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구권 광역철도)] [목차] == 역 목록 == [[파일:external/www.imaeil.com/20150721_213145000.jpg]] ▲ 2015년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에 통과된 1단계 계획 노선 및 역 ||<-4> 역 등급 범례 || ||⊙ ||관리역 ||○ ||보통역 || ||● ||배치간이역 ||◑ ||무배치간이역 || ||◎ ||임시승강장 ||◇ ||을종승차권발매소 || ||‡ ||신호장 ||† ||신호소 || || 전구간 지상 || ||<|2> 역번 ||<|2> ㎞ ||<|2><-2> 역명 ||<-2> 승강장 ||<|2> 역 등급 ||<|2> 환승노선 ||<-2><|2>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0.0||[[구미역|구 미]]||龜 尾 || |■{{{#c0c0c0 | |}}}■| || ? || ⊙ || ||<|2> [[구미시]] ||<|5> [[경상북도]] || || ||4.5||[[사곡역|사 곡]]||沙 谷 || ■| {{{#c0c0c0 | |}}} |■ || ? || ◑ || || || ||9.7||[[북삼역|북 삼]]||北 三|| ■| {{{#c0c0c0 | |}}} |■ || ? || || ||<|3> [[칠곡군]] || || ||18.8||[[왜관역|왜 관]]||倭 館 || {{{#c0c0c0 | | |}}} |■ {{{#c0c0c0 | |}}} ■| {{{#c0c0c0 | |}}} || ? || ○ || || || ||23.1||~~[[왜관공단역|왜관공단]]~~||~~倭館工團~~|| {{{#c0c0c0 ■| | | |■}}} || ? || || || || ||42.1||[[서대구역|서대구]]||西大邱|| ■| {{{#c0c0c0 | |}}} |■ || || ○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width=17]]--[[대구산업선 광역전철|대구산업선]]-- || [[서구(대구)|서구]] ||<|4> [[대구광역시]] || || ||45.2||~~[[원대역(경부선)|원 대]]~~||~~院 垈~~|| {{{#c0c0c0 ■| | | |■}}} || ? || ||[[파일:Daegu3.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중구(대구)|중구]] || || ||46.4||[[대구역|대 구]] ||大 邱 || ■| {{{#c0c0c0 | |■| |}}}■| || ? ||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북구(대구)|북구]] || || ||49.6||[[동대구역|동대구]]||東大邱 || |■| {{{#c0c0c0 |■| |■| |■|}}} |■| {{{#c0c0c0 | |■| |■}}} || ? ||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파일:Daegu4.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4호선|4호선]]~~ || [[동구(대구)|동구]] || || ||61.85||[[경산역|경 산]]||慶 山 || ■| {{{#c0c0c0 |■| |■| |}}} || - || ⊙ || || [[경산시]] || [[경상북도]] || 취소선은 장래 신설로 계획된 역사이다. == 추가 정차 요구 == 광역철도치고는 거의 무궁화호 수준으로 정차역이 적은 편이라 추가 정차 요구가 많다. * 초기 계획에는 구미역과 사곡역 사이 [[구미종합터미널]] 인근에 원평역 신설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제외되었고[* 터미널네거리 쪽에 역을 신설하자는 요구가 있었다. 만일 [[구미종합터미널|구미종합터미널역]]이 신설될 경우 환승센터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서대구역과 원대역 사이 평리네거리 인근에 평리역을, 동대구역과 경산역 사이 효목네거리 인근에 효목역을 신설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역시 제외되었다. 평리역의 경우 [[대구 도시철도 5호선]]과의 환승을 이유로 [[평리동]] 주민들이 역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 [[약목역]], [[신동역]]은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역인데도 광역전철은 무정차 통과한다. 특히 [[신동역]]은 [[무궁화호]],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 등 대체 교통수단이 잘 없어서 더 문제가 될 수 있고, 신동 미정차로 인해 [[왜관역]]과 [[서대구역]] 사이 '''23.3km 무정차 구간'''[* 현재 최장인 [[평택역|평택]]~[[성환역|성환]] 간 9.7km, 한 때 최장거리였던 '''[[운서역|운서]]~[[검암역|검암]]이 18.6km이다.''' 이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전체 길이보다 긴 역간거리이다.]이 생겨버렸다. 이대로 가면 급행열차는 정차하는데 보통열차는 통과하는 [[하극상]]을 보게 된다. [[칠곡군]]에서는 약목, 신동, 지천역 역시 정차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단 구축사업 완료 이후 상황을 봐서 해당 역들에 대한 광역전철 정차를 요구할 것이라고 한다. 추후 광역철도 정차가 성사될 경우 무궁화가 더 이상 정차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광역철도 사업을 착공하면서 [[사곡역]]의 무궁화호 정차가 폐지되었다. [[왜관역]]의 ITX-새마을 정차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 [[사월역]]과 [[정평역]] 사이에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교차하는데 환승역이 만들어질지, 비환승역으로 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부산 도시철도]] 중에서도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부전역(도시철도)|1호선 부전역]]과 [[동해선 광역전철]]의 [[부전역(동해선)|동해선 부전역]] 그리고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낙민역]]과 [[동해선 광역전철]]의 [[동래역(동해선)|동래역]](낙민동 소재)이 이렇게 인접함에도 환승통로의 부재로 인해 비환승역으로 처리되었으나 교통카드를 이용한 소프트환승은 가능하게 되어 있다.] 2호선 중산신도시 쪽에 중간역을 신설해서 환승시키면 환승이 편해지겠으나 역간거리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 허나 문제가 될 정도의 구간 거리는 아니다.