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전동차)] ||<-3> [[대구교통공사|[[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width=1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 {{{#d7415d,#be2743 '''대구교통공사 {{{+1 1000호대 전동차}}}'''[br]{{{-1 Daegu Transportation Corporation}}} series 1000 EMU}}}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t1.jpg|width=100%]]}}}|| ||<-3><:>106편성|| ||<-3> {{{#white '''차량 정보'''}}} || || '''열차 형식''' ||<-2>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2>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생산량''' ||<-2> 216량[* 118편성과 130편성은 [[대구 지하철 참사|화재로 전소되어]] 204량 운행중.] || || '''편성''' ||<-2> 6량 1편성[* 향후 8량 증결 가능] || || '''운행 노선''' ||<-2> [[파일:Daegu1.svg|width=15]] [[대구 도시철도 1호선|{{{#d7415d,#be2743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 '''도입시기''' ||<-2> '''[[1996년|1996~]][[1997년]]''' || || '''제작사''' ||<-2> [[한진중공업|[[파일:한진그룹 심볼.svg|width=20]]]] || || '''소유기관''' ||<|2><-2> [[대구교통공사|[[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width=170]]]] || || '''운영기관''' || || '''편성번호[br]체계''' ||<-2> 101~117, 119~129, 131~136 || ||<-3> {{{#white '''차량 제원'''}}}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전장''' ||<-2> 17,500㎜ || || '''전폭''' ||<-2> 2,750㎜ || || '''전고''' ||<-2> 4,000㎜[* 팬터그래프 접은 높이, 에어컨공조기 포함 높이] || || '''궤간''' ||<-2> 1,435㎜ || || '''{{{-2 편성공차차중}}}''' ||<-2> 199.6 t || || '''대차''' ||<-2> 공기스프링 볼스타레스 대차 || || '''{{{-2 고정축간거리}}}''' ||<-2> 2,100㎜ || || '''차륜직경''' ||<-2> 860㎜ || || '''급전방식''' ||<-2> 직류 1,500V || || '''{{{-2 운전보안장치}}}''' ||<-2> [[알스톰|GRS]][* [[https://en.wikipedia.org/wiki/General_Railway_Signal|#]]] [[열차자동방호장치|ATP]]/[[열차자동운전장치|ATO]][* 차상 속도코드 방식] || ||<|3> '''VVVF[br]인버터''' ||<-2> 전력소자: [[지멘스]] [[VVVF]]-[[GTO(반도체)|GTO]][* 101, 104, 109, 124, 128, 136편성은 다원시스 IGBT] || ||<-2> 출력전압: 교류 3Φ 0 ~ 1170V || ||<-2> 주파수: 0 ~ 160㎐ || ||<|4> '''견인전동기''' ||<-2> 형식: 3Φ 농형 유도전동기 || ||<-2> 전동기 출력: 250㎾ || ||<-2> 편성 출력: 3,000㎾ (4800마력) || ||<-2> 회전수(RPM): 1900 RPM || || '''제동방식''' ||<-2> 회생제동 병용[br]아날로그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 ||<|2> '''최고속도''' || 영업 || 80㎞/h || || 설계 || 100㎞/h || || '''가속도''' ||<-2> 3.0㎞/h/s || ||<|2> '''감속도''' || 상용 || 3.5㎞/h/s || || 비상 || 4.5㎞/h/s || || '''저크한계''' ||<-2> 0.8m/s³ || || '''MT 비''' ||<-2> 3M 3T[br](8량 증결시 4M:4T)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TRO_1000_interior_1.jpg|width=450]]}}}|| || 내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1d-1106kr.jpg|width=450]]}}}|| || 가연재 시절 내부 || [목차] == 개요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운행중인 전동차. [[월배기지]]에 101~117편성, [[안심기지]]에 119~129, 131~136편성, 총 34개 편성이 제적되어 있다.'''