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삼천리156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4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349.png|width=100%]]}}} || ||<-2> 기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매동(덕원고등학교) ||<-2> 종점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대구종합유통단지) || ||<|2> 종점행 || 첫차 || 05:30 ||<|2>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3 / '''[토요일, 공휴일]''' 05:30|| || 막차 || 22:30 || 막차 || '''[평일]''' 22:40 / '''[토요일, 공휴일]''' 22:30 || ||<-2> 평일배차 || 12분(일 98회) ||<-2> 주말배차 || 공휴일: 14분(일 83회)[br] 토요일: 13분(일 93회) || ||<-2> 운수사명 || [[삼천리버스]] ||<-2> 인가대수 || 20대[* 토요일 19대, 공휴일 17대 운행] || ||<-2> 노선 ||<-4> 시지(종점) - 신매광장 -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 [[국립대구박물관]] - [[황금역|황금네거리]][* 정류장 이름은 헬로TV대구방송] - (상동시장[*단독구간] →/← 청구중동아파트[*단독구간]) - 경일여고 - [[대구고등학교]] - [[약령시(대구)|약령시]] - [[대구콘서트하우스]] - [[DGB대구은행파크]]동편 - 북침산네거리 - (북부상수도사업소 → 무태교 →/← 성북교 ← 산격주공아파트) - 유통단지 || ||<-2> '''중간 출발 정류소''' || || '''유통단지''' 방면 ||대구콘서트하우스^^평일^^, 대구고등학교, SK리더스뷰^^평일, 토요일^^, 우방청솔맨션, 고산2동행정복지센터^^평일, 토요일^^ || || '''시지지구''' 방면 ||중동네거리^^평일^^, 남구청^^평일, 토요일^^, 반월당역^^토요일, 공휴일^^ 경상감영공원 || == 개요 == 대구광역시 수성구 욱수동 덕원중고교(9)에서 수성구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4)을 거쳐 북구 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3)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대구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0.75km. [[http://businfo.daegu.go.kr/ba/route/mainSec.do?act=list&route_id=3000349000&stop_busyn=N&move_dir=1|전체 정류소 목록]] == 역사 == * 1998년 개편 전에는 일반버스 51번이었다. 51번은 지금 349번과 중간 경유지만 조금 달랐던 노선이었다. 51번은 원래 황금주공아파트(現 [[캐슬골드파크]])가 종점이었으나 [[남부정류장]]까지 연장되었다가 [[시지(대구)|시지지구]] 개발에 따라 시지지구 종점까지 연장되었다. 1980년대 고정배차제 시절엔 51번과 달리 복현동 안쪽을 경유하고 황금네거리를 거쳐 지산시영아파트로 운행하던 51-1번도 있었으나 1990년 공동배차제 시행 때 폐지되었다. * [[1998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1998년 5월 5일 개편]] 때 349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했다. 검단동 민들레아파트에서 [[경북대학교]] 정문과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를 거쳐 시지지구까지 운행하였으며, [[홈플러스 스페셜 대구점|홈플러스 대구점]] 방면과 [[이마트 칠성점]] 방면 분리 구간이 있었다. 홈플러스 대구점과 이마트 칠성점은 본래 편도 구간이었으나 1998년 분리 왕복으로 바꿨다.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기점을 민들레아파트에서 산격주공아파트로 단축했다. 침산네거리에서 북침산네거리 → 무림제지 대구공장 → 북부상수도사업소 → 백사벌네거리 → 침산교 → 산격주공아파트 → 성북교 → 침산변전소 → 북침산네거리로 루프 회차 방식으로 운행했다. 분리 구간도 [[이마트 칠성점]]으로 통합했다. [[경북대학교]] 정문 구간과 홈플러스 대구점 분리 구간은 [[대구 버스 503|503번]]에 넘겼다. * 2007년 9월 5일 개편 때 기점을 [[대구종합유통단지]] 회차지로 연장했다.[* 행선판은 여전히 북침산네거리로 나와 있다가, 이후 모든 차량들의 행선판이 유통단지로 수정되었다.] 