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98년 5월 5일 ~ 2006년 2월 18일까지 운행하였던 306번, rd1=대구 버스 706)] [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음교통 306.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6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3060.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산격동]]([[종합유통단지|유통단지]]회차지) ||<-2>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대구)|대곡동]](대곡공원) || ||<|2> 종점행 || 첫차 || '''[평일, 토요일]''' 05:30 / '''[공휴일]''' 05:33 ||<|2> 기점행 || 첫차 || 05:30 || || 막차 || 22:30 || 막차 || '''[평일]''' 22:14 / '''[토요일]''' 22:13 / '''[공휴일]''' 22:03 || ||<-2> 평일배차 || 15분 ||<-2> 주말배차 || 18분 || ||<-2> 운수사명 || [[관음교통]] ||<-2> 인가대수 || 19대[* 토요일 17대 / 공휴일 15대 운행] || ||<-2> 노선 ||<-4> 유통단지 - 복현오거리 - [[경북대학교|경북대]]북문 - 동대구시장 - [[칠성시장]] - [[경북대학교병원|경북대병원]] - [[반월당역]] - [[영남이공대학교|영남이공대]]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본리초교 - 월성2동 행정복지센터 - 월성1동 행정복지센터 - 진월초교 - 대곡주공5단지[* 306번 단독 구간이다.] - [[대곡고등학교(대구)|대곡고교]] - 대곡2지구 - 대곡공원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대곡지구''' 방향 ||반월당역^^평일, 토요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공휴일^^, 강남약국^^평일, 토요일^^, 복현우체국 || || '''유통단지''' 방향 ||대명공연거리, [[서부정류장역]], 월성2동행정복지센터 || == 개요 ==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2동 종합유통단지(3)에서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남산동(대구)|남산1•2동]] 반월당역(0)을 거쳐 달서구 대곡동 [[대곡동공영차고지]](6)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8.6km. [[http://naver.me/GZ72XvB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파일:DAEGUBUS12.jpg|width=100%]] || || 12번 시절의 모습.(출처 : KBS 9시 뉴스)[* 사진 차량은 관음교통 소속 대구 5 자 3401호 1990년식 BS105. 재미있게도 지금 3401호도 306번에서 운행중이다.] || * 구 12번 일반버스([[망우당공원]] - 본리동 [[경신교통]] 차고지[* 지금 이 자리는 달서유림노르웨이숲이 들어섰다.])가 전신이다.[* 비슷한 [[좌석버스]]는 518번 전신인 구 312번이었다.][* 1980년대 고정 배차 당시 12번 노선은 [[우진교통(대구)|우진교통]], 경신교통, [[창성여객(대구)|대경교통]]이 운행했다.] 80년대까지는 경신교통 차고지 인근에 가축시장이 있어서 행선판에 '''가축시장'''이라 표기하고 다녔다. * 1998년 5월 개편 때 번호를 106번으로 변경했다. 노선 경로도 동본리네거리[* 12번 시절에는 현 518번처럼 서부정류장에서 동본리네거리까지 와서 우회전한 후 성당주공아파트(현 성당래미안아파트)와 본리초교를 거쳐서 본리동 종점으로 갔다.] 대신 구.남중학교로 변경하였다. * 1998년 9월 4일 개편 때 종점을 월성2동사무소를 거쳐 경신교통 차고지에서 대건중.고교로 연장하였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개편]] 때 서부정류장 - 본리네거리 간 직선화 방안을 검토하였으나, 취소하였다.[* 이 구간은 신설된 651번이 운행한다.] 인가대수 12대를 감차하였다. * 2006년 5월 때 [[대구 버스 808|808번]] 금호행 출신 차량 2대를 증차하였다. * 2007년 8월 개편 때 월성1동행정복지센터와 진천네거리를 거쳐, 대곡동공영차고지로 종점을 연장하였다.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 대곡지구와 [[이마트 월배점]] 연결 기능을 대체한다.[* 달서1번은 연장 이후에도 이마트월배점 구간을 경유하지만, [[굴곡 노선/버스|비둘기아파트로 멀리 돌아간다.]] '''차라리 걸어가는 게 더 빠르다.'''] '도원네거리 - 대곡주공6단지 - 대곡중/대구교대부설초교' 구간을 왕복 순환하고, 종점으로 들어간다. 