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광남 북구2.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북구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구 북구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봉무공원) ||<-2> 종점 ||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동산의료원)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8 / '''[토요일]''' 05:45 / '''[공휴일]''' 05:41 || || 막차 || '''[평일]''' 22:20 / '''[토요일]''' 22:20 / '''[공휴일]''' 22:11 || 막차 || '''[평일]''' 22:59 / '''[토요일]''' 22:53 / '''[공휴일]''' 22:59 || ||<-2> 평일배차 || 15분 ||<-2> 주말배차 || 20분 || ||<-2> 운수사명 || [[광남자동차]] ||<-2> 인가대수 || 12대[* 토요일 및 방학 10대 / 공휴일 9대 운행] || ||<-2> 노선 ||<-4> 봉무공원 - 파군재삼거리 - (지묘동1 → / ← 팔공보성3차타운후문) - 연경초교[* 얼마 전부터 정식 정류소 명칭이 되었다. 실제 명칭은 연경초등학교앞/건너. ] - 이곡마을 - [[동서변동|무태조야동]] [[행정복지센터]] - 동변초·중교[* 정류소 이름은 동변주공그린빌] - 복현오거리 - [[경북대학교|경북대]]정문 - [[칠성시장역]] - 경명여고 - [[대구역]]북편네거리 - ([[약령시(대구)|약령시]]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동산의료원]] → 중구보건소) 이후 역순운행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서문시장''' 방향 ||약령시입구, 복현오거리, 무태조야동연경분소^^평일^^ || || '''봉무공원''' 방향 ||신세계병원 ||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봉무동]] 봉무공원에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산동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동산의료원]]을 거쳐 다시 봉무동으로 순환 운행하는 [[광남자동차]] 소속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41.1km.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4060002000&stop_busyn=N&move_dir=1&d_t_cd=1&view_cp_num=N|전체 정류소 목록]] == 역사 ==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개편]] 때 신설된 노선이다. [[대구 버스 503|503번]]으로 노선번호가 변경된 535번의 칠성시장역 구간을 이 노선이 대체한다. 신설 당시에는 결번인 순환1(-1)번을 대신하여 [[대구 1차 순환도로]]구간을 운행했는데,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처럼 행선지만 갈아치워서 시계방향/반시계방향 편도 교대 운행을 했다. * 2006년 9월 24일 개편 때 대구 1차 순환도로 구간을 시계방향 편도 운행으로 통합되었다. [[북구(대구광역시)|북구]] 구간에서도 [[연경동]]에서 파계교로 나오는 도로가 확장되자 [[공산동|지묘동]]으로 종점을 연장되었다. 시내에서 연경동 종점으로 갈 때 지묘동을 들렀다가 연경동 종점에 들어가는 방식이었다. 즉 종점이 노선 중간에 있는 방식이 되었기 때문에 지묘동에서 타서 연경동을 지나서 내리는 승객들은 연경동 종점에서 다른 차량으로 인계했다. 배차간격을 맞추기 위해 지묘동에서 5~10분간 대기하기도 했다. * 2012년 10월 20일 개편 때 [[대구역]]북편네거리([[DGB대구은행]]통일로지점)→[[대구역]]→[[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경대병원역|삼덕네거리]]→반월당 구간이 [[대구역]]북편네거리→[[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경상감영공원)→반월당 구간으로 직선화되고 지묘동에서 [[이시아폴리스]]로 간 뒤 U턴하여 [[봉무공영차고지]]로 들어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대구연경공공주택지구|연경지구]] 개발이 시작되면서 [[연경동]] 종점이 쓸려 나갔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에 이어서 종점이 [[북구(대구광역시)|북구]]가 아닌 [[동구(대구광역시)|동구]]로 옮겨졌다. * 2017년 들어 연경지구 개발이 빠르게 진척되면서 [[연경동]]의 왕복 2차선의 [[동화천로]] 구간이 확장된 신길 경유로 순차적으로 바뀌었으며 2018년 5월 24일자로 신) 동화천로로 완전히 이설되었다. * 2020년 3월 2일 개편부터 연경지구 내 첫 번째로 입주하는 [[연경동]] 금성백조 [[예미지]]를 경유한다. 기점도 봉무공원으로 변경했다. 회차는 [[광남자동차]]로 공차회송하여 간다. 