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만어)] [목차] * 복사용 * á à â ā a̍ · é è ê ē e̍ · í ì î ī i̍ · ó ò ô ō o̍ · ú ù û ū u̍ * Á À Â Ā A̍ · É È Ê Ē E̍ · Í Ì Î Ī I̍ · Ó Ò Ô Ō O̍ · Ú Ù Û Ū U̍ * ⁿ ## 복사용 문자들을 주석 처리하지 말 것. 복사용 문자는 이 문서를 편집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 문서를 보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기도 함. == 개요 == [[민남어]](閩南語)의 일파인 대만어의 음운에 대해 서술하며, 대만어의 로마자 표기는 별도 표시가 없는 한 "대만어 로마자 병음"[* 대만 민남어 로마자 병음 방안, 臺灣閩南語羅馬字拼音方案. [[백화자(민남어)|민남어 백화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표기법으로 현재 대만 교육부의 공식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이다. 이 표기법에서 사용되는 확장 라틴 문자는 위의 복사용 문자들을 볼 것.]으로 한다. == 천주어, 장주어 == 중국 명, 청 시대에 [[푸젠성]]의 천주부(泉州府)[* 지금의 [[취안저우]] 시.], 장주부(漳州府)[* 지금의 장저우 시.]에서 각각 대만으로 이주하여 대만 인구의 44.8%, 35.2%를 차지하게 되었고, 이들이 사용하던 민남어 계통 방언들이 대만으로 가 대만어를 이루게 된다. 천주와 장주에서 쓰이는 언어(천주어, 장주어) 모두 민남어의 일파인 복건어(福建話)의 일부이지만, 두 지역에 방언차가 존재해 이것들이 유입되어 형성된 대만어 내부에서도 지역에 따른 발음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면서 대만 내에서 발생한 인구 이동, 교류 등으로 인해 각 방언들이 섞이면서, 천주어와 장주어가 섞인 정도에 따라 여러 단계의 발음차가 나타나게 된다. 아래 그림은 천주어 - 혼합형 - 장주어 세 단계의 대략적인 분포를 보여주는 것이다. 붉은 색에 가까운 것이 천주어, 파란 색이 장주어, 분홍색이 혼합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8px-Taiwanese_Hokkien_Map.svg.png]] 실제로 좀 더 세분화해서 구분할 때는 아래와 같이 한다. 위로 갈수록 천주어에 가깝고 아래로 갈수록 장주어에 가깝다. * 루강(鹿港)[* 지금의 장화 현 일대.] 억양 * 펑후(澎湖), 타이시(臺西), 다자(大甲) 해안 억양 * 타이베이(臺北), 신주(新竹) 억양 * 타이난(臺南), 가오슝(高雄), 타이둥(臺東) 통용 억양 * 타이중(臺中), 장화(彰化) 네이푸(內埔) 억양 * 이란(宜蘭) 억양 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억양은 타이난(臺南), 가오슝(高雄), 타이둥(臺東) 통용 억양[* 천주어와 장주어가 섞였지만 장주어에 조금 더 가까운 형태]이며 그 다음은 타이베이(臺北), 신주(新竹) 억양이다.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만든 대만어 사전[[http://twblg.dict.edu.tw/holodict_new/compile1_3_9_3.jsp|#]]에서는 가오슝 억양을 기준으로 한 발음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가오슝 억양을 기준으로 한 대만어의 음운을 보여주도록 한다. == 성모 == [[표준중국어]]와 같이 음절의 처음에 오는 자음을 성모라고 하며, 21개[* 또는 영성모 [ʔ\]까지 합해서 22개]의 성모가 존재한다. * '''p'''[p], '''ph'''[pʰ], '''m'''[m], '''b'''[b] * '''t'''[t], '''th'''[tʰ], '''n'''[n], '''l'''[l][*a 학자에 따라 [ɾ\]로 보기도 한다.] * '''ts'''[ts], '''tsh'''[tsʰ], '''s'''[s], '''j'''[dz] * '''tsi'''[tɕ], '''tshi'''[tɕʰ], '''si'''[ɕ], '''ji'''[dʑ][*b [dz\]나 [dʑ\]는 가오슝에서 [z\]나 [ʑ\]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 ts, tsh, s, j가 i 앞에 오면 [[치경구개음]]으로, 그 외에는 [[치경음]]으로 발음한다는 뜻이다. 