> 배차간격 ||<-4> 1일 14회 (통합 26분) || ||<-2> 운수사명 || [[관음교통]] ||<-2> 인가대수 || 통합 4대 || ||<-2> 노선 ||<-4> __'''경주최씨종가 - 해안초교'''__ - 부동삼거리 - 해안동 행정복지센터[*A] - (방촌시장 →/← 대구선방촌공원) - 입석중교 - 동구청 - 평화시장 - 칠성시장역 - 칠성고가도로하단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3(K-2관사입구 방면)}}}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K-2관사입구) ||<-2>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칠성고가도로하단) || ||<|2> 종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2> 기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2> 배차간격 ||<-4> 1일 13회 (통합 26분)[* 1일 1회 구둔산 경유] || ||<-2> 운수사명 || [[관음교통]] ||<-2> 인가대수 || 통합 4대 || ||<-2> 노선 ||<-4> __'''K-2관사 - [[둔산동(대구)|둔산동]]'''__ - 부동삼거리 - 해안동 행정복지센터[*A] - (방촌시장 →/← 대구선방촌공원) - 입석중교 - 동구청 - 평화시장 - 칠성시장역 - 칠성고가도로하단 || ||<-2> 노선[br](구둔산경유) ||<-4> __'''K-2관사 - 둔산동 - (구둔산 →)'''__ - 부동삼거리 - 해안동 행정복지센터[*A] - (방촌시장 →/← 대구선방촌공원) - 입석중교 - 동구청 - 평화시장 - 칠성시장역 - 칠성고가도로하단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3(둔산 방면)}}}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구둔산) ||<-2>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칠성고가도로하단) || ||<|2> 종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2> 기점행 || 첫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막차 || 아래 시간표 참조 || ||<-2> 배차간격 ||<-4> 1일 9회(통합 26분) || ||<-2> 운수사명 || [[관음교통]] ||<-2> 인가대수 || 통합 4대 || ||<-2> 노선 ||<-4> __'''구둔산'''__ - 부동삼거리 - 해안동 행정복지센터[*A] - (방촌시장 →/← 대구선방촌공원) - 입석중교 - 동구청 - 평화시장 - 칠성시장역 - 칠성고가도로하단 ||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소''' || || '''옻골/구둔산/부동/K-2관사''' 방향 || 없음 || || '''칠성고가도로하단''' 방향 || 없음 ||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둔산동(대구)|둔산동]] [[대구 공군기지]] [[관사#s-2.1|관사]], [[둔산동(대구)|둔산동]] 구둔산, [[둔산동(대구)|둔산동]] 옻골마을, 부동에서 방촌동 방촌시장을 거쳐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칠성동2가 [[신천대로(대구)|칠성고가도로]] 하부까지 운행하는 [[관음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대구광역시 지선버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3002&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K-2관사 방면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3001&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옻골마을 방면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3003&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구둔산 방면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3000&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부동 방면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3004&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Y|K-2관사(구둔산 