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부산진구의 버스 회사)] ||<-2> '''주식회사 대도운수'''[br]'''大道運輸''' || ||업종명|| 운수업 || ||설립일|| 1980년 1월 16일 || ||대표|| 도경민 ||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43 ([[가야동]])[* 본사 건물에는 과거에 승무원 휴게실을 비롯해 여러가지 기능이 있었지만, 2014년 이후 본사 기능은 영업소로 이전했고 1층에는 상업시설이 들어왔다. 나머지는 대도운수 관련 건물이다.] || ||전화번호|| 본사: 051-315-7883 [br]학장 영업소: 051-893-5006 || ||차량번호|| 시내: 부산 70자 15×× || ||면허대수|| 시내: 정규 72대, 예비 5대[br]마을: 정규 12대, 예비 1대 || ||자본금|| 1억 5,000만원 (2022.12) || ||매출액|| 197억 9,194만 1,905원 (2022) || ||영업이익|| -5억 2,403만 4,973원 (2022) || ||순이익|| -7억 5,632만 3,290원 (2022) || ||자산총액|| 150억 3,095만 9,388원 (2022.12) || ||주주|| 도종이: 33.71% [br] 도원일: 22.3% || ||임직원|| 212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사상구]] [[학장동]]에 영업소를 두고 있다.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상호 중 ~여객을 사용하지 않는 5개의 업체 중 한 곳이다.[* 다른 4개 업체는 [[산성교통]], [[삼신교통]], [[삼화PTS]], [[태영버스]]] == 역사 == * 1980년 3월: 삼화운수에서 분리독립하며 대도여객으로 출범했다. * 1981년: 동시기에 [[일신여객]]에서 분리독립된 동래여객이 대도여객 계열로 편입돼 대도운수로 사명이 변경됐다. * 1983년 3월: 자회사 격인 대도교통을 창립했다. * 1988년: 버스 운영외 부대사업을 총괄하는 대도공영 설립 * 1988년 9월: 대도교통이 대도여객으로 합병됐다. * 1991년 2월: 대도여객이 대도운수로 합병됐다. * 1994년 9월: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번]]을 개통시키며, 마을버스 사업을 개시했다. * 2018년: 마을버스 운영 주체를 자매회사인 대도공영으로 변경했다. == 여담 == * 대표 주력노선은 시내버스는 110-1번, 마을버스는 부산진6-1번이다. * 마을버스 노선은 대도공영[* 신선사우나, 대도빌딩 등 운수업 외 부대사업 관리 법인이었으나, 마을버스 노선이 이 법인으로 이관되었다.]이라는 별도의 법인을 두고 운영한다. 대도운수가 [[동의대학교]]와 가까운 가야동에 사업소가 있다 보니 [[동의대학교]] 순환 버스의 사업권을 가지고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 [[부산 버스 부산진6-1|6-1]], [[부산 버스 부산진9|9번]]을 운행하고 있다. * 이 회사의 계열사인 대도공영은 '신선 사우나'라는 대형 찜질방도 소유하고 있는데, 그래서 대도운수 일부 차량에는 보조 행선판 자리에 신선 사우나 광고가 붙어있다. 심지어 마을버스 [[부산 버스 부산진9|부산진9번]]은 신선 사우나를 직접적으로 경유하기 때문에, 전면.측면 보조행선판, 측면 광고는 물론이고, 심지어 후면에는 행선판 대신 신선 사우나 광고가 --도배되어--있으며[* [[부영버스]]도 [[부산 버스 남구3|남구3번]] 후면행선판에 부영정식뷔페,부영카센터 광고가 있다.], 전면 행선판도 신주례LG아파트 ↔ '''신선 사우나''' ↔ [[동의대역]] ↔ [[동의대학교]][* 신선 사우나를 이용했다면 1인당 부산진9번 마을버스 승차권 2매를 지급하는데 이 승차권을 이용하여 1회에 한정하여 부산진9번 마을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회원에게만 제시한다고 쓰여있지만 굳이 회원이 아니더라도 결제시 카운터에 얘기하면 1인당 승차권 2매를 지급한다.] * 차체에 붙이는 사명의 폰트가 타 업체와 다른데, 굴림체 비슷한 글꼴의 파란색 글씨로 '대도'라고 써있다.(삼양라면 주황색 포장지 전면의 폰트와 비슷) 그리고 이 글씨체는 신선사우나와 대도컨벤션홀의 간판에도 쓰인다.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본격 디자이너 괴롭히는 회사.]] 과거에는 노선도도 타 업체와 달리 폰트도 달리 제작해서 사용했으며 불편신고엽서도 간소화된 것을 사용했으며 노선도 옆에 붙는 광고도 자사 웨딩홀 광고만 부착했다는 카더라도 있다. 