[* 118, 130편성은 [[대구 지하철 참사]]로 전소되어 제외] 1편성의 구성은 || 설화명곡← Tc1 || M1 || T || M1 || M2 || Tc2 →안심 || || '''11##''' || '''12##''' || '''14##''' || '''16##''' || '''17##''' || '''18##''' || || 제어차량 ||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有 || 부수차량 ||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有 ||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無 || 제어차량 || 8량 증결시 구성은 || 설화명곡← Tc1 || M1 || M2 || T1 || T2 || M1 || M2 || Tc2 →안심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제어차량 ||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有 ||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無 || 부수차량 || 부수차량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有 || 구동차량[br]팬터그래프 無 || 제어차량 || [[대한민국]] 전철 중에서 유일하게 [[지멘스]]인버터를 사용중인 전동차[* 전 열차로 범위를 넓히면 [[8200호대 전기기관차]]도 포함된다. 아예 북한까지 범위로 넓히면 [[평양지하철]] 신차량도 해당된다.]라 독특한 [[구동음]]을 자랑한다. 비슷한 시기에 지멘스가 제작에 참여한 DSB SA/SE(덴마크 코펜하겐 지역 S토그용 전동차)와 비슷한 소리가 난다. == 상세 == [youtube(lZmcOa2PswE)] DSB SA/SE의 [[구동음]]. 발차음이 거의 비슷하다.(대구지하철을 타 본 사람은 알겠지만 정말 똑같을 정도로 비슷하다.) 독일제 인버터이므로 당연히 유럽쪽은 비슷한 소리를 낸 전동차가 많고 이외에 [[싱가포르 MRT]]나 대만에서도 비슷한 소리를 낸 [[지멘스]] GTO 소자의 전동차가 몇 종류 있다. 특히 [[싱가포르 MRT]] 차량[* [[싱가포르 MRT C651형 전동차|C651형]]]은 음 높이를 제외하고 소리가 같다. 전국에서 최초로 4도어를 채택한 중형전동차[* 가장 먼저 중형전동차를 사용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3도어이다.], [[VVVF]] 인버터 제어와 유한요소법을 활용한 경량 스테인리스 스틸 차체를 처음으로 사용한 중형전동차 타이틀을 갖고 있지만, 대구 지하철 참사가 일어나기 전까진 가격 절감에 눈이 먼 나머지 도입 비용이 가장 쌌던 '''저질 전동차'''란 불명예스러운 타이틀도 갖고 있다. 참사 이후 불연재 개조 등의 대대적인 리뉴얼을 거쳐 그럭저럭 평범한 전동차 수준까지 도달했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와 외관이 비슷한 편인데,[[http://gall.dcinside.com/train/1006575|초기도안]]을 보면 더더욱 그렇다. 또한 현재까지 [[대한민국]]에 도입된 통근형 전동차 중 최초로 완전전기제동(순전기제동)을 채용했는데, 완전전기제동으로 정차하기 때문에 회생제동이 정차직전까지 이어지며 순전기제동 특유의 [[구동음]]을 들을 수 있다. 다만 정차 직후엔 약간의 충격이 있는 편이다. 이 외에도 마스콘이 흔히 볼 수 있는 n단 형태의 놋치 방식이 아닌 '''퍼센티지 방식'''으로 되어 있단 것이 주목할 만한 포인트. '''통로문이 다른 지역 전동차에 비해 좁다. 덕분에 잡상인들도 손수레가 아닌 베낭에 물건을 담아서 다니고, 팔려는 물건들이 가벼운 물건 위주다. 내부의 안내 LED는 차량 양 끝 통로문 위에 달려있다. [[2012년]] 이후로 전차량 내부 안내 LED를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2호선 전동차]]에 들어가는 고휘도 LED 표시기로 교체했다.''' LED표시기에는 한글-영어-한자 순으로 표시된다. '''고속주행 시 모터음이 매우 시끄럽다. 