경유) 방면 정류소 목록]] == 역사 == * [[둔산동(대구)|둔산동]], 부동, 옻골마을 경주최씨종가 일대를 전담했던 11-5번이 이 노선의 전신이다. * [[1998년]] 노선번호 개편 때 11-5번으로 개통했다. * [[2003년]] [[5월 16일]] 신둔산행은 [[대구 공군기지]] 관사 안으로 연장했다. '''대구 공군기지 관사는 [[군사보호구역]]이므로, 민간인들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물론 운행하는 기사들과 위병근무 했던 사람들은 알겠지만, 사전에 고정 출입자 승인을 위해 '''신분조회'''가 되어 있다. [[대구 공군기지]] 관사 입구에서 [[국군 군사경찰|공군 군사경찰]] [[초병]]들이 탑승해서 일일이 탑승객의 신원 조회를 하기 때문에, '''관사 출입증이 없으면 군인 가족이 아닌 이상 관사 내로 들어갈 수 없다.''' '''출입증이 없는 민간인은 관사 입구에서 무조건 하차해야 한다.'''[* [[진해선]] [[통해역]], [[파주 버스 93|파주 따복버스 93번]], [[화천 버스 27|화천 농어촌버스 27번]], [[일본]] [[츠루미선]] [[우미시바우라역]](※ 우미시바우라역은 민간인도 들어올 수 있지만, 직원만 나갈 수 있는 역이다.), [[중국]]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우산역]], [[헤이스터우역]], [[싼자뎬역]](이 쪽은 중국 공안 전용 역이다.)과 비슷하다.] 이 노선은 관사 안쪽으로 깊숙히 들어간 다음 q자 모양으로 돌아서 나온다.[* 네이버나 카카오맵은 공군기지 관사 입구에서 회차하는 것처럼 표기되어 있다.][* 관사 안쪽은 동구3번 정류소, [[대구 공군기지]] 내부에서 운행되는 순환버스 정류소가 나뉘어져 있다. [[제11전투비행단]] 항목에 있지만, 대구 공군기지 안은 10~6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순환버스가 있다.][* 드물게 대테러 훈련이나 부대 사정으로 인해 부대 출입이 일시적으로 통제되어 운행이 지연되는 경우도 있다. 통행금지가 며칠 전부터 예고되어 있다면, 부대 지역으로 들어가기 직전에 차량을 회차할 때도 있다.] * 11-5번은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동구3번으로 바뀌었다.[* 2006년 노선 개편 때 방촌시장까지 단축하는 안이 검토되기도 했다. 이 안은 [[칠성시장]]을 이용하는 오지 지역 주민들을 위해 취소되었다.] * 2012년 7월 18일부터 [[둔산동(대구)|둔산동]], 부동 방면 한정으로 옛 대구선 선로 부지 도로를 경유한다. * 2014년 5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부동 536-1번 지선 확장과 포장 공사로 2개월 동안 도로가 폐쇄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당시 동구3번 부동행 노선은 부동 종점까지 들어가지 않고 부동삼거리에서 회차하였다. * 2017년 4월 30일부터 부동행은 부동 방면을 운행할 때 부동농협 부동창고를 경유한다. [[칠성시장]] 방면은 변동없다. == 특징 == * [[검단동(대구)|검단동]] [[성보교통]] 차고지에 가서 가스를 충전한 후, 칠성고가로 돌아와서 운행을 재개한다. [[방촌역]] 위 쪽이 있는 부동, [[둔산동(대구)|둔산동]]으로 가는 노선이라, [[동호공영차고지|반야월]]로 가서 가스를 충전하기는 많이 애매하다. [[경북대학교|경대북문]] 일대에서 [[검단동(대구)|검단동]]으로 충전하러 가는 동구3번을 볼 수 있다.[* 이는 밤에 [[칠성시장]]에서 운행을 마친 [[대구 버스 가창2|가창2번]]과 [[대구 버스 팔공1|팔공1번]]도 마찬가지다. 이들도 동구3번처럼 경대북문을 지나 검단동에 가서 가스를 충전하고 운행을 재개한다.] 특히, 밤 21시 이후 칠성고가 하단에서 출발하는 차량들과 22:30에 칠성고가에서 출발하는 부동행 막차는 출발하기 전에 반드시 [[검단동(대구)|검단동]]에서 가스를 충전한 후 칠성고가 하단으로 돌아와 출발하므로, '''야간에는 가스 충전을 마치고 공차로 이동하는 동구3번 차량을 경대북문에서 항상 볼 수 있다.''' * 회사 차고지 근처로 다닌다.