한산한 상태에서 타면 본격 시골버스타는 느낌. * 2020년 3월부터 신도색 차량에도 구도색 차량처럼 회사명을 붙이고 있다.[* 반대로 [[남부여객]], [[삼성여객(부산)|삼성여객]], [[삼화PTS]], [[영신여객(부산)|영신여객]], [[오성여객]], [[일광여객]], [[태영버스]] 등은 자사가 운행하는 일부 구도색 차량에서도 회사명을 제거했다. 2020년 11월에 부산 최초 [[에디슨 스마트|에디슨 스마트 110HG]]를 출고했을 때 [[성원여객(부산)|성원여객]]도 신도색 차량에다 회사명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성원여객'이라고 다 표기하고, 2021년 6월부터 [[시민여객(부산)|시민여객]]도 신도색 차량에 전/후면에다 회사명을 붙이기 시작했다.] 몇달이 지난 현재에도 계속 붙이고 있으며, 신차도 출고하자마자 붙이는 걸 보면 완전히 고정된 듯 하다.[* 이에 한 동호인이 시청 관계자에게 물어보았으나, 사명표기 제거를 권고 정도는 할 수 있어도 법이나 규정에 저촉되지 않기 때문에 패널티를 먹이거나 강제할 수는 없다고 한다. 신도색 도입 초창기 사명표기를 떼도록 하던 모습과 상반된다.] 심지어는 2021년 2분기쯤에 신도색 정규차량들의 좌측 행선지마저 제거했다.[* 근데 무슨 이유로 제거했는지는 아직까지도 불명이다. 구도색 차량 혹은 마을버스처럼 똑같이 표현하려고 일부러 제거한 것으로 보인다. 신차 출고할 때도 좌측 행선판을 안 붙이는 것을 보면 이것마저도 역시 고정된 듯. '''이렇게 하고 운행하면 반대쪽에서 다니는 사람들이 어느 노선에서 운행하는지 알아볼 수 없고, 예비차로 오해하기가 쉽다.'''] * [[파일:대도대도.png]] 이 업체 노선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이 업체의 모든 시내버스 노선들이 [[온천장]](06-010)에서 만난다.''' 게다가 그 정류장 바로 앞에 위치한 약국의 이름이 다름 아닌 '''대도약국'''이다.[* 여담으로 대도약국은 역사가 매우 깊은 약국이다. 그리고 바로 옆에 '''대도 회 초밥''' 식당까지 있고 길을 건너 골목 안에는 '''대도 양곱창''' 식당이 있다. --이쯤되면 우연이 아닌듯--] 그리고 2019년 2월 2일부터 110번과 110-1번이 부산대까지 연장돼 '''이 업체의 모든 시내버스 노선들이 부산대학교에서도 집결하고 있다.''' 110-1번은 부산대 연장 이후 온천장(06-010)과 금강원입구(06-008)을 지나지 않았으나 민원이 들어오면서 결국 2019년 7월 20일부터 재경유가 결정되어 이 회사의 노선들은 무려 세 군데에서 모이게 되었다.[* 그리고 모든 노선(마을버스 제외)이 부산 도시철도 1~4호선과 만난다.] * 준공영제 이전에는 주로 10번대 번호의 노선들이 많았는데, 이것은 [[국제여객]]의 영향이 매우 크다. 국제여객의 경우에는 [[부산 버스 10|구.10번과 10-1번]], [[부산 버스 210|210번]], 심지어 마을버스 번호까지 [[부산 버스 동래10|동래10번]]일 정도로 [[10]] 매니아였으며 구.110번(1기) 노선 마저도 초기에는 [[국제여객]]이 운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다 당시 110번[* 참고로 110번 1기 노선은 폐선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110번은 2기 노선이므로 이와 전혀 무관한 노선이다.]은 동래여객 간판을 달고 영업했던 이 업체로 이관되었다. [[국제여객]]이 가나다순으로 정렬하면 제일 먼저 오는 회사이므로, 면허마저 10XX을 부여 받아 대도운수가 부산 70자 10xx 면허는 부여받지 못하였다. 그리고 110-1번의 하프코스구간이였던 510번을 먼저 신설시켰지만 수요가 저조해서 폐선됐고, 이번엔 국제여객이 --기다렸다는 듯이-- 10번의 하프코스 노선으로 똑같은 번호의 노선을 신설한 사실이 있다.[* 국제여객의 구.510번은 [[부산 버스 동래10|동래10번]]의 전신이다.] 다만 후자의 노선도 오래가지 못하고 폐선됐다.[* 다만 국제여객 구.510번은 완전히 폐선된 노선은 아니다. 이후 [[부산 버스 동래10-1|동래10-1번]]으로 전환됐다. 그런데 이 노선도 이후 [[폐선]]됐다.] * 2007년 9월 1일부터 2012년 4월 26일까지 [[부산 버스 148|148번]]을 [[공동 배차]] 했으며[* 148번이 모라주공아파트로 연장되고 나서 폐지된 202번의 첫차 시간대를 최대한 맞추기 위해 [[삼신교통]]에서 몇 대가 모라주공아파트까지 공차회송했으나, 기존 202번 첫차 시간보다 15분이나 늦어 첫차시간을 앞당겨달라는 민원이 많았다. 