참고로 일부 억양에서는 아예 l과 합쳐져서 j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대만어 성모가 j인 한자는 l로도 발음할 수 있다.] * '''k'''[k], '''kh'''[kʰ], '''ng'''[ŋ], '''g'''[g] * '''h'''[h]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2><-2> ||<-2> '''[[양순음]]''' ||<-2> '''[[치경음]]''' ||<-2> '''[[치경구개음]]''' ||<-2> '''[[연구개음]]''' || '''[[성문음]]''' || || [[무성음|청음]] || [[유성음|탁음]] || [[무성음|청음]] || [[유성음|탁음]] || [[무성음|청음]] || [[유성음|탁음]] || [[무성음|청음]] || [[유성음|탁음]] || [[무성음|청음]] || ||<-2> '''[[비음]]''' || || '''m'''[br][m] || || '''n'''[br][n] || || || || '''ng'''[br][ŋ] || || ||<|2> '''[[파열음]]''' || [[무기음]] || '''p'''[br][p] || '''b'''[br][b] || '''t'''[br][t] || || || || '''k'''[br][k] || '''g'''[br][g] || ([ʔ]) || || [[유기음]] || '''ph'''[br][pʰ] || || '''th'''[br][tʰ] || || || || '''kh'''[br][kʰ] || || || ||<|2> '''[[파찰음]]''' || [[무기음]] || || || '''ts'''[br][ts] || '''j'''[br][dz][*b] || '''tsi'''[br][tɕ] || '''ji'''[br][dʑ][*b] || || || || || [[유기음]] || || || '''tsh'''[br][tsʰ] || || '''tshi'''[br][tɕʰ] || || || || || ||<-2> '''[[마찰음]]''' || || || '''s'''[br][s] || || '''si'''[br][ɕ] || || || || '''h'''[br][h] || ||<-2> '''[[설측음]]''' || || || '''l'''[br][l][*a] || || || || || || || 대만어에서 눈에 띄는 성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파열음, 파찰음에서 유성음, 무성유기음, 무성무기음의 삼중대립이 나타난다. 이는 현대 중국어 계통 언어에서 대만어, [[오어|오어(吳語)]] 등 극히 일부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그러나 대만어에서 파열음과 파찰음의 유성음은 기존의 비음이 변화한 것으로, 중세 중국어의 파열음, 파찰음 중 유성음에 해당되는 성모들은 대만어에서 무성음이기 때문에 중세 중국어의 유성음과 대만어의 유성음은 서로 관련이 없다. 치경음의 경우 비음 n은 d가 아닌 l로 변화했기 때문에 유성파열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 다른 중국어 계통 언어에서 발견되는 순치음 [v] 또는 [f]가 [h]의 형태로 나타난다. 각 중국어 계통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 [[관화]] || [[광동어]] || [[객가어]] || [[오어]] || [[대만어]] || || '''法''' || /'''f'''a̠²¹⁴/ || /'''f'''aːt̚³/ || /'''f'''ap̚²/ || /'''f'''a̱ʔ⁵⁵/ || /'''hu'''at̚³²/ || || '''非''' || /'''f'''eɪ̯⁵⁵/ || /'''f'''ei̯⁵⁵/ || /'''f'''i²⁴/ || /'''f'''i⁵³/ || /'''hu'''i⁴⁴/ || || '''風''' || /'''f'''ɤŋ⁵⁵/ || /'''f'''ʊŋ⁵⁵/ || /'''f'''uŋ²⁴/ || /'''f'''ʊŋ⁵³/ || /'''h'''ɔŋ⁴⁴/ || * 다른 중국어 계통 언어나 [[한국 한자음]], [[일본 한자음]] 등에서 권설음이나 경구개음으로 발음되는 음들 중 몇몇은 대만어에서 연구개음으로 발음된다. (예: 支 표준중국어: zhī, [[광동어]]: zi1, 한국 한자음: ji, 일본 한자음: si, 대만어: ki) 고대 중국어의 일부 연구개음이 중세 중국어로 넘어가면서 구개음화로 인해 경구개음(표준중국어의 경우 이후 추가적인 음운 변화로 권설음까지)이 되었지만 대만어를 포함한 [[민어(언어)|민어]]는 이 시기의 구개음화가 일어나기 이전에 분화되었기 때문. * 같은 이유로 표준중국어의 zh가 대만어의 ti-로 대응되는(예: 中 표준중국어: zhōng, 대만어: tiong) 등 다른 중국어 계통 언어에 비해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 운모 == [[표준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운두(韻頭), 운복(韻腹), 운미(韻尾)의 세 요소로 나뉘며, 각 순서대로 결합해 하나의 운모를 완성한다. 