다른 전동차들에 비하여 압도적.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나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만큼은 아니지만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엔 소음철로 한 몫 했던 전동차다. 지금은 스크린도어 공사 이후 묘하게 소음이 줄어든 편. 그런데 요즘은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호선 전동차]]가 고속 주행 소음이 좀 심한 편이다. 열차 내 방음 능력이 떨어져서인 듯.''' '''고속주행할 때와 정지 및 출발 시에 차내 [[형광등]]이 깜박거린 일이 매우 잦은데, 차량 특성이 그런건지 관리 부실인지는 불명. 비교적 오래되지 않은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2호선 전동차]]도 같은 증상이 발생하는 걸로 보아 관련 소모품 교환을 제대로 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 듯하다.'''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전소된 118편성과 130편성은 도시철도공사가 1량만 남기고 전면 [[폐차]]하려고 했으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09934|유족들의 반대]]로 1개 차량(1818호)이 팔공산에 위치한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 보존되어 있지만 2개 차량(1130호, 1730호)는 사실상 안심차량기지에 방치되어 있다. '''몇몇 사람들이 하양 방면 연장 시 대구선 직결을 염두에 두고 직교류 겸용으로 개조하는 건 어떻냐고 생각하는데, 현재 진행중인 하양 연장은 선로를 새로 까는 작업을 하게 됨과 동시에 직류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어떤 기사에서 본문의 '차량개조'를 대구산업선에서 1호선 차량을 운행한 취지에서 작성하였는데, 사실 대구산업선은 국철이라 도시철도가 다니기엔 힘들 뿐더러 설렁 개조한다 하더라도, 1996~[[1997년]]에 생산된 차량이 [[2022년]]인 현재 약 25~26년 정도 흐른 상태에서 개조할 바에 차라리 신차를 뽑아서 운행한게 더 나을 것이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대구에서 운행한 전동차 중 가장 오래되기도 했고 [[대구 지하철 참사|안 좋은 사건]]과 관련된 전동차인데다 묘하게 어두운 전등과 내부 분위기, 소음 덕에 이미지가 별로 좋지 못한 차량이다.''' '''[[2018년]]부터 101편성 전동차를 시작으로 임산부 배려석과 [[대구도시철도공사 2000호대 전동차|대구 2호선 전동차 객실 좌석]]과 같은 내장재로 교체된다. 단 순차적으로 교체되고 있으며 [[2018년]] [[12월 21일]] 기준 129, 134~136편성의 경우 내장재가 교체되지 않았다.''' '''출입문의 경우 공기압축 식인데, 다른 전동차의 출입문과는 다르게 출입문이 열리고 닫힐 때 잘 들어보면 “지잉” 한 전기음이 같이 들린다. 또 정차했을 때에도 이 전동차 특유의 소리가 지속된다.''' [[2020년]]에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60857|#]] [[2023년]]에 CCTV가 설치되었다. == 향후 계획 == 같은 시기에 제작된 다른 [[VVVF]]-[[GTO(반도체)|GTO]] 차량들이 경년이 20년 가까이 되어가면서 하나둘 [[VVVF]]-[[IGBT]] 인버터로 개조되어 가고 있고, [[지멘스]] 인버터를 사용한 다른 전동차들도 [[VVVF]]-[[IGBT]] 인버터로 개조가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상태인데, 사실 공사측에서도 나름대로의 대책은 세우고 있다. '''[[2017년 5월]]에 대구1호선도 소자교체의 시도가 포착됐다. 1대 중 부분적 교체로 운행을 하고 있는 영상이 올라왔는데 부산2호선 소자교체 차량, 서울7호선 SR차량과 같은 [[다원시스]] [[IGBT]]가 시험적용되었다.''' [[2017년 10월]]말부터 [[12월]] 초까지 하루에 4번 정기적으로 [[IGBT]] 시운전열차가 있다. [[https://youtu.be/vAFAjL_3xu0|#]] [[2017년]] [[12월 7일]] 기준 시운전이 아닌 정규 운행한 일부 편성이 개조되었는지 [[IGBT]] [[구동음]]이 들린다. [[https://youtu.be/8SYd1oDj2Ik|개조된 101편성이 정규운행에 들어갔다.]] 