해서 2차 개편(2007년 9월 1일 시행) 때 120번 폐지와 함께 부산시의 권고안으로 대도운수에서 148번의 모라주공 첫차와 막차를 대응하기 위해 공동 배차에 참여했고, 현재는 148-1번이 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201번 좌석버스 노선도 운행했었다.[* 본래 201번은 대경교통이 단독 배차하던 노선이었다. 이후 2005년 대경교통이 폐업하면서 동원여객이 운행했고 1년 후 동원여객이 철수하면서, 201번은 부산공항여객이 단독으로 운행하다가 2007년 9월부터 대도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후, 2008년에 부산공항여객이 한정면허만료로 철수하게 되자 차고지가 비교적 가까운 대도운수에서 인수하기로 했고 2008년 7월 말부터 단독으로 운영하게 되었다.] * 77번(수소 일렉시티 초기 투입차량 제외)은 행선판 기.종점 표기가 정반대로 되어있다.[* 백병원 기점이었던 구.110번의 경우에도 다른 노선과는 달리 정방향으로 표기되었다. 원래 110-1번도 기.종점 표기가 정반대였으나 부산대 연장 이후 기.종점 표기를 다른 노선처럼 바꾸었다. 148-1번도 구도색 차량만 기.종점 표기가 정반대였으나 차량 이동, 신차 대차, 예비 격하로 인해 148-1번은 전 차량 기.종점 표기가 정방향으로 되었다.] 거기다 준공영제 이전 시절에는 대도운수만 행선판 스타일이 상당히 특이했었다. 현재는 모든 노선이 정방향으로 돌아왔다. * 특이하게 마을버스 차량만 전차량 휠캡을 장착하고 운행한다. * 외부 LED [[전광판]] 색상은 부산 시내 일반 버스들 중에서 가장 다채롭게 사용한다. 자사의 일렉시티에서 이런 행보가 가장 두드러지는데 대부분의 업체들이 적색, 녹색, 황색만을 사용하지만 이 업체는 청색까지 활용해 풀컬러 전광판을 온전하게 쓰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업체들이 측면 행선판은 큰 스티커로 붙이는 반면 이 업체는 부산에서 가장 먼저 측면 전광판을 적용했고, 일부 차량은 부산에서도 드물게 후면에도 전광판으로 번호를 띄운다. * 신도색화 및 전기버스화가 매우 빠른 회사 중 하나[* 신도색화가 빠른 다른 한 곳은 [[해동여객]]. 여기는 구도색 차량이 2012년식 차량만 남았다. 그러나 이 회사만큼 전기버스화가 빠른 회사는 없다.]로 2008년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 CNG 차량을 도입할 때 디젤 차량들을 죄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대차를 하면서 2014년에 이미 최고 연식차량이 2008년식이 되는 기이한 상황이 일어났다. 그 이후 한동안 신차 소식이 들리지 않다가 2016년 신도색 도입 이후 2008년식 차량들이 2017년부터 대차가 시작됐으며 2019년 일렉시티를 대거 도입한 뒤 그 이후부터는 죄다 일렉시티로 대차하면서 2022년에 정규 노선은 모두 신도색화가 완료되었고 2023년 8월 31일 남아있던 구도색 예비차도 수소일렉시티로 대차하면서 '''부산 최초로 전 차량 신도색'''을 완성하였다. * 시내버스, 마을버스 통틀어서 회차지가 대학교다.[* 시내버스 - [[부산대학교]](장전역), 마을버스 - [[동의대학교]]] == 차량 == 2021년 기준 모든 차량이 현대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이지만, 과거엔 오로지 [[대우자동차]] 차량만을 굴린 적이 있었다. 버스동호인 사이에서도 각인된 골수 대우빠였다. 당시 대우자동차의 버스 공장이 부산광역시 내에 있었기 때문에 지금과 다르게 대우자동차의 선호도가 높았었다. 그러던 2008년에 [[현대자동차]]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페이스리프트되며 업체에서 테스트 삼아 도입했는데[* 이때 뽑은 차량이 부산에서 유일하게 대도운수에만 있었던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좌석형 차량으로, 전후방 차폭등 옵션까지 달고 나온 비싼 차였다.] 기사들 사이에서 나쁘지 않은 평을 받아 추가로 출고했다. 이 때 [[현대자동차]]에서 당시 파격적인 프로모션 마케팅을 시행했었는데 차량을 11대 구입하면 10대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었고, 대량 출고 시 '''[[현대 에쿠스|에쿠스]]'''를 사은품으로 주거나 저렴하게 구입 가능했고 그 외 차량 구입비 상환 시 낮은 이율의 할부 등 혜택도 좋았었다. 그 과정을 거치면서 대도운수는 자연스럽게 현대자동차를 도입하는 업체로 바뀌었고, 그러다 2012년에 디젤 차량을 조기대차시키며 [[자일대우버스]] 차량이 시내버스 한정 전멸했다.