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달구벌동구4블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일 동구4-1.jpg|width=100%]]}}} || || [[달구벌버스]] 차량 동구4 || [[한일운수]] 차량 동구4-1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4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동구4.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반야월역]])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상록아파트)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47 || 막차 || - || ||<-2> 배차간격 ||<-4> 17분 || ||<-2> 운수사명 || [[달구벌버스]] ||<-2> 인가대수 || 3대 || ||<-2> 노선 ||<-4> [[반야월역]] → 혁신도시입구 → 새론초교 → 나불지 → 새론중교 → 한국부동산원 → 한국가스공사 → 혁신2근린공원 → 대구경북지방병무청 → [[안심역|송정삼거리]] → 동호육교 → 상록아파트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4-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동호초등학교) ||<-2> 종점 ||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반야월역]])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49 || 막차 || - || ||<-2> 평일배차 || 13분 ||<-2> 주말배차 || 17분 || ||<-2> 운수사명 ||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2> 인가대수 || 4대[* 토요일 및 공휴일은 3대로 운행] || ||<-2> 노선 ||<-4> 동호초교 → 동호육교 → 송정삼거리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한국한의학연구원 → 한국가스공사 → 한국부동산원 → 새론중교 → 나불지 → 새론초교 → 혁신도시입구 → 반야월역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동구4''' 방향 || 없음 || || '''동구4-1''' 방향 || 없음 ||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호동 [[반야월역]]에서 각산동 새론초등학교를 거쳐 다시 반야월역으로 순환 운행[*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맞으나 기종점이 다르고 순환이 아닌 각 노선 편도로만 운행하는 비순환형 노선이다.]하는 [[달구벌버스]],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달구벌버스]]가 동구4번,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가 동구4-1번을 운행한다.] 소속의 순환형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대구광역시 지선버스]].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4000&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N|동구4번 정류소 목록]]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50004100&stop_busyn=N&move_dir=1&d_t_cd=0&view_cp_num=N|동구4-1번 정류소 목록]] == 역사 == * [[2014년]] [[10월 18일]]에 신설되었다. [[대구 버스 849, 849-1|849(-1)번]]이 맡았던 [[대구신서혁신도시]] 셔틀버스 역할을 한다. 동구4번은 [[달구벌버스]]에서 [[대구 버스 202|202번]] 1대와 [[대구 버스 202|202-1번]] 1대를, 동구4-1번은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에서 [[대구 버스 609|609번]] 1대와 [[대구 버스 909|909번]] 1대를 가져왔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노선 개편]] 때 각각 1대씩 증차했다. 배차 간격은 약 7분 정도 단축됐다. * 2017년 1월 21일 개편부터 [[한국가스공사]] 본사를 경유한다. 동구4-1번은 중앙신체검사소 편도구간 대신 동구4번처럼 대구경북지방병무청으로 직진한다. * 2019년 12월 23일 자로 동구4-1번 한정으로 [[대구 버스 909|909번]] 출신 차량 1대를 증차했다. * 2021년 1월 29일부터 동구4번 한정으로 송정2교 정류장에 정차한다. == 특징 == * 안심[[우체국]]에서 각산푸르지오로 직진하기 때문에 [[대구 버스 849, 849-1|849(-1)번]]이 맡고 있는 구간과 약간 상이한데, 사실상 [[대구신서혁신도시]] 순환셔틀버스다. [[수성구]] 순환버스 역할을 하는 [[대구 버스 수성1, 수성1-1|수성1(-1)번]],[* 범물/지산권 - 범어/만촌권 순환버스]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폴리스]] 순환버스 역할을 하는 [[대구 버스 달성8|달성8(-1)번]][* 2019년 4월 20일에 폐선되었다.]