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분류:대한민국 버스 노선의 비판과 논란]]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구 버스 410\, 410-1)] [목차] == 개요 == [[대구 버스 410, 410-1]]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 회차지 == 410, 410-1, 남구1, 남구1-1의 공통점이 있다. 바로 순환버스이자, 기종점이 앞산공원이다. 문제는 앞산공원에서 회차하기가 어렵다. 이유로는 가스 충전이 어려워서다. 최소 범물동은 가야 하는데, 이로 인해 [[공기수송]]을 하며 가스 사용을 하여 범물동까지 가서 충전을 해야 하므로, 쓸데없는 가스 낭비가 들게 된다. == 인가 대수 차이 == 410과 410-1은 경북대학교 수요로 인해 인가 대수에 차이가 있다. 그런데 [[신천역(대구)|신천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오가는 410, 410-1 특성상 갈 때와 올 때의 수요 차이가 커서 이것이 문제가 된다. 410-1의 인가대수가 410에 비해 2대 많으므로, 범어동 기준으로 갈 땐 410-1을 타고 가더라도 올 땐 긴 배차로 인해 [[대구 버스 937|937]]-[[대구, 경산 버스 814|814]] 조합으로 우회하는 편이 오히려 총 소요 시간 면에서 짧은 경우가 있다. == 경로 중복 ==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노선이 많이 겹치는데, 현충로역부터 중앙로역까지 겹친다. 거기다가 [[대구 버스 503|503]]과 [[대구 버스 649|649]]까지 포함해 옆 [[두류공원]]에 다니는 [[대구 버스 706]], [[대구 버스 650|650]], [[대구 버스 805|805]]와 비슷하다. 다만 [[대구 버스 503]]이 [[가축수송(교통)|너무 유명해 꽉 차서 다니기도 하고]], [[대구 버스 649|649]]는 [[경대병원역|다른 동네]]로 가버리는 바람에 이 부분의 수요를 해결해줄 수는 있다. == 신천역 통과 == [[신천역(대구)|신천역]]의 남북으로 통과해 경북대 통학 수요를 챙기기는 하지만, 신천역의 경우 도시철도 접근성이 좋지 않아 주변 교통과의 연계에 다소 불편이 따른다. 특히 신천네거리, 공고네거리 신호 문제다. 애초에 410, 410-1번 버스가 신천역을 남북이 아니라 서북으로 통과했다면 425, 651과 환승이 가능했을 것이다. 신천역(경북대입구)라는 '''[[낚시]]'''역명으로 유명하다. 개통 초기에는 그냥 신천역이였지만, 2007년쯤부터 병기되었다. 대구 1호선 최초의 병기역명이다. [[경북대학교]]는 신천네거리에서 '''정문까지 1.4km나 되며, 버스정류장으로만 3개 내외 거리다.''' 북문까지는 2km 이상이다. 그렇다고 410-1을 타자니, 차라리 배차가 더 빠른 버스가 많이 다니는 [[칠성시장역]], [[동대구역]], [[아양교역]] 등을 이용하는 것이다. 외지인 중 처음 [[경북대학교]]에 가려는 사람들이 많이 낚이는 편이다. 외지인이 신천역에서 내려서 그 동네 사람한테 "[[경북대학교]] 어디로 가야 되나요?" 라고 물었더니 "저쪽으로 '''걸어서 30분'''만 가면 됩니다"라고 답해 외지인이 그냥 택시 타고 갔다고 한다. 물론 410-1 타고 경북대학교까지 갈 순 있다. 신천역은 경북대와 가까운 역이 아니다. '''절대로 속지 마라.''' 신천네거리 셔틀버스 정차장에도 경북대까지 1.4km 떨어져 있다고 명기되어 있다. 30분 동안 걷기 운동할 게 아니면 절대로 여기서 내려서 [[경북대학교]]까지 걸어갈 생각은 하지 말자. '''게다가 신천역에서 [[경북대학교]]를 오고 가는 것은 환승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특히 410. [[대구광역시]]에서도 여타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교통카드]] 30분 환승이 적용되긴 하지만, 1호선 환승이 목적이면, 937 이용으로 동대구역 이용을 추천한다. -신천역(대구) 문서에서 가져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