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진 123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진1248호.jpg|width=100%]]}}} || ||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 차량 수성1 ||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 차량 수성1-1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수성1.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행정복지센터) ||<-2>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39 || 막차 || - || ||<-2> 배차 ||<-4> 17분 || ||<-2> 운수사명 ||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동아백화점수성점 - (목련시장[*A 정류소 이름은 지산목련아파트] → 수성고교 → TBC → 황금네거리 → 어린이세상 → [[수성구청]] → 만촌육교 → 국립대구박물관 → 수성소방서 → 지산타운) 이후 역순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1-1번}}} || ||<-2>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주민센터) ||<-2>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주민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 || || 막차 || 22:35 || 막차 || - || ||<-2> 배차 ||<-4> 18분 || ||<-2> 운수사명 || [[신진자동차(대구)|신진자동차]]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동아백화점수성점 - (지산타운 → 수성소방서 → 국립대구박물관 → 만촌육교 → 수성구청 → 어린이세상 → 황금네거리 → TBC → 수성고교 → 목련시장[*A]) 이후 역순 || == 개요 == 대구시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이며 [[수성구|수성구내]]를 순환운행하는 순환형 지선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http://naver.me/x92ZCfkF|수성1번]], [[http://naver.me/GPMvD12T|수성1-1번]]) == 역사 == * 2006년 2월 19일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이지만 당시 [[대구 버스 524|521번]]으로 단축된 242번의 황금동, 범물1동 순환 구간을 이어받았다. 단거리 노선이라 지선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간선 노선보다 막차가 [[대구 버스 동구4, 동구4-1|동구4/동구4-1번]]과 더불어 꽤 늦게까지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자사 차고지를 드나드는지라 [[공차회송]]도 없고, 아침 중간출발/야간 중간종료도 없다. 황금동, 범물동, 무학네거리(수성소방서) 방면에서 [[만촌역|2호선 만촌역]]과 연계하여 [[반월당역|시내]]로 환승할 수 있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으로 [[대구 버스 524|521번]]으로 단축된 242번이 순환했던 구간을 이어받았는데, 신천지타운과 황금네거리를 바로 연결하지 않는다는 점만 다르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지범로 직통 대신 용학로(수성고교, 목련시장)로 노선이 조정되었다. 막차 시간표도 조금 당겨졌다. 이는 지범로 직통 구간을 [[대구 버스 604|604번]] 수성구 구간 단축판인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수성3-1번]]과 맞트레이드했기 때문이다. == 특징 == * 짧지만 알찬 노선. [[수성구]] 지역 중 범어·만촌권과 지산·범물권을 연결하는 단거리 순환버스의 역할을 한다. * 달서구의 지선버스 노선인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달서4-1번]]의 사례처럼 학생들의 통학수요가 높은 노선이다. 게다가 [[대구광역시|대구]] 관내의 네임드급 양대 [[재수학원]]이 모두 이 노선의 사정권 안에 있는 [[수성구]] 범어권에 있어서 [[재수생]]들의 수요까지 더해진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2004 수능 이후 현재의 [[어린이세상역]] 바로 건너편([[대구 버스 204|204번]] 전용 정류장이 있는 그 곳)에 열었던 범성학원을 시작으로 다른 [[재수학원]]들이 시내를 떠나 [[수성구]]로 옮겨 왔기 때문이다. 범성학원은 한때 [[수성구]] 소재 유일의 재수학원이었다. 