운복의 경우 특이하게 비모음인 비음운복, [[성절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자음운복도 존재한다. * 운두: '''i-'''[i], '''u-'''[u] * 기본운복: '''a'''[a], '''e'''[e], '''i'''[i], '''oo'''[ɔ], '''o'''[ə], '''u'''[u] * 비음운복: '''ann'''[ã], '''enn'''[ẽ], '''inn'''[ĩ], '''onn'''[ɔ̃], '''unn'''[ũ] * 자음운복: '''m'''[m̩], '''ng'''[ŋ̍] * 운미: '''-i'''[i], '''-u'''[u], '''-m'''[m], '''-n'''[n], '''-ng'''[ŋ], '''-p'''[p̚], '''-t''' [t̚], '''-k'''[k̚], '''-h'''[ʔ] 운미가 없거나 모음일 경우 음성운(陰聲韻), 비음 계열 운미가 붙을 경우 양성운(陽聲韻), 입성 계열 운미가 붙을 경우 입성운(入聲韻)이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결합 가능한 운모 조합을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2><|2> '''음성운''' ||<-3> '''양성운''' ||<-5> '''입성운''' || || '''-m''' || '''-n''' || '''-ng''' || '''-p''' || '''-t''' || '''-k''' ||<-2> '''-h''' || || '''a'''[br][a] || '''ann'''[br][ã] || '''am'''[br][am] || '''an'''[br][an] || '''ang'''[br][aŋ] || '''ap'''[br][ap̚] || '''at'''[br][at̚] || '''ak'''[br][ak̚] || '''ah'''[br][aʔ] || '''annh'''[br][ãʔ] || || '''ai'''[br][ai̯] || '''ainn'''[br][ãĩ̯] || || || || || || || '''aih'''[br][ai̯ʔ] || '''ainnh'''[br][ãĩ̯ʔ] || || '''au'''[br][au̯] || || || || || || || || '''auh'''[br][au̯ʔ] || || || '''e'''[br][e] || '''enn'''[br][ẽ] || || || || || || || '''eh'''[br][eʔ] || '''ennh'''[br][ẽʔ] || || '''i'''[br][i] || '''inn'''[br][ĩ] || '''im'''[br][im] || '''in'''[br][in] || '''ing'''[br][iə̯ŋ] || '''ip'''[br][ip̚] || '''it'''[br][it̚] || '''ik'''[br][iə̯k̚] || '''ih'''[br][iʔ] || '''innh'''[br][ĩʔ] || || '''ia'''[br][i̯a] || '''iann'''[br][ĩ̯ã] || '''iam'''[br][i̯am] || '''ian'''[br][i̯ɛn] || '''iang'''[br][i̯aŋ] || '''iap'''[br][i̯ap̚] || '''iat'''[br][i̯ɛt̚] || '''iak'''[br][i̯ak̚] || '''iah'''[br][i̯aʔ] || '''iannh'''[br][ĩ̯ãʔ] || || '''iau'''[br][i̯au̯] || '''iaunn'''[br][ĩ̯ãũ̯] || || || || || || || '''iauh'''[br][i̯au̯ʔ] || || || '''io'''[br][i̯ə] || || || || || || || || '''ioh'''[br][i̯əʔ] || || || || || || || '''iong'''[br][i̯ɔŋ] || || || '''iok'''[br][i̯ɔk̚] || || || || '''iu'''[br][i̯u] || '''iunn'''[br][ĩ̯ũ] || || || || || || || '''iuh'''[br][iuʔ] || '''iunnh'''[br][