[* [[방촌공영차고지]]가 [[둔산동(대구)|둔산동]]으로 가는 길(구둔산 및 신둔산방면)에 있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 급행9-1번과 함께 [[건널목|철도건널목]]을 건너는 두 개 노선 중 하나다. === 시간표 === __밑줄__은 칠성시장 → 경유지 막차 '''볼드체'''는 경유지 → 칠성시장 막차 || 칠성시장[br](출발) || 해안역 || 경유지 || 경유지[br](출발) || || 첫차 || 첫차 || 옻골 || 05:30 || || 첫차 || 첫차 || K-2관사 || 05:55 || || 05:45 || 06:07 || 부동 || 06:20 || || 06:05 || 06:28 || 옻골 || 06:45 || || 06:30 || 06:54 || K-2관사[br]구둔산[* 칠성시장으로 돌아올 때만 구둔산을 중간 경유한다.] || 07:15[* K-2 관사 출발 시간이다.] || || 06:57 || 07:23 || 옻골 || 07:40 || || 07:22 || 07:47 || K-2관사 || 08:07 || || 07:47 || 08:13 || 구둔산 || 08:30 || || 08:20 || 08:46 || K-2관사 || 09:05 || || 08:45 || 09:12 || 옻골 || 09:30 || || 09:10 || 09:36 || 구둔산 || 09:55 || || 09:30 || 09:56 || 옻골 || 10:15 || || 10:05 || 10:30 || K-2관사 || 10:50 || || 10:30 || 10:57 || 부동 || 11:15 || || 10:55 || 11:20 || 옻골 || 11:40 || || 11:20 || 11:46 || 구둔산 || 12:05 || || 11:55 || 12:20 || K-2관사 || 12:40 || || 12:25 || 12:52 || 구둔산 || 13:10 || || 12:45 || 13:11 || 옻골 || 13:30 || || 13:13 || 13:40 || K-2관사 || 14:00 || || 13:45 || 14:12 || 구둔산 || 14:30 || || 14:10 || 14:36 || K-2관사 || 14:55 || || 14:30 || 14:56 || 옻골 || 15:15 || || 15:00 || 15:27 || 부동 || 15:45 || || 15:25 || 15:50 || K-2관사 || 16:10 || || 15:55 || 16:21 || 옻골 || 16:40 || || 16:15 || 16:43 || 구둔산 || 17:00 || || 16:45 || 17:12 || K-2관사 || 17:30 || || 17:20 || 17:48 || 옻골 || 18:05 || || 17:47 || 18:15 || 구둔산 || 18:30 || || 18:07 || 18:35 || 옻골 || 18:55 || || 18:40 || 19:07 || K-2관사 || 19:25 || || 19:10 || 19:38 || 옻골 || 19:55 || || 19:35 || 20:02 || K-2관사 || 20:20 || || 20:00 || 20:25 || '''구둔산''' || '''20:37''' || || 20:12 || 20:35 || '''옻골''' || '''20:50''' || || 20:42 || 21:06 || '''부동''' || '''21:20''' || || __21:20__ || 21:42 || '''__K-2관사__''' || '''22:00''' || || __21:50__ || 22:15 || __부동__ || --22:30-- || || __22:00__ || 22:22 || __구둔산__ || --22:35-- || || __22:25__ || 22:44 || __옻골__ || --23:00-- || 경유지 출발시간에 취소선이 그어진 곳은 경유지 출발시간이 아니라, 경유지 종착 시간이다. 따라서 취소선이 그어진 마지막 차량들은 경유지→칠성시장 방면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바로 막차운행을 한 차들은 경유지까지 온후 무조건 방촌공영차고지로 회송하게된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095명 || - || || 2015년 || 1,073명 || {{{#blue,#6495ed ▽ 22}}} || || 2016년 || 978명 || {{{#blue,#6495ed ▽ 95}}} || || 2017년 || 936명 || {{{#blue,#6495ed ▽ 42}}} || || 2018년 || 789명 || {{{#blue,#6495ed ▽ 147}}} || || 2019년 || 900명 || {{{#red,#salmon △ 111}}}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64명 || {{{#blue,#6495ed ▽ 236}}} || || 2022년 || '''678명''' || {{{#red,#salmon △ 14}}}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방촌역]][* 칠성시장 방면만 정차], [[해안역]], [[동촌역]], [[아양교역]], [[칠성시장역]]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199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