기점으로 출발할때는 팔공보성아파트앞삼거리나 [[공산댐]]까지 올러가서 U턴하여 봉무공원으로 내려온다. [[성보교통]]에서 2대를 북구2번에 증차했다. * 2020년 10월 17일부터 [[광남자동차]] 단독 배차로 돌아온다. * 비슷한 케이스인 동구2번과 달리 2023년 2월 18일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사실 대구시가 이 노선을 순환형 노선처럼 시간표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 특징 == * 2012년 개편 이전에는 수요가 [[칠성시장]]과 경명여자중고교까지만 발생했다. 1차순환도로를 따라 도는 [[대구역]](북편) - [[경대병원역|삼덕네거리]] - 반월당 -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 - [[달성공원]] - [[대구콘서트하우스|대구시민회관]] 구간은 [[공기수송(교통)|공기만 있었을 정도였다.]].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처럼 [[대구역]]지하도에서 알박고 있던 모습이 좀 보였다. *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편도 경유로 직선화한 후 날이 갈수록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 정도가 줄어들고 있다. 개편 첫날부터 차량에 반 정도는 채운 채 중앙로역까지 운행하고, 이후에는 숫제 입석을 세우는 때도 있을 정도다. 1년 정도 지나자 노선이 많이 알려져서 산격동, 복현동, 경대정문에서 [[대구 버스 503|503번]]보다 북구2번이 먼저 오면 이걸 타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중앙로역을 왕복으로 운행하지 않는다는 게 아쉬울 뿐.[* 시간은 걸리지만 착석을 확실하게 보장받고 싶다면 중앙로역 인근에서 하차했던 정류소(약령시앞/경상감영공원앞)에서 북구2번을 승차하면 홈플러스 대구점, 경북대학교정문 방향으로 갈 수 있다.] * 12대 중 9대가 [[저상버스]]다. [[광남자동차]]가 주로 다니는 지역의 특성상, [[저상버스]]는 [[대구 버스 101, 101-1|101(-1)번]]과 북구2번에만 운행 중이다. [[저상버스]]가 많이 들어가는 노선이라, [[칠성시장역]]에서는 장보기용 캐리어를 큰 무리 없이 올리고 타는 어르신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시내에서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하더라도 [[칠성시장]] 이북 구간에서는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아지고, 경대 등교 시간대에 [[대구 버스 937|937번]]과 맞먹는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도 한다. 따라서 백업의 역할에도 충실하다. * 경대생들 중 1호선 환승을 위해 이 노선을 타려는 학생들도 꽤 많이 보인다. 경대정문(혹은 동문)에서 1호선을 타려면 [[대구 버스 410, 410-1|410번]]을 타고 [[신천역(대구)|신천역]]을 가거나[* 그러나 [[대구 버스 410, 410-1|410번]] 타고 정문에서 [[신천역(대구)|신천역]]으로 환승하러 내려가는 것은 절대로 좋은 방법이 아니다. 정문에서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 신암지하도/시청행을 타고 내려가면 [[신천역(대구)|신천역]] 2번 출구 바로 앞에 세워 주지만, [[대구 버스 410, 410-1|410번]]은 4번 출구 남쪽으로 170m 떨어진 [[대구은행]] [[신천동(대구)|신천동]]지점 삼거리에 세워 주기 때문에 [[막장환승]]이 된다. 그러나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은 배차간격이 크게 걸리며, 반대 방향은 좌회전 때문에 [[신천역(대구)|신천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따라서 정문에서 신천역을 시내버스로 오가는 것은 난이도가 꽤 있다.] [[대구 버스 503|503번]]을 타고 시내로 가거나 북구2번을 타고 [[칠성시장역]]을 가거나 [[대구 버스 937|937번]]을 타고 [[동대구역]]을 가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대구 버스 410, 410-1|410(-1)번]]은 배차시간의 문제와 들안로 수요로 인해 복잡하고 [[대구 버스 937|937번]]은 시도때도 없이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인 데다가 [[대구 버스 503|503번]]은 시내까지 가야 하는 터라 생각보다 경대정문에서 승객이 적고 쾌적한 북구2번의 인기가 있는 편이다. * [[대구 버스 306|306번]]과 [[대구 버스 403|403번]]처럼 경대정문에서 [[칠성시장]]으로 갈 때 대현육교 옆길을 통해 나가며, 무태/지묘동 쪽으로 올라갈 때 한정으로 공고네거리로 좌회전하여 들어간다. 개편으로 [[경대병원역]]을 운행하지 않지만,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 대중교통전용지구에서 지구의 날(차 없는 거리 행사),[* 하지만 일부 대구 시민들은 "지구의 날" 행사에 대해 쇼를 한다며 꽤 까고 있다.] 