ĩ̯ũʔ] || || '''o'''[br][ə] || || || || || || || || '''oh'''[br][əʔ] || || || '''oo'''[br][ɔ] || '''onn'''[br][ɔ̃] || '''om'''[br][ɔm] || || '''ong'''[br][ɔŋ] || '''op'''[br][ɔp̚] || || '''ok'''[br][ɔk̚] || '''ooh'''[br][ɔʔ] || '''onnh'''[br][ɔ̃ʔ] || || '''u'''[br][u] || || || '''un'''[br][un] || || || '''ut'''[br][ut̚] || || '''uh'''[br][uʔ] || || || '''ua'''[br][u̯a] || '''uann'''[br][ũ̯ã] || || '''uan'''[br][u̯an] || || || '''uat'''[br][u̯at̚] || || '''uah'''[br][u̯aʔ] || || || '''uai'''[br][u̯ai̯] || '''uainn'''[br][ũ̯ãĩ̯] || || || || || || || || || || '''ue'''[br][u̯e] || || || || || || || || '''ueh'''[br][u̯eʔ] || || || '''ui'''[br][u̯i] || || || || || || || || || || ||<-2> '''m'''[br][m̩] || || || || || || ||<-2> '''mh'''[br][m̩ʔ] || ||<-2> '''ng'''[br][ŋ̍] || || || || || || ||<-2> '''ngh'''[br][ŋ̍ʔ] || 일부 운모는 운미가 결합할 때 운복의 음이 달라지기도 한다. ian과 iat은 각각 [i̯ɛn]과 [i̯ɛt̚]으로 발음되며 ing과 ik은 각각 [iə̯ŋ]과 [iə̯k̚]으로 발음된다. == 성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iwanese_tones.png]] 대만어는 성조가 8개로, 대만 북부와 남부에서 성조의 발음이 미묘하게 다르지만 큰 차이는 없다. * 1성: 음평(陰平, a) * 2성: 음상(陰上, á) * 3성: 음거(陰去, à) * 4성: 음입(陰入, ah)[* 입성(음입과 양입) 표기에 보이는 h(/ʔ/)는 입성 운미들 중 대표로 나타낸 것이다. 음입과 양입의 운미로는 h 외에 p, t, k도 올 수 있다. 이 네 자음 중 하나로 끝나면 무조건 음입 아니면 양입이다. 음절이 자음으로 안 끝나거나 h, p, t, k 외 다른 자음으로 끝날 경우 입성이 아닌 다른 성조 중 하나다.] * 5성: 양평(陽平, â) * 6성: 양상(陽上, ǎ) * 7성: 양거(陽去, ā) * 8성: 양입(陽入, a̍h) * 9성: 고승(高升, ä) 그런데 6성(양상)은 천주어 등 일부 지역의 방언을 제외하고는 2성(음상)으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성조가 7개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실제로 로마자로 표기할 때도 6성을 표기하는 기호가 따로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특수 성조인 9성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일어난다. * 3중 첩어[* 자세한 사항은 [[대만어/문법]] 참조]의 첫 음절에서. ex) 甜甜甜 tiⁿ-ti-tiⁿ -> tïⁿ-tīⁿ-tiⁿ[* 중간 음절은 아래의 규칙에 따라 1성에서 7성으로 변했다.] * 음절이 합쳐질 때 ex) 無要緊 bô-iàu-kín -> böa-kín [[표준 중국어]]처럼 성조의 변화가 있는데, 표준 중국어보다 훨씬 복잡하고 광범위하게 일어난다. 기본 규칙: 글자 하나하나를 단독으로 읽는 경우, 뒤에 주격보어나 목적어가 오지 않는 동사의 끝음절, 대명사[* 단 주어/겸어로 쓰이거나 ê 바로 앞에 올 땐 성조가 변한다.], 장소나 시간 표현의 끝음절, 의문사의 마지막 음절, 的(ê) 바로 앞 음절, 경성[* 대만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대부분 경성 앞에 --를 붙여서 구분한다.] 바로 앞 음절 등에선 성조가 바뀌지 않는다. 성조가 변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 5성은 3성으로(타이베이 기준), 또는 7성으로(타이난 기준) 변화한다. * 7성은 3성으로 변화한다. * 3성은 2성으로 변화한다. * 2성은 1성으로 변화한다. * 1성은 7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p, t, k인 8성은 4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p, t, k인 4성은 8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h인 8성은 3성으로 변화한다.