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해시의 읍면동)] ||<-2> '''[[파일:김해시 CI.svg|height=15]] [[김해시|{{{#000000,#dddddd 김해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대동면}}}'''[br]大東面 | Daed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김해시 대동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김해시 || || '''행정표준코드''' || 5350054 || || '''관할 법정리''' || 10리 || || '''하위 행정구역''' || 32행정리 69반 || || '''면적''' || 48.77㎢ || || '''인구''' || 5,331명[*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09.3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김해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민홍철]] ,,(3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서희봉]] ,,(초선),, || ||<-2> '''김해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철훈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조팔도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동로 610 (초정리 143-2) || || [[https://www.gimhae.go.kr/00954/01200/02392.web|대동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김해시]] 동부에 있는 [[면(행정구역)|면]]. 서쪽으로는 [[불암동]], 삼안동, 북쪽으로는 [[상동면(김해)|상동면]]과 [[양산시]] [[물금읍]], 동쪽과 남쪽으로는 [[낙동강]]을 경계로 [[부산광역시]] [[북구(부산)|북구]] [[금곡동(부산)|금곡동]], [[화명동]][* [[대동화명대교]]로 차를 타고 바로 갈 수 있다.]과 [[강서구(부산)|강서구]] [[대저1동]], [[양산시]] [[동면(양산)|동면]]과 연접하고 있으며 산해정(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125호)과 김해 예안리 고분군(사적 제261호)이 있는 역사의 고장이다. == 역사 == || [[파일:가야왕도.png|width=100]] || {{{#fff '''대동면 면명 변천사'''}}} || || {{{#fff 1906년}}} || 김해군 하동면 || || {{{#fff 1914년}}} || 월당리와 평촌리를 통합 10개리 정비 || || {{{#fff 1944년 10월 1일}}} || 하동면을 대동면으로 개칭 || || {{{#fff 1981년}}} || 김해군에서 김해시가 분리됨 || || {{{#fff 1995년}}} || 김해시, 군의 통합으로 김해시 대동면 || 대동면은 김해시의 동편 아래쪽에 위치하여 하동면(下東面)이라고 하며 11개의 리가 있었는데 1914년 월당리와 평촌리를 합하여 월촌리(月村里)로 하므로써 10개의 리가 되었으며 [[1944년]] [[10월 1일]]에 면 이름이 하등(下等)과 필음이 같아 대동면으로 부르게 되었다. 부산의 상수원 지역[* 실제로 부산상수도사업본부 덕산정수장이 대동면 덕산리에 위치해 있다.]인데다 김해시내보다 부산광역시 대저, 구포지역과 교류가 많다는 이유로 1995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부산시에서 부산 편입을 추진한 적이 있기도 하다. === 역사 문화재 === || [[파일:정부상징.svg|width=50]] || {{{#fff '''대동면 문화재'''}}} || || {{{#fff 산해정}}}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25호 || || {{{#fff 김해 예안리 고분군}}} || 사적 제261호 || || {{{#fff 묘법연화경 권4~7}}} || 보물 제961-1호 || == 법정리 == 10개 리(법정리), 32개 자연마을(행정리)가 있다. 면소재지는 초정리이며, 주요시설들은 원지, 안막에 분산되어 있다. === 주동리 === * 주동마을, 원동마을, 성안마을 === 주중리 === * 주중마을 === 수안리 === * 수안마을, 선암마을 === 괴정리 === * 괴정마을, 지나마을 === 덕산리 === * 덕산마을, 고암마을, 신암마을, 신촌마을 === 월촌리 === * 월촌마을, 평촌마을 평촌마을은 대동첨단산업단지 조성으로 사라질 예정이다. [[김해금관가야휴게소]]가 있다. === 예안리 === * [[백두산(김해)|백두산]] * 신안마을, 시례마을, 신명마을, 마산마을, 장시마을 === 초정리 === * 초정마을, 신정마을, 원지마을, 안막1구마을, 안막2구마을, 안막3구마을 === 대감리 === * 감천마을, 감내마을, 소감마을 === 조눌리 === * 조눌마을, 하사마을, 신동1구마을, 신동2구마을 == 관내 주요시설 == === 행정시설 === * 대동파출소 * 대동우체국 * 대동농업협동조합 * 대동119지역대 === 교육 및 보육 시설 === * 대동어린이집 * 대동중학교 * 대감초등학교 * 대동초등학교 * 대중초등학교 주변 지역에 고등학교가 없는데다 김해 시내 고등학교로 가기 불편하여 부산 지역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혜택이 주어지고 있다. 대부분 [[부산강서고등학교]]로 진학하며, 교육열이 상대적으로 강한 [[화명고등학교]]로 진학하는 학생들도 있다. === 편의&복지 시설 및 병원 === * 대동면 보건지소 * 대동종합복지회관 * 대한노인회 대동면 분회 === 공장 및 산업단지 === * 대동화훼정보화마을센터 * 대동첨단일반산업단지 === 기타 === * 대동/상동면 예비군중대 == 특산물 == * 부추 * 방울토마토 * 파프리카 * 대파 * 배추 * 당근 * 산딸기 * --[[준아]]-- == 교통 == 김해시내로 가는 것보다도 [[부산광역시]] 쪽, 특히 [[구포동(부산)|구포]], [[덕천동]], [[화명동]]으로의 교통이 편리하다 보니 이 곳 사람들은 장을 보러 갈 때 거의 [[구포시장]]이나 덕천 뉴코아 아울렛, [[롯데마트 화명점]]을 이용한다. 부산으로 가는 [[김해 버스 913]]과 [[김해 버스 73]]이 면내 교통을 책임지며, 그 외 [[부산 버스 1012]]도 나름 면내 교통을 꽤 공급해준다. 시내로 가는 [[김해 버스 82|82번]]과 [[김해 버스 대동공영|대동공영]]은 [[공기수송(교통)|공기수송]] 중이며 많이 안 탄다. 2012년 7월에는 [[대동화명대교]]가 개통되어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고, 대동화명대교와 접속하는 [[산성터널(부산)|산성터널]]이 개통되면서 [[금정구]], [[동래구]], [[기장군]] 방면으로의 이동 역시 획기적으로 단축되었다. 대동면 끄트머리 안막리 등만 지나가지만 강서공영차고지 개장으로 [[부산 버스 1012|1012번]]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구포대교를 거치던 125번과 다르게 대동화명대교를 거쳐간다. 단, 화명동으로 바로 빠져버리고 [[산성터널]]을 지나 금정구로는 안간다. [[중앙고속도로]]가 면의 동부를 지나가며 [[초정IC]], [[대동IC]], [[대감JC]], [[대동JC]]와 [[김해가야IC]]가 있다. [[중앙고속도로지선]]과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도 이 곳을 지나간다. === 시내버스 === [include(틀:대동면 경유 시내버스)] == 기타 == * 예안리에 '''[[백두산(김해)|백두산]]'''이라는 산이 있으며, 이름의 한자까지 [[백두산|북한의 그 산]]과 같다. 해발 354m로 높은 산은 아니지만, 길이 다소 위험하다. ~~물론 정상에 [[천지(백두산)|천지]] 같은 호수는 없다.~~ * [[2014년]] 극심한 [[가뭄]]으로 전국 뉴스에도 나온 적이 있다. * [[아프리카TV]] [[BJ#s-1]]이자 유튜버인 [[준아]]가 거주하고 있다. 대동면 내에서는 유명인사라고 한다. [[분류:김해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