컬러풀 대구 페스티벌같은 행사가 열려서 [[대구역]]네거리와 [[반월당역]] 사이의 차량 및 시내버스 진입이 전면 통제되면 구 경로로 운행되기도 한다.[* 2016년 11월 박근혜 하야 촛불집회에서는 반월당-중앙네거리 구간이 통제된 관계로 [[대구역]](북편) → 경상감영공원 → 중앙네거리 → 공평네거리 → 봉산육거리→ 반월당 순서로 운행되었다.] * 노선 변경 전에는 [[이시아폴리스]] 구간이 편도 운행 구간이었기 때문에 이시아폴리스에서 서문시장 방면으로 가기 위해서는 파군재삼거리에서 환승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하지만 2020년 3월 2일부터는 기종점이 봉무공원으로 변경되고 파군재심거리 - 봉무동 구간을 왕복 운행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지묘동의 경로는 기존처럼 봉무공원 방향은 팔공3차보성타운후문을, 서문시장 방향은 지묘동1을 경유한다.[* 팔공보성3단지 → 왕산우방타운으로 차량 진입(직진)이 안된다. 편도운행하는 건 이 때문이다.] * 봉무공원 도착 후에는 [[봉무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 기사 교대 및 전기 충전도 차고지까지 공차회송후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이 워낙 번거로워서 일부 차량은 차고지까지 가지 않고 이시아폴리스삼거리에서 U턴하거나 불로119안전센터를 경유해 회차하는 모습도 보인다. 한편 운행을 시작하는 차량은 차고지에서 내려와서 이시아폴리스 더샵 3차 앞의 우회전 합류차로에서 시동을 끈 채 출발 시각 전까지 대기하고 있다. 시간표 상 한 차량의 운행이 봉무공원에서 끝나면 대기하던 다음 차가 곧바로 봉무공원 정류소로 U턴하여 운행을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봉무공원에 연속으로 들어오는 북구2번 버스 중 앞차는 하차만 가능하고, 뒤차가 실제 서문시장까지 가는 차량이다. * 여담으로 북구 지선버스들 중 유일하게 2015년 8월 1일 개편때는 노선이 변경되지 않았는데 다만 상술했듯이 2020년에 노선이 변경되었다. 또한 북구 지선버스들 중 유일하게 [[서구(대구광역시)|서구]]를 지나지 않는다.[* 이는 서구와 북구의 경계인 만평네거리를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 가스 충전은 [[성보교통]] 차고지에서 한다. 2022년 12월부터는 [[봉무공영차고지]]에 [[전기버스]] 충전기 2대가 설치되어 북구2번에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2대가 투입됐다. * [[대구 버스 동구2|동구2번]] 못지않은 장시간 운행 노선이다. 북구2번도 동구2번처럼 단기회차 지점이 없고, 한 타임에 평균 2시간 30분 걸린다. 가스 충전도 문제지만, 차고지에서 봉무공원까지 공차회송해야 한다. [[봉무공영차고지]] 회차 시간이 34분이지만 가스 충전과 공차회송에 이 시간을 써야 한다. 다만 동구2번과 달리 중간종료는 폐지된다. * 달성공원으로 직진하는 노선임에도,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동산의료원]]에서는 병원 바로 앞 정류장(앞1)이 아닌 405번이 정차하는 앞2 정류장에 정차한다. 651번도 이 정류장에 정차한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북구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3,661명 || - || || 2015년 || 3,658명 || {{{#blue,#6495ed ▽ 3}}} || || 2016년 || 3,763명 || {{{#red,#salmon △ 105}}} || || 2017년 || 3,744명 || {{{#blue,#6495ed ▽ 19}}} || || 2018년 || 3,405명 || {{{#blue,#6495ed ▽ 339}}} || || 2019년 || 3,544명 || {{{#red,#salmon △ 139}}}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3,559명 || {{{#red,#salmon △ 15}}} || || 2022년 || '''3,855명''' || {{{#red,#salmon △ 29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2021년 일평균 승차량이 2019년 대비 크게 감소한 타 노선에 비해, [[연경지구]] 연장을 기반으로 북구2번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유통단지 일대를 경유하는 [[대구 버스 503|503번]]과 달리, 복현오거리에서 동서변동을 경유하여 운행하므로 훨씬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반월당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칠성시장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청라언덕역]], [[반월당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 * 일반 철도역 : [[대구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