[* 이하 운미가 h인 음절의 성조들은 모두 입성이 아닌 성조로 변화하면서 h 운미 발음이 없어진다.] * 운미가 h인 4성은 2성으로 변화한다. 도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1''' || ← || '''2''' || h [br] ← || '''4''' || || ↓ || || ↑ || || ↑↓ ptk || || '''7''' || → || '''3''' || ← [br] h || '''8''' || || ↖ [br] (남부) || '''5''' || ↗ [br] (북부) ||<-2>||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 -> ā á ->a à -> á ah -> á a(pkt) -> a'(pkt) â -> à(북부) / ā(남부) ā -> à a'h -> à a'(pkt) -> a(pkt) 그러나 咧teh, 欲beh, 較khah, 閣koh는 각각 te, be, kha, ko로 변한다. 접미어 仔(á) 앞에 오는 성조는 기본 규칙과는 다르게 변화한다. * 5성은 7성으로 변화한다. * 7성은 그대로 7성이다. * 2, 3성은 1성으로 변화한다. * 1성은 7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p, t, k인 8성은 4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p, t, k인 4성은 8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h인 8성은 7성으로 변화한다. * 운미가 h인 4성은 1성으로 변화한다. 도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2, 3''' || → || '''1''' || h [br] ← || '''4''' || ||<-2> || ↓ || || ↑↓ ptk || || '''5''' || → || '''7''' || ← [br] h || '''8''' ||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시는 기존과 달라진 규칙이다. a -> ā á -> a à -> a * ah -> a * a(pkt) -> a'(pkt) â -> ā ā -> ā * a'h -> ā * a'(pkt) -> a(pkt) 예시:[* 실제 발음대로 성조를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기본 성조대로 표기하고 읽는 사람이 알아서 규칙에 따라 읽어야 하며 여기서는 예시로 보여주기 위해 실제 발음대로 성조를 표기한 것이다.][* 팁을 주자면, 대만어 로마자 표기법이 익숙하지 않다면 白話字(Pe̍h-ōe-jī)로 쓰든 臺羅(Tâi-lô)로 쓰든 성조 표시는 부호 대신 숫자로 써서 외우는 것을 추천한다. 표준 중국어의 [[한어병음]]과 달리 성조 부호가 성조의 소리값과 연관이 별로 없어(예를 들면 á가 내려가는 발음이고 â가 올라가는 발음인 것) 부호로 표시하나 숫자로 표시하나 불편한 건 그게 그거이고 오히려 성조 변화 규칙은 성조를 숫자로 쓸 때 적용하기 더 편하다. 아래 예시처럼 쓰는 것 보단 Gua^^2^^ e^^5^^ boeh^^8^^-a^^2^^ si^^7^^ phu^^2^^-sik^^4^^ → Gua^^1^^ e^^7^^ boeh^^8^^-a^^2^^ si^^3^^ phu^^2^^-sik^^4^^ 이렇게 쓰는 게 성조 변화를 볼 때 직관적이다.] 我的襪仔是殕色。(내 양말은 회색이다.) 기본 성조: Góa ê boe'h-á sī phú-sik 실제 발음: Góa ē bōe-á sì phu-sik 我欲食菜頭粿。(나는 채소떡을 먹고 싶다.) 기본 성조: Góa beh chia'h chhài-thâu-kóe 실제 발음: Goa be chià chhái-thāu-kóe 伊誠會使講臺語。(그는 대만어를 정말 잘한다.) 기본 성조: i chiâⁿ ē-sái kóng tâi-gí 실제 발음: ī chiāⁿ è-sai kong tāi-gí 彼牛肉麵鹹鹹鹹。(저 우육면은 짜디짜다.) 기본 성조: he gû-bah-mī kiâm-kiâm-kiâm 실제 발음: hē gū-bá-mī kiäm-kiām-kiâm [[분류: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