그래서 시내 쪽 [[재수학원]]이 마감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달서구]] 쪽 학생들이 극소수로 범성학원에 온 적이 있었다.] * 영향권에 있는 학교로는 '''범일중학교, 수성고등학교, 지산중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황금중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경신중학교, 경신고등학교, 오성중학교, 오성고등학교, 동도중학교, 정화중학교, 정화여자고등학교, 경북고등학교의 14개'''이며 (간접 영향권에 '''능인중학교, 능인고등학교'''를 포함하면 16개다.) 재학생 2,000여 명이 다니는 수성권 양대 [[재수학원]]인 '''송원학원'''과 '''지성학원'''[* 수성1(-1)번은 지성학원 바로 앞으로 오지 않으며, 이용하고 싶으면 [[범어역]]을 횡단해야 한다.]도 영향권에 있다. 중고교생들의 통학에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며, 덕분에 통학 시간만 되면 만차가 되기 일쑤다.[* 정화중학교, 동도중학교 학생들이 하교 시 이용하는 동도중학교 정류장에서는 손샘학원 등 주요 학원들이 밀집된 경신고등학교 정류장 및 그 주변 정류장으로의 이동을 위해 매우 많은 학생들이 탑승하는데,(근데 요즘은 경신고등학교 정류장에 21:15-18분 사이에 오는 버스는 그나마 혼잡도가 줄어들었다) 쉽게 만차가 되어 다음 버스를 15분이나 기다려서 타야 할 수 있기에 버스가 오기만 하면 첫번째 도로 한가운데까지 줄이 이어지고, 서로 밀면서 꾸역꾸역 문이 안 닫히기 직전까지 탑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신고등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는 사람이 매우 많아서 휩쓸려 같이 내려가거나 내리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한다.][* 황금중학교의 경우도 하교시간 [[경산 버스 100]]과 함께 범어동 학원가로 이동하는 수요가 만만치 않다. 게다가 타 버스의 배차간격으로 인해 수성구민운동장까지 이동하는 수요가 겹치는 날에는 더욱 혼잡하다. 이 곳은 정화중학교나 동도중학교와 달리 걸어서 범어동까지 이동하기에 너무 멀기 때문에 버스로 학생들이 몰릴 수 밖에 없다.] [[만촌역]] 이남 구간 및 용학로 구간 외에는 도시철도와 꽤 중복되는 주제에 지산, 범물, 황금, 범어, 만촌동 각 학교를 환승 없이 연결하고, 대부분 학생들의 주거지를 연결하기 때문에 수요가 막강하다. [[모의고사]]일이나 행사날이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신설 당시 범물1동행정복지센터에서 지범로 직통(경찰청 미경유)으로 [[수성못역|두산오거리]]를 통해 [[동대구로]]로 진출했으나, 개편 후 용학로로 변경되면서 [[동대구로]]와 들안로, 무학로 등에서 수성고등학교로의 통학 방법이 개선되었다.[* 수성고등학교 앞에는 처음에 [[대구 버스 401|401번]]만 운행했고, [[대구 버스 604|604번]]이 2번의 개편으로 잠깐 들어왔으나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대구 버스 604|604번]]의 폐지와 함께 단축판인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번]]이 신설됐다. [[동대구로]] 방향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은 기존에 지산목련아파트까지 버스를 타고 와서 다시 걸어서 내려가거나 아예 [[수성못역]]에서 걸어가는 루트를 이용했다.][* 용학로에 수성1/수성1-1번이 운행하면서 [[동대구로]]와 지범로를 잇는 구간은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수성3-1번]]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22시만 되면 양방향(수성1번, 수성1-1번) 모두가 만차가 되는 때가 있는데, [[범어역]]부터 [[만촌역]] 사이의 학원가에서 학생들이 동시에 쏟아져 나오기 때문이다. 학원가가 [[달구벌대로]]에 위치해서 수많은 버스와 바로 아래의 2호선으로 분산되지만 정작 황금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방면 승객을 담당하는 노선이 수성1/수성1-1번 하나뿐이다. 이 중 심각한 것은 수성1-1번이다. '''송원학원이 있는 [[수성구청역]]에서 한 번에 만차가 되며, 그랜드호텔([[범어역]])에서 하차가 발생해도 다시 지성학원 학생들이 쏟아져 들어온다.''' 게다가 2호선 [[범어역]]에서 환승객이 쏟아져 나오는 경우라던가, 유일한 대체 노선인 [[대구, 경산 버스 814|814번]]의 배차간격이 꼬이는 경우, '''체감 혼잡도는 [[서울 지하철 9호선]]에 준한다.'''[* 범어네거리의 신호 체계가 [[달구벌대로]]에서 [[동대구로]]로 진입하는 좌회전 신호 다음에 동대구로 양방향 직진신호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814번보다 수성1-1번이 먼저 [[범어역]] 수요를 먹는다.] 