산격주공아파트 노상 회차 방식이 소음 민원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8&aid=0000073378|관련 기사]] * 2008년 10월 개편 때 [[대구 버스 309|309번]] 차량 1대를 증차했다. * 2022년 5월 1일부터 시지 방향은 산격거평타운 삼거리에서 신천동로 대신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처럼 상수도사업본부시설관리소건너 정류장과 연암네거리3 정류장을 경유하여 산격주공아파트로 내려간다. 따라서 시지로 내려갈 때는 [[신천동로]]를 경유하지 않는다. * 2023년 2월 18일부터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 특징 == * [[삼천리버스]]의 준주력 노선이다. * 개편 전 [[대구 버스 929|929번]]과 시지(종점)에서 황금네거리까지 100% 겹쳤다. 이 때문에 929번은 2006년 개편 때 폐선되었다. 대신 929번의 침산동 편도 구간을 349번이 이어받았고, 929번의 황금네거리 ~ 궁전아파트 ~ 대봉교 ~ [[명덕역]] ~ 계명네거리 ~ [[서문시장(대구)|서문시장]] ~ 비산네거리 구간은 [[대구 버스 402|402번]]이 대체했다. * 2006년 개편 이후 상동교에서 중동네거리를 거쳐 파동/범물1동/황금동 방향으로 가는 노선들이 대거 정리되면서,[* 424번은 [[대구 버스 452|452번]]으로 단축되면서 상동가압장으로 돌렸으며, 434번, 616번은 폐선되었다.] 시지에서 유통단지로 갈 때의 편도 구간이자 일방통행 구간인 상동시장 구간으로는 349번만 운행한다. 반대로 상동교에서 시지로 갈 때는 [[신천동로]]([[대구한의대학교|대구한의대학교부속한방병원]])를 거쳐 중동시장으로 들어간다. * 유통단지 종점에서 시내 방향으로 갈 때 복현오거리로 진입하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이 노선은 산격거평타운 뒤편으로 나와서 [[이마트 칠성점]]으로 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통단지에서 시내로 빨리 접근할 수 있다. 거기에 산격거평타운도 양 방향 모두 무정차 통과하여 산격주공아파트로 들어온다. 하지만 성북교에서 밀린다면 복현오거리와 다를 게 없다. 그래도 성북교는 RH 일부 시간대만 피하면 통과하는 데 어려움은 없으나, 복현오거리는 오거리 모두 직좌 동시신호가 들어오기 때문에 신호는 짧고 신호 대기시간은 길어서 NH에도 통과하는 데 더 오래 걸린다. * 분리운행 했을 적에는 해당 운행 차량이 엇갈려서 운행했다. 본래 편도운행 구간이기도 했고 홈플러스 대구점 경유 노선보다 [[이마트 칠성점]] 경유 노선의 운행시간이 더 길었다. 그래서 시지 출발 차량이 이마트 칠성점을 경유하여 민들레아파트를 찍은 후, 다시 시지로 내려갈 때 [[홈플러스 스페셜 대구점|홈플러스 대구점]]을 경유하여 [[중앙대로(대구)|중앙대로]]로 내려왔다.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당시 배차간격은 8분이었지만 이마트 칠성점 경유 노선이 운행 소요시간이 더 길어서 도청교~검단동 종점 구간은 실제 배차간격이 4~12분 정도 되었다. 이런 방식은 [[대구 버스 524|242번]],[* 범물1동주민센터로 갔었을 적에 분리 구간이 생겼다. 범물동으로 내려올 때 [[경북고등학교]] 경유 후 범물동에서 다시 올라갈 때 황금네거리 및 [[캐슬골드파크]] 경유로 간 적이 있었고, 반대의 경우도 있었다.] [[대구 버스 609|609번]],[* 특히 [[대구 버스 609|609번]]은 난해했다. 그냥 1/2 운행이라고 하면 될 것을 운행 차량의 다이어대로 월성지구 및 [[상인역]] 편도 구간을 다 늘어놓는 바람에 행선판만 보고 타면 그만인 것을 더 복잡하게 안내했었다. 결국 해당 구간은 2009년 1월 17일에 없어졌다.] [[대구 버스 650|650번]][* [[대구 버스 달서3|달서3번]] 종점으로 들어오는 시간대에 다산발이 종점을 통과하고 시내에서 다산에 도착할 때 들어오는 것. 반대의 케이스도 있었다.]도 써먹었지만, 점차 분리구간을 없애면서 현재는 이런 방식으로 중간에 분리 운행하는 노선이 단 하나도 없다. 어차피 승객은 행선판만 보고 타면 그만이었지만. * 버스편이 많지 않은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대구)|침산동]] [[침산로]] 연선에서[* 중앙대로에는 [[대구 버스 410, 410-1|410(-1)번]], [[대구 버스 503|503번]], [[대구 버스 706|706번]]이 있지만, 침산로에는 사실상 349번뿐이다.] 시내까지 가장 빠르게 연결해 주는 노선이라 이 구간 수요가 많으며, [[DGB대구은행파크]] 개장 후에는 [[대구 FC]]의 홈 경기일에 [[DGB대구은행파크|축구장]]에서 시내로 이동하는 구간 수요도 생겼다.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봉덕동]] 효성타운, 미리내맨션 일대에서 시내로 가는 수요 역시 많다. 또한 [[수성구]]의 주요 고등학교의 상당수가 이 349번 노선상에 위치해 통학 시간대 수요가 많다. [* [[경북고등학교]]-[[정화여자고등학교]]-[[경신고등학교(대구)|경신고등학교]]-[[오성고등학교]]-[[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영남공업고등학교]]-[[대륜고등학교]]-[[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시지고등학교]]-[[덕원고등학교]]로 쭈욱 이어진다. 