[* 다만, 그곳에는 대구 2호선의 주박기지가 있어서 역을 신설하는데에는 난공사가 될 가능성이 있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역간 거리가 500m 정도의 짧은 구간들이 수두룩하게 존재한다. 특히, 6호선과 1호선 [[환승]]을 위해 만들어진 [[동묘앞역]]은 '''270미터 거리''' 밖에 안 된다.([[동대문역]] 3번출구와 동묘앞역 8번출구 기준) 최종 계획에선 [[경부선]]상의 역 신설이나 2호선 중간 역사 신설 2가지 모두 반영되지 않았다. * 국토부 계획상에서 [[왜관공단역]]과 [[원대역(경부선)|원대역]][* [[달성공원역]]과 인접한 위치에 지어질 예정이다. 환승통로 계획은 구체화되지 않았다.]이 수요 문제로 장래 계획으로 미뤄지게 되었다. 장래 계획에는 이외에도 [[북삼역]]과 [[가천역]]이 선정되었지만 최종적으로는 [[왜관공단역]]과 [[달성공원역|원대역]]만 장래 계획으로 선정되었다. 북삼역은 다시 1단계 역에 포함된 반면, 가천역은 흐지부지 되었지만 대구시가 도시철도 3호선의 혁신도시 연장을 추진 중이라 이 경우 [[가천역]]이 환승역이 될 가능성이 있다. * 대구 [[사수동]]에서는 [[지천역]] 개량 요구를 하고 있다. 다만 지천역은 대구광역시가 아닌 경상북도 칠곡군 관할이기 때문에 개량을 한다면 돈은 칠곡군이 쓰고 혜택은 대구광역시만 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은 양 지자체의 합의가 먼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다사읍]] 서제•세천 연계도 가능할 듯하다. * 2021년 2월 5일 [[TBC]] 보도에 따르면 대구시 차원에서 [[지천역]], [[원대역(경부선)|원대역]], [[고모역]], [[가천역]] 신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위한 예산을 편성할 예정이라고 한다. 만약 조사 결과 타당성이 있는 역이 있다면 2024년 1단계 개통 때 함께 개통할 계획이며, 국비 지원이 여의치 않으면 시비를 투입해서라도 지을 예정이라고 한다. 한 역 당 250억 원 정도가 든다. [[http://m.tbc.co.kr/mt_news01_view.php?p_no=20210205163534AE04662|#]] 이후엔 2021년 7월 20일 [[매일신문]] 보도에 따르면 고모역이 빠지고[* [[고모역]] 대신 가천역만 검토하기로 한 것으로 보이는데,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신서혁신도시]] 연장선과의 환승 연계를 염두에 둔 것으로 추정된다.] [[사월역]], 효목역[* [[동구(대구광역시)|동구]] [[효목동]] 소재 예정으로,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과 환승 예정이다.]이 추가된 추가역 안건과 2단계 추진에 대한 사전타당성 연구용역비 2억원을 2차 추경안에 반영해 오는 9월부터 용역에 착수하며, 결과는 2022년 8월 발표될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8/0000713151|#]] * 대구 서구 비산지하도 부근 (가칭) 비산역 신설 요구가 있다. [[비산동]] 일대가 낙후되어 역사 신설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 하고, 주변 재건축, 재개발 단지들의 수요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많은 버스노선들이 지나는 곳이라 환승에서도 유용 할 것으로 보인다. === [[북삼역]] 신설 (확정) === 북삼읍 지역에서도 역을 만들어달라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 참고로 북삼읍을 관할하는 [[칠곡군]]에서 생각하는 북삼역의 대략적인 위치는 사곡에서 대략 3.6km 내외 지점이다. 2014년 KDI에서 B/C 부족으로 시행불가 판단을 받은 바 있으며 이에 대해서 국토부는 예비타당성조사에는 북삼역을 빼버린 다음, 통과 이후 기본계획 때 추가 증액가능한 분량 이내에서 북삼역 신설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출처: 칠곡군,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사업' 책자 참조] 그리고 [[국가철도공단|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자체적으로 진행한 [[북삼역]] 신설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서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2023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시설비 및 운영비를 칠곡군이 일부 부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81213.010090727200001|기사]] 북삼역은 이전부터 대구권 광역철도와는 별개로 신설 요청이 여러 번 있었다. == 환승역 == 예정된 환승역: * [[동대구역]]([[대구1호선|1호선]] 간접환승, [[대구 도시철도 4호선|4호선]] 정차 예정) * [[대구역]]([[대구1호선|1호선]] 간접환승) 장래 환승역: * [[서대구역]]([[대구산업선 광역전철|대구산업선]], [[대구-경북 광역철도|대구-경북선]], [[대구 도시철도 5호선|5호선]]([[서대구역지선]]) 건설 예정) 신설 확정 환승역: 신설 검토 환승역: * [[원대역(경부선)|원대역]]([[대구3호선|3호선]] [[달성공원역]] 간접환승) * 사월역([[대구2호선|2호선]] [[사월역]], [[정평역]] 간접환승) 신설 및 환승 검토 환승역: * [[가천역]]([[대구 도시철도 3호선 #s-8.1|3호선 신서혁신도시 연장선]]) * 효목역([[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순환선]]) 개통 직후 환승이 가능한 역은 적지만 이것을 매꾸기 위해 많은 추가역을 검토 중이다. 그러면서 대구 시내 역도 많아진다.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이 적용될 전망이다. 단, 다른 노선끼리 환승할 경우 무료환승이 되지만, 본 노선과 환승 시 50% 할인이 유력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대구권 광역철도, version=953)] [[분류:대구권 광역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