추진제어장치만 교체하고 모터는 교체하지 않아 [[다원시스]] [[구동음]]과 기존 [[지멘스]] [[구동음]]이 섞여있다. [[대구교통공사]] 홈페이지에 [[다원시스]]와 계약이 된 [[http://www.dtro.or.kr/open_content_new/ko/sub_page/page.php?mnu_puid1=7&mnu_uid=120&mnu_puid2=117&tag=view&idx=12788&cate=goods&page=1&total=166&keyfield=&keyword=&mods=|공고]]가 올라와있다. 이후 [[2018년 11월]], 136편성도 [[다원시스]] [[IGBT]]로 개조되었으며, [[2019년 10월]]경 109편성이 [[IGBT로]] 개조 후 운행이 되었고, 동년 [[11월 18일]] 124편성도 개조되어 시운전 중이고, [[12월]] 중 124편성이 [[IGBT]]개조 후 정규운행에 투입되었다.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아직 소자가 개조되지 않은 차량들도 차츰 동일하게 개조를 해 나갈 것으로 보였으나, 개인이 공사측에 [[http://www.dtro.or.kr/open_content_new/ko/sub_page/page.php?mnu_puid1=3&mnu_uid=270&mnu_puid2=26®Thid=17717&work_type=all&work_dir=voice&page=1&&work_type=all&s_typeSmall_1=&s_typeSmall_2=&s_dealPart=&s_typeLarge=&all_key=&s_lineCode=&work_dir=voice®Path=K0002&dealProcess_ser=&keyfield=&keyword=&processIcoAlt=%C3%B3%B8%AE%BF%CF%B7%E1|민원]]을 넣으니 '''2020~2023년경 안전진단 결과를 보고 신차도입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는 답변이 나옴으로서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그러나 [[2021년]]중 104편성이 [[IGBT]]로 바뀐 것이 확인되었다. '''사실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타 지역의 전동차들 중에서도 이미 대차분 제작에 착수한 경우가 많음을 생각해보면 교체 시기가 도래했다고 봐도 무방하며, 아직은 노선 자체가 전구간이 지하이고 차량 성능을 쥐어짠 수준으로 고속주행을 하는 구간이 없어 동년배의 전동차 대비 노후화가 심하지 않으나, [[하양역]]으로 연장되면 영업 거리도 길어지고 지상구간 특성상 지하구간 보단 빠르게 달릴 수 있기 때문에 노후화가 가속화될 여지도 있다.''' 다만 설화명곡 연장과 마찬가지로 하양까지도 현재 재적된 차량으로 충분히 운행이 가능하단 예비타당성조사 결과에 따라 2차분 도입계획은 없다. 하양연장이 되면 1호선 전동차가 증차된단 출처가 불분명한 거짓 정보가 흘러들고 있으나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모두 하양연장에 대한 증차와 관련한 사업계획이 전무하며 시의회에서도 관련 예산 편성을 승인한 적이 없다.[[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348087|모노레일 갤러리에 개진된 의견]]에 따르면 최초도입 당시 수요 과대평가로 인해 차량이 필요보다 많이 도입되었고, 이 때문에 두 편성이 전소하고 노선이 한 차례 서편으로 연장되었음에도 여유가 한참 있기 때문이다. '''해당 차량보다 1년 늦게 도입된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도 [[2024년]]에 신차 발주계획이 잡혔는데 대구 1호선의 신차도입 소식은 아직도 깜깜 무소식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차량]][[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분류:1996년 출시]] [include(틀:포크됨2, title=대구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d=2023-02-28 10:3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