[* 2008년식 후반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쾌적한 도시환경 - 천연가스버스가 만들어갑니다'라는 문구가 사라졌는데 이 업체는 2010년까지 자체 제작으로 계속 붙였다. 비슷한 시기에 완전히 자일대우버스로 돌아선 [[태영버스]]는 공항리무진 차량 출고 지연 사태에 열 받았는지 사과하러 온 현대 자판딜러가 이상한 핑계를 대면서 위 조건보다 훨씬 더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게 하겠다 해도 불난집에 부채질하냐면서 크게 대판 싸우고 거칠게 내쫓았다. 그렇게 대우로 갈아탔으나 2020년에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으로 인한 노사분규로 공장이 멈추면서 현대차를 다시 찾게 된다.] 동의대학교 마을버스인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번]],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1번]], [[부산 버스 부산진9|부산진9번]] 역시 대도운수 가야영업소에서 관리하는 만큼 전 차량이 가스차량으로 이뤄져있으며 부산진9번은 경로상 길이 협소한 관계로 그린시티로 운행하며[*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이 있긴 하나 부산진9번 운행은 잘 나오지 않고 대부분 부산진6-1번 학생수송차량으로 활용된다.], 나머지 부산진6번과 부산진6-1번은 [[부산 버스 201|201번]] 출신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차를 입석으로 개조해서 운행하다가 대차 시기가 오자 대도운수에서 운행하던 시내버스가 마을버스 면허로 전환해 기존 차량을 대차했다.[* 총 7대가 넘어갔으며, 2017년식 6대와 2018년식 1대가 넘어갔다. 마을버스로 넘어간 차량의 면허는 이후 2019년식 개선형 차량이 투입되었다.] 이후 2023년 8월 2018년식 '''저상버스'''가 마을버스 면허 전환과 동시에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번]]으로 넘어오면서 마을버스 역시 저상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부산 최초로 마을버스에 '''대형 저상버스'''를 투입하였다.] 2019년 [[대한민국 환경부]] 수소버스 시범사업 업체로 선정되었고 8월 23일 수소충전소가 완공됨과 동시에 '''부산 최초로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도입했다. 해당 차량은 77번에 투입됐으며 추가로 2019년 11월에 110-1번에도 일렉시티 전기버스가 도입됐다. 또한 이 회사의 모든 일렉시티 차량에는 측면 행선판과 후면 행선판이 부산 최초로 장착되며 새로운 전광판 디자인도 선보이고 있다.[* 다만 2020년식과 2021년식 차량은 기존 디자인에 전면 LED 행선판만 부착되어 있다.] 2022년 3월 신형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를 도입했다. 해당 차량은 [[부산 버스 110|110번]]에 투입되었고 얼마 안가 [[부산 버스 148-1|148-1번]]에 추가로 투입하면서 대도운수 전 노선에 일렉시티를 운행한다. 2023년 기준 대도운수의 수소전기버스는 총 39대로, 단일 회사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소전기버스를 운행중인 회사이다. == 차고지 == * 면허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43 ([[가야동]])(대도운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494([[개금동]]) (대도공영) * 본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43-7 ([[가야동]]) - [[부산 버스 110-1|110-1번]] 시종착 * 학장영업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 167 ([[학장동]]) - [[부산 버스 77|77번]], [[부산 버스 110|110번]], [[부산 버스 148-1|148-1번]] 시종착 * 동의대주차장: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 ([[가야동]]) - [[부산 버스 부산진6|부산진6번]], [[부산 버스 부산진6-1|부산진6-1번]], [[부산 버스 부산진9|부산진9번]] 주박 * 학장주차장: [[부산광역시]] [[사상구]] 학감대로164번길 7 - [[부산 버스 110|110번]], [[부산 버스 148-1|148-1번]] 주박 및 제2정비소. 2021년 8월말, 학장영업소 내 수소충전소를 확장하게 되면서 주차공간 협소로 인해 인근에 있었던 공장을 매입하여 철거 후 만들게 된 주차장이다. 