비슷한 경로를 [[경산 버스 100-1|100-1번]]이 운행 중이지만, 안그래도 배차간격이 긴 [[경산 버스 100-1|100-1번]]은 밤 9시만 되면 막차가 끊겨 버려 [[재수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의 수요를 전혀 분산하지 못한다.(그러나 100-1번 2021년 1월 1일부터 막차 시간 연장으로 경신고등학교 기준 막차가 22:13분/그랜드호텔 앞은 22:19분에 지나가기 때문에 수요가 조금이라도 분산은 된다.) * 2호선 [[범어역]]과 [[만촌역]] 등에서 환승할 수 있다. 노선 형태를 보면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지선]]'의 역할에 아주 걸맞는 모습이다. 814번의 막강한 수요를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하지만, 범어네거리의 신호 체계와 [[동대구로]]의 정체 때문에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만촌역]]의 경우 황금동과 지산, 범물동으로 들어오는 노선이 많이 중복되기 때문에 혼잡도가 덜한 편이다.[* 물론 [[러시 아워|통근, 통학시간대]]에는 예외다.] * 이 노선이 환승 셔틀인 가장 큰 이유는 '''막차 시간'''이다. 기종점이 같고 단거리 셔틀 노선 성격인지라 수성1번의 경우 '''막차가 [[용지역|범물1동행정복지센터]]에서 22시 41분에 출발하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막차가 세 번째로 늦었었다. 원래는 22시 48분에 출발했고 이 때는 제일 늦었다. 이후 41분으로 단축되었다. 대부분 노선이 기점 기준 22시 30분 전에 끊기거나 혹은 더 일찍 끊긴다.][* 원래는 수성1-1번도 동시에 [[용지역]]에서 출발했으나 운행시간표 개정으로 막차 시간이 10분 가량 당겨졌다.] '''중간 종착이 없다.''' [[만촌역]]에서 23시 10분쯤에도 막차를 이용할 수 있다.[* [[수성구청역]] 23시 6분 통과 기준, 교통 상황에 따라 도착 시간은 다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지선버스 중에서 제법 승차량이 많다.[*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이 노선]]보다 배차간격이 길어도 수요는 더 많다.]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app/#/inside/use|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2,299명 || - || || 2015년 || 2,117명 || {{{#blue,#6495ed ▽ 182}}} || || 2016년 || 1,711명 || {{{#blue,#6495ed ▽ 406}}} || || 2017년 || 1,686명 || {{{#blue,#6495ed ▽ 25}}} || || 2018년 || 1,571명 || {{{#blue,#6495ed ▽ 115}}} || || 2019년 || 1,594명 || {{{#red,#salmon △ 23}}}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231명 || {{{#blue,#6495ed ▽ 363}}} || || 2022년 || '''1,263명''' || {{{#red,#salmon △ 32}}}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수성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2,489명 || - || || 2015년 || 2,328명 || {{{#blue,#6495ed ▽ 161}}} || || 2016년 || 2,002명 || {{{#blue,#6495ed ▽ 326}}} || || 2017년 || 1,961명 || {{{#blue,#6495ed ▽ 41}}} || || 2018년 || 1,784명 || {{{#blue,#6495ed ▽ 177}}} || || 2019년 || 1,826명 || {{{#red,#salmon △ 42}}}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350명 || {{{#blue,#6495ed ▽ 476}}} || || 2022년 || '''1,412명''' || {{{#red,#salmon △ 62}}}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수성1번은 만촌육교 정류장이 좀더 낫다. 수성1-1번은 [[만촌역]] 1번 출구 앞에 전용 정류장이 있다. 정류장 위치상 만촌육교에서 정차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으로, 기존에는 1번 출구 바로 앞에 표지판만 있었으나 1번과 4번 출구 사이에 전용 정류장을 새로 만들었다.]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용지역]], [[범물역]], [[수성못역]], [[황금역]], [[어린이세상역]], [[수성구민운동장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지산범물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2006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