증차 없이 연장하였으므로, 평일 배차간격은 10분에서 13분으로 대폭 늘어났다.[* 관음교통에서 감차할 만한 노선이 없었다. [[대구 버스 719|719번]]은 관음교통 참여 노선 중 가장 수요가 많았다. 금호행 808번 인가대수는 당시에 대구대행 인가대수보다 적었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망우당공원 - 반월당역 구간 대신 [[대구 버스 305|305번]] 유통단지 - 반월당역 구간으로 변경하였다. [[대구 버스 518|518번]]과 중복도가 높아서, 원래 2015년 개편 때 폐지할 예정이었으나 개편을 앞두고 노선 변경으로 계획으로 변경하였다. 망우당공원 - 반월당역 구간은 518번과 [[대구 버스 805|805번]]이 대체한다. 노선 번호도 306번으로 변경하였다.[* 1998년 개편 직후 101번과 111번 폐지로 17년 만에 본리네거리~칠성시장 직통 노선이 부활한 셈이다.] 305번처럼 경북대서문앞 정류장은 무정차한다. 운행 회사는 이전처럼 동일하게 [[관음교통]]에서 단독 운행한다. * 2016년 3월 18일부터 경북대서문앞 정류장도 정차한다. * 2016년 12월 막차 시간 연장으로 대곡 방향 중간종료들[* 대구시설공단, 대명공연거리(당시 정류장 이름은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이었다.)]을 추가하였다. * 2017년 1월 21일 개편 때 대곡지구 순환 구간을 기업은행대곡지점 - 대곡주공5단지 - 진월초등학교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5월 4일 개편 때 대곡주공6단지 - 교대부설초등학교 - 대곡주공8단지 구간 대신 대곡고교 - 대곡2지구3단지 - 대곡공원 구간으로 변경했다. 종점 정류장은 대곡주공9단지 서쪽에 신설된 대곡공원 정류장이다. 평일 배차간격은 14분에서 15분으로 늘어났다. 대곡주공5단지 중간종료도 추가하였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대곡공원 방면 막차의 유통단지 출발 시간이 22시 45분에서 22시 30분으로 변동되었다. == 특징 == * 도시철도 사각지대 본리동과 성당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노선이다.[* 이 노선이 다니는 본리네거리 근처 덕인초교나 본리파출소 정류장은 교통 오지 지역이다.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마저 노선 개편으로 현대백조아파트와 감천네거리로 돌려서 306번과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만 남았다.] 간선이지만, 굴곡 구간에서 [[대구 버스 524|524번]]처럼 지선 기능을 대신 수행한다. * 진천로를 '''양방향'''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대곡지구에서 지하철로 환승할 때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환승할 수 있는 노선이다. 이마트 월배점에서 하차한 후 [[진천역]]으로 걸어가서 환승할 수 있다. * 한때는 월성지구에서 [[동성로(대구)|동성로]]로 가는 둘뿐인 노선이었다. 306번으로 개편된 이후에는 반월당역에서 동성로 대신 경북대학교병원을 경유하게 되면서 해당되지 않는다. * 노선 역사와 승객 이용 패턴은 크게 세 부분으로 분류한다. 첫 번째는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연장했던 '대곡지구 - 월성지구 - 본리네거리' 구간이다. 굴곡 구간이므로, 단거리 수요가 대부분이다. 학생 수요는 제법 많다. 두 번째는 구 12번 시절부터 꾸준히 운행하는 '본리네거리 - 반월당역' 구간이다. 이 노선 수요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곳이며, 이 구간 내에서 서부정류장역 환승 수요와 시내를 오가는 수요가 많다. 세 번째는 구 305번이 운행했던 구간, '반월당역 - 종합유통단지' 구간이다. 구.305번 승객들이 넘어온 정도다. * 305번 시절과 비교하면 경북대생 수요는 조금 줄어들었는데 305번은 경북대~반월당 수요뿐만 아니라 성서 거주 경북대생 수요도 많았기 때문. 306번이 되면서 월배 지역과 경북대학교를 이어 주지만, 월배 지역 거주 경북대생들에게 존재감이 없다. 신월성과 본리초등학교 굴곡이 있으므로, 소요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구 버스 급행6|급행6번]]이나 706번, 또는 1호선을 탄 뒤 버스로 환승하거나 신천역에서 내려서 스쿨버스를 탄다.] 거기다가 배차간격도 305번 시절에 비해 6분가량 늘었다. 