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정확히 말하자면 완전 폐쇄는 아니다. 이유는 아래 후술-- ||<-5> [[고속도로/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5> [[중앙고속도로|{{{#ffffff '''중앙선'''}}}]] || || [[삼락IC|{{{#gray 부산}}}]] {{{#gray 방면}}}[br][[수성IC|{{{#000000,#ffffff 수성IC}}}]] || {{{+1 ←}}} || {{{+1 '''~~TG~~'''}}}[br]{{{#000000,#ffffff '''~~대구 요금소~~''' }}} || {{{+1 →}}} || [[춘천IC|{{{#gray 춘천}}}]] {{{#gray 방면}}}[br][[동대구IC|{{{#000000,#ffffff 동대구IC}}}]] || {{{+1 大邱料金所 / Daegu Tollgate }}} ||<-2> {{{+2 '''대구요금소'''}}} || ||<-2> '''다국어 표기''' || || [[영어]] || Daegu Tollgate || || [[한자]] || 大邱料金所 || || 운영기관 || ㈜신대구부산고속도로 || || [[요금소]] 개업일 || [[2006년]] [[1월 25일]] || || [[요금소]] 폐지일 || [[2016년]] [[11월 11일]] || ||<-2> '''주소''' || || 대구본선영업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br]중앙고속도로 지하88[br](가천동 산21-22) || [목차] == 개요 ==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동에 있던 [[중앙고속도로]] 본선상의 [[요금소#s-3.2|폐쇄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대구광역시]]에서 유래했다. 상행(춘천/서울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만 중간에 이 요금소를 찍고 갔으며, 대구에서 부산 방향으로 가는 차량들은 [[대동JC]] 진입 전에 [[김해부산TG]]를 찍고 최종 목적지의 요금소에서 한 번 더 요금을 내는 방식이었다. 2016년 11월 11일 [[원톨링 시스템]]의 도입에 따라 [[김해부산TG]]와 함께 폐지되고 원 톨링용 센서로 대체되었고, 이 자리에는 가천졸음쉼터가 자리하게 되었다. 현재 이 [[요금소]]가 사라지게 된 원인인 원 톨링 시스템이 적용되면서 [[하이패스]]가 없는 일반차량은 도착지 [[요금소]]에서 최종 요금을 한 방에 정산하게 되었으나, [[하이패스]] 사용자의 경우 [[하이패스]] 통과 속도만 빨라졌지 기존 방식 그대로다. 한때 [[한국도로공사]]의 통행권만으로 [[근덕IC|근덕TG]]에서 대구TG에 도착하는 경우 1종 기준 33,800원이라는 최장거리 요금이 나왔다. 일반적으로 도착하는 방법은 근덕TG → [[동해고속도로]] → [[강릉JC]] → [[영동고속도로]] → [[만종JC]] → [[중앙고속도로]] → [[금호JC]] → [[중부내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본선)]] → [[칠원JC]] → [[남해고속도로]] → [[대저JC]] → [[대구부산고속도로]] → 대구TG 경로로 하면 이런 요금이 나왔다.[* 원 톨링 시스템 시행 중인 현재도 [[하이패스]] 차량은 이게 최장거리 요금이다.] 하지만 이런 경로로 다니는 사람은 --기름값이 아깝기 때문에-- 전혀 없다[* 보통 근덕에서 대구를 가는경우 동해대로를 쭉 관통해 포항까지 내려간후 포항에서 고속도로를 이용한다. 이렇게 하면 1종기준 4600원의 통행료가 나온다.]. [[하이패스]] 미장착 차량은 대구TG 자리에 있는 번호판 인식기를 통과한 후 현재 최장거리 요금은 [[원주JC]] → 대구TG 경로로, 1종 기준 39,100원이다. 전국고속도로 통행료 중 가장 비싼 요금으로서 통행료 부정에 의한 부가 통행료 징수시의 기준으로만 적용된다. 부산에서 대구로 갈 때 이 곳을 찍고 [[동대구IC]]로 나갈 때에는 추가요금이 없었다. [[하이패스]]에는 아직도 ₩0으로 찍힌다. == 구조 == === [[춘천IC|춘천]]방향(하행선)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전차선 * 일반 진출차로: 전차선 == 역사 == 2006년에 중앙고속도로 대동-동대구 구간 개통시 춘천방향에만 존재했다가 10년 뒤인 2016년에 폐지되었다. 현재는 [[가천동|가천]] [[졸음쉼터]]로 개조되었다.[* 그러나 졸음쉼터로 두기 보다는 뒷쪽 (구)건물을 활용해 (가칭)대구휴게소로 두었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대구부산고속도로 구간에는 휴게소가 [[청도 휴게소|1개밖에]] 없기때문.] 화장실은 건물 내부에 존재한다. == 관련 항목 == * --[[요금소#s-3.2|폐쇄식 요금소]]-- * [[졸음쉼터]] [[분류:중앙고속도로]] [[분류:대한민국의 폐지된 고속도로 요금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