감전동 차고지는 [[부산 버스 110|110번]], [[부산 버스 77|77번]]이 시종착했었는데 규모가 워낙 협소하여서 좁은 주택가 도로에 노상 주차까지 할 정도였었고, 당시 감전동 지역과 업체의 불편함이 많았었다. 그러던 2009년도에 영업소를 감전동에서 학장동으로 확장 이전하고 77번과 110번 노선 또한 학장동차고지 시종착으로 바뀌며 감전동을 관광하는 노선이 되었다.[* 2014~2015년 경에 학장 영업소가 본사로 바뀌었다고 알려져 있었고 실제로 이 문서 역시 오랫동안 학장 영업소가 본사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부산버스조합 홈페이지 및 대도운수 차량 내 패찰에는 여전히 가야 영업소가 본사로 등록되어 있다.] === 과거에 사용했던 차고지 === * 구.감전영업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새벽로167번길 66 - 학장동 차고지가 완공되기 전까지 사용했던 차고지다. 77번의 시종착 지점이자, 2007년 5월 14일까지는 110-1번의 회차지/종점이었다. 77번 전 차량과 110-1번 일부차량들이 주박했다. 준공영제 이후에는 77번과 110번이 사용했고 이후 학장동으로 차고지를 이전하여 현재는 사실상 본사 역할을 하고 있다. 구.201번은 정비 및 주박할 때만 들어왔었다. * 구.엄궁영업소: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 구.120번의 시종착 지점이었으며, 엄궁동 차고지는 농산물도매시장 인근에 있었다가 계약 만료로 2005년경에 SK뷰아파트 인근에 차고지를 사용하던 중, 2007년 9월 1일 노선 개편으로 120번 노선의 폐선으로 차고지도 사라지게 되었다. == 면허 체계 == * 부산 '''70''' 자 '''1501''' ~ '''1599'''호[* 대도운수의 주 면허. 단 15#4의 경우에는 1594호가 유일하다. 1594호는 구.201번 면허가 전환된 것. 준공영제 전까지는 끝 번호가 4인 면허번호를 볼 수가 없었다. 이 밖에 남부여객, 동남여객(구. 대명여객 면허인 16## 한정), 동원여객, 동진여객, 부산여객, 부일여객, 삼신교통(좌석 면허 한정, 1964 제외), 해동여객도 준공영제 실시 전에 끝 번호가 4인 면허가 존재하지 않았다가, 준공영제 실시 후에 대도운수, 동원여객, 동진여객, 부산여객, 삼신교통에서는 생성되었다.] * --부산 '''71''' 자 13##호--[* 1990년대에 77번과 110-1번에 좌석버스를 운행했었다.], --35##호--[* 201번을 인수하면서 새로 부여받은 면허였다.] * 구 번호판: 부산 5 자 40##호 == 차량운용대수 == * 대도운수 * 77번: 20대 * 110번: 15대 * 110-1번: 24대 * 148-1번: 13대 * 예비차: 5대 * 도합: 77대 * 대도공영 * 부산진6번: 2대 * 부산진6-1번: 5대 * 부산진9번: 5대 * 예비차: 1대 * 도합: 13대 == 운행 노선 == === 가야 본사 소속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110-1|{{{#3399ff 110-1}}}]]''' || 가야벽산아파트 || [[동의대학교]] - 가야1치안센터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전시장]] - 부산시청 - 연산교차로 - 연안교 - 동래시장 - (→ 복산동주민센터 →/← 동래전화국 ←) - [[온천장]] || [[부산대학교]] || 5~6 || ==== 대도공영 [[부산광역시 마을버스|마을버스]][* 사실상 동의대학교 셔틀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부산진6|{{{#5bb025 부산진6}}}]]''' || 동의대본관 || 동의대학교자연대학 → [[동의대역]] → 가야1치안센터 → 가남시장 → 동의대학교자연대학 || 동의대본관 || 13 || || '''[[부산 버스 부산진6-1|{{{#5bb025 부산진6-1}}}]]''' || 동의대본관 || 동의대학교자연대학 || [[동의대역]] || 5 || || '''[[부산 버스 부산진9|{{{#5bb025 부산진9}}}]]''' || 동의대효민관 || 동의대학교자연대학 - 가야1치안센터 - [[동의대역]] - '''신선사우나''' - [[개금역]] - 신주례LG아파트 || 한일유앤아이아파트 || 10 || === 학장 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부산 버스 77|{{{#3399ff 77}}}]]''' ||<|3> 학장동 || 새벽시장 - 감전동종점 -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 북부산세무서.