다만 경북대를 반바퀴 끼고 돔 + 건재한 지하철 환승수요[* 1호선 [[칠성시장역]]과 2호선 [[경대병원역]]까지 가려는 경북대생들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한다.] + 묘하게 긴 배차간격이 어우러져 등하교 시간 반월당~경북대 구간은 여전히 복잡하다. * 장기 정차는 유통단지에서 한다. * 기사 교대는 [[칠성교]]([[NH농협은행]] 경북영업부)에서 실시한다. * 관음교통이 단독 배차하므로, 대곡 방향 종료 차량 공차거리가 상당하다. 특히, 306번은 [[대구 버스 649|649번]]과 더불어 기점 출발-기점 종료, 종점 출발-종점 종료 순번이 대부분이므로, 6권역 업체가 필히 참여해야 한다. * 이 노선을 간혹 [[대구 버스 706|706번]]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706번 구 번호가 306번이었기 때문이다. * 대곡2지구에 가장 먼저 진입하는 노선이다.[* 306번 대곡2지구 진입 배경은 두드리소 답변 내용에 있다. 대곡지구 노선들 가운데 대곡지구 수요가 가장 적었다는 이유로 변경했다.] 단점은 굴곡도 심화가 있다.[* 306번은 본래 106번 때부터 지선 성격이 강한 간선이지만, 갈수록 지선화가 심해지고 있다.] 기존 남도버스 종점에서 대곡2지구를 거쳐 유통단지로 간다. 게다가, 큰 도로가 아닌 왕복2차로 한실로6길을 거쳐 제일풍경채에 정차한다.[* 5월에 준공하는 건 제일풍경채가 아니라 서한 이다음이다.][* 대구 시내버스 특징은 지선버스들도 간선버스처럼 큰 도로 위주로만 운행한다. 정작 여기는 신도시이지만, 버스가 손님들을 택시처럼 아주 모시러 가는 수준으로 경로를 짜놨다. 정류소 위치를 북동쪽으로 이설해도 문제 없다. 100% 운행 지연이 발생할 좁은 도로에 간선버스를 넣은 것이 문제점으로 떠올랐다.] * 왕복 길이가 48.6km이지만, 왕복 길이에 비해 평균운행시간(120분)이 제법 많이 나온다. 왕복 길이가 비슷한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은 평균운행시간이 99분이며, 왕복 길이가 62.9km인 649번은 평균운행시간이 306번보다 2분 더 적다. 306번은 다른 노선들에 비해 정체 구간을 유독 많이 거치고, 좌우회전 신호를 많이 받고, 굴곡도가 너무 높아서 그렇다. 대곡공원~월성지구~본리네거리 구간은 사실상 굴곡도가 높은 지선의 선형에 가깝다고 전술했는데, 특히 이 구간 때문에 306번의 평균운행시간이 왕복 길이에 비해 많이 나오는 듯 하다. 대곡공원~서부정류장 구간의 평균운행시간이 1시간에 가깝다. * 대명공연거리 - 월성e-편한세상 구간은 [[대구 버스 651|651번]]과 겹치는 구간이다. 다만, 651번은 서부정류장-본리네거리 구간을 직선으로 잇지만 306번은 북쪽으로 많이 돌아가니 해당 구간을 지나게 된다면 651번이 10분가량 더 빠르다. || [[파일:306vs651(306).jpg|width=100%]] || [[파일:306vs651(651).jpg|width=100%]] || || 306번 || 651번 || * 학산초등학교건너 정류장에서는 전광판에 학산초등학교라고 나오지만 안내방송과 교통카드 단말기에서는 다음 정류장인 월성푸르지오앞으로 나오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0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9,751명 || - || || 2015년 || 8,747명 || {{{#blue,#6495ed ▽ 1,004}}}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06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6년 || 9,161명 || {{{#red,#salmon △ 414}}} || || 2017년 || 8,793명 || {{{#blue,#6495ed ▽ 368}}} || || 2018년 || 7,956명 || {{{#blue,#6495ed ▽ 837}}} || || 2019년 || 7,925명 || {{{#blue,#6495ed ▽ 31}}}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6,290명 || {{{#blue,#6495ed ▽ 1,635}}} || || 2022년 || '''6,676명''' || {{{#red,#salmon △ 386}}}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칠성시장역]], [[반월당역]], [[명덕역]], [[현충로역]], [[안지랑역]], [[대명역]], [[서부정류장역]], [[진천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경대병원역]], 반월당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명덕역, [[남산역(대구)|남산역]][* 대곡방향 차량은 대명공연거리 하차 후 이용]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월배 연계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