과 성격이 비슷하다. 대구신서혁신도시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으로 연계할 수 있는 노선이다. 대구신서혁신도시에 [[대구, 경산 버스 708|708번]]이 들어오지만, 708번은 업무단지나 주거지역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새론초등학교나 [[한국가스공사]] 본사같은 안쪽으로 가려면 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 처음 신설 때는 말이 많았으나, [[대구신서혁신도시]] 내부에 공공기관이 늘어나고 아파트도 점점 들어서면서 수요가 생각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동구4-1번은 [[안심역]]부터 만차로 신서혁신도시에 진입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그러나 대구시가 2021년 여름 무작정 방학감회에 동구4-1번을 포함해서, 동구4-1번을 기다리다 차를 아예 놓치는 상황이 자주 일어났다. 결국 승객들의 항의로 동구4-1번 방학감차를 1주일만에 철회했다. * 강동중고교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 막차 운행 시간표가 한 차례 변경됐는데, 동구4-1번은 막차가 '''대구 버스 치고''' 굉장히 늦게 출발한다. '''밤 10시 47분 출발이다.''' 현재는 동구4번도 밤 10시 47분으로 막차 시간이 통일됐다. 사실 대구 버스 치고 굉장히 막차가 늦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동구4(-1)번의 운행 거리 자체가 짧아서 20분이면 다 돌기 때문이다. 그것도 대구신서혁신도시 입주가 늘어나면서 밤 10시 3분 출발에서 점점 연장된 것이다. 한국가스공사 본사 경유로 운행 시간은 살짝 늘어날 예정이나, 첫막차 시간은 변경 없이 유지된다. * 동구4-1번은 한일운수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수성구]]([[시지지구]]), [[경산시]]로 가지 않는다. 또한 [[한일운수(대구)|한일운수]] 유일의 지선노선이다. * 측면 행선판을 보면, 동구4번은 동호지구 출발, 동구4-1번은 동호지구 종착으로 표시되어 있다. 동구4번은 반야월역(4번출구)1에서 출발, 동구4-1번은 반야월역(3번출구)에서 종료한다. 이는 명백한 오류다.[* 비슷한 사례들이 꽤 많다. 한때 [[대구 버스 527|527번]] 용산역 경유 표기가 오류로 지적받았다. 지금은 용산네거리로 수정되었다.] 그래놓고 중간 경유지에 반야월역을 표기했다. [[대구 버스 849, 849-1|849(-1)번]]과 다르게 반야월역과 동호지구를 직선으로 연결하지 않으므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다. 몇 년 전에 [[대구 버스 805|805번]]과 [[대구 버스 836|836번]] 동호지구 표기도 수정되었던 만큼, 동구4번 측면 행선판의 잘못된 표기는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 [[한국가스공사]] 본사를 오고가므로, 중간에 신서동 수소 충전소를 지나간다. 정류장은 한국뇌연구원(동구4번) 및 중앙교육연수원(동구4-1번)이다. === 시간표 === [평일/토요일/일요일/공휴일] 2021년 6월 9일 기준 [[파일:동구4_시간표_20210609.png]]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5년 || 384명 || - || || 2016년 || 888명 || {{{#red,#salmon △ 504}}} || || 2017년 || 858명 || {{{#blue,#6495ed ▽ 30}}} || || 2018년 || 754명 || {{{#blue,#6495ed ▽ 104}}} || || 2019년 || 679명 || {{{#blue,#6495ed ▽ 75}}}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04명 || {{{#blue,#6495ed ▽ 75}}} || || 2022년 || '''704명''' || {{{#red,#salmon △ 100}}}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동구4-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5년 || 381명 || - || || 2016년 || 906명 || {{{#red,#salmon △ 525}}} || || 2017년 || 930명 || {{{#red,#salmon △ 24}}} || || 2018년 || 969명 || {{{#red,#salmon △ 39}}} || || 2019년 || 858명 || {{{#blue,#6495ed ▽ 75}}}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770명 || {{{#blue,#6495ed ▽ 88}}} || || 2022년 || '''829명''' || {{{#red,#salmon △ 59}}}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 [[각산역]], [[안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안심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