[[감전역]] - 주례교차로 - [[개금역]] - 부산진우체국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부전시장]] - 하마정 - 법원검찰청.[[거제역]] - [[교대역(부산)|교대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온천장]] - 식물원입구 - [[부산대학교]] || [[장전역]] || 9~10 || || '''[[부산 버스 110|{{{#3399ff 110}}}]]''' || 새벽시장 - 감전동종점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북부면허시험장 - [[모라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남산정역]] - 신만덕 - [[만덕역]] - 미남교차로.[[미남역]] - 온천초등학교 - [[온천장]] - 식물원입구 - [[부산대학교]] || [[장전역]] || 11~12 || || '''[[부산 버스 148-1|{{{#3399ff 148-1}}}]]''' || 부산은행사상공단지점 - 엄궁농산물시장 - 엄궁아파트단지 - 학장교차로 - 새벽시장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도시철도)|사상역]] - [[서부산공업고등학교]] - (모라주공아파트)[* 첫차 3회는 부산대행 한정, 막차 3회는 학장동행 한정 경유.] - [[모라역]] - [[구포시장]] - [[덕천역]] - 덕천주공아파트 - [[만덕역]] - 미남교차로.[[미남역]]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온천장]] - 식물원입구 || [[부산대학교]] || 17~20 || == 폐선·철수한 노선 == * [[부산 버스 21]] (구서아파트 - 동래전화국 - 영선동) ※ [[화신여객]]과 공동배차[* 동래여객 시절에 공동배차했으며 1985년에 철수했다.] * [[부산 버스 110#s-3.1|부산 버스 110(구)]] (백병원 - 구포 - 감전동) * 부산 버스 120 (하단SK - 구포 - 신만덕)[* 준공영제 이전엔 사직운동장까지 운행했다.] * [[부산 버스 121|부산 버스 121(구)]] (엄궁 - 서부터미널 - 온천장) ※ [[국제여객]], [[삼진여객]]과 공동배차[* 이 노선은 현재 148-1번이 거의 동일하게 운행중이다.] * [[부산 버스 148]] (노포동터미널 - 동래시장 - 모라주공APT) ※ [[삼신교통]]과 공동배차[* 2012년 4월 27일, 148-1번 개통으로 철수했다. 148번은 2016년 6월 25일에 기점이 금정공영차고지로 변경되었다.] * [[부산 버스 201]] (김해국제공항 - 주례 - 서면)[* 2012년 4월 27일, [[부산김해경전철]] 개통으로 폐선되었다.] * 부산 버스 510 (가야벽산아파트 - 동의대 - 서면롯데백화점) == 현재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부산 시내버스 회사들 중 유일하게 수소전기버스를 운행한다.] == 과거 보유차량 == === [[현대자동차]] ===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540 디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디젤]][* [[태영버스]] 중고차를 도입했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천연가스버스]][* 201번 좌석버스로 운행했으며, 이후 입석으로 개조되어 마을버스 노선에 투입되었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부산 최후의 SE 저상이었으며, 77, 110번에 각자 1대씩 운행했었다.] === [[자일대우버스]] === * [[대우버스 BM090|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090 로얄미디 F/L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자일대우버스 BC|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디젤]] [[분류: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회사]][[분류:1980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