이 노선과 상관없는 고등학교는 [[능인고등학교]], [[대구여자고등학교]], [[대구남산고등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 대구수성고등학교, 대구중앙고등학교, 동문고등학교 정도. 그 중 능인고의 경우는 청수로 하차 후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캐슬골드파크 정류장에서 능인고까지 대구남양학교 방향 남쪽으로 1km 조금 넘게 떨어져 있다.] 심지어 [[정화여자고등학교]]와 [[덕원고등학교]]는 다른 곳으로 이전했는데, 이전하기 전이나 지금이나 모두 이 노선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現 정화중/정화여고는 범어4동 동도중학교 근처에 있고, 現 덕원중고교는 이 노선의 종점이다. 舊 덕원중고교 자리는 현재의 태왕아너스인데 동도중학교에서 멀지 않은 위치며, 舊 정화여중고교 자리는 현재의 정화우방팔레스다.] 2006년 개편 전에는 검단동/복현동이나 경대정문 구간에서도 승객이 많았다. 이 승객들은 개편 후 [[대구 버스 503|503번]] 등 다른 대체 노선을 이용하는 듯 하다. * 삼천리버스 운행 노선들 가운데 유일하게 [[경산시]], [[서구(대구)|서구]][*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도 서구를 지나지 않는 걸로 보일수 있겠으나 [[두류역]] 정류장이 서구 소재이다.]로 가지 않는다. * NH 때 [[수성구]] 구간 운행 속도가 느린 편이다. [[대구 버스 234|234번]]에 추월당하는 건 일상이고, 담티고개를 40km/h대로 주행하는 일이 다반사. [[수성대학교]]에서 시지(종점)까지 30분 가까이 주어져서 그런 듯 하다. * 기사 교대는 대륜중고등학교에서 실시한다.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개편 전]] 스티커 행선판은 시지지구 ← 반월당 → 북침산네거리[*낚시 [[대구 버스 323, 323-1|323(-1)번]]과 마찬가지로 낚시였다. 북침산네거리부터 편도구간이긴 하지만 이곳이 종점은 아니었다.], 시지지구 - 남구청 - 대구역 - 북침산네거리[*낚시 ] 였다. === 일평균 승차량 === ||<-3>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349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12,082명 || - || || 2015년 || 11,492명 || {{{#blue,#6495ed ▽ 590}}} || || 2016년 || 11,827명 || {{{#red,#salmon △ 345}}} || || 2017년 || 11,186명 || {{{#blue,#6495ed ▽ 641}}} || || 2018년 || 10,160명 || {{{#blue,#6495ed ▽ 1,026}}} || || 2019년 || 10,193명 || {{{#red,#salmon △ 33}}} || || 2020년 ||<-2> {{{#aaa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7,861명 || {{{#blue,#6495ed ▽ 2,332}}} || || 2022년 || 8,182명 || {{{#red,#salmon △ 312}}} || || 2023년 || '''8,999명''' || {{{#red,#salmon △ 817}}}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https://www.kotsa.or.kr/ptc/inside_use.do|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도시철도)|대구역]],[* 대구콘서트하우스 또는 경상감영공원 정류장, [[대구역]] 지하상가를 통해 이동.]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경상감영공원 또는 약령시 정류장], [[반월당역]], [[명덕역]], [[교대역(대구)|교대역]]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 [[만촌역]][* 만촌육교 정류장], [[담티역]], [[연호역]], [[대공원역(대구)|대공원역]], [[고산역]], [[신매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명덕역]], [[황금역]][* 헬로TV대구방송 또는 SK리더스뷰 정류장] * 일반 철도역: [[대구역]](무궁화호, ITX-새마을)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시지 연계 버스)] [include(틀: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include(틀:대구가톨릭대학교 경유 버스)] [[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