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개요 || ||||<:> [[파일:대신정보통신.png|width=300]]|| || 정식명칭 || 대신정보통신 주식회사 || || 영문명칭 || Daishin Information & Communications Co.,Ltd. || || 설립일 || [[1987년]] [[8월 28일]] || || 업종명 ||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 || 기업규모 || [[중견기업]] || || 상장여부 || 상장기업 || || 상장시장 || [[코스닥]] (1995년 ~) || || 종목코드 || 020180 || ||||<:> [[http://www.dsic.co.kr|홈페이지]]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산업체. 본사는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상무중앙로]] 110([[치평동]], 우체국보험회관)에 위치해 있다. 사실상의 영업지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 1로 205-28에 위치한 대신정보통신빌딩이다. == 상세 == 원래 [[대신증권]]에서 세운 [[대신금융그룹]] 소속 기업이었다. 그러다가 [[1995년]] [[코스닥]]시장에 [[기업공개]]를 했고, [[대신증권]]에서 차츰 지분율을 줄이다가 [[2002년]] 대신금융그룹에서 완전히 계열분리됐다. [[2020년]] 현재 대신정보통신의 최[[대주주]]는 이재원 대표 본인으로, 이재원 대표는 전 대신증권 전산실장이었다. 이후로도 대신증권의 [[CI]] [[로고]]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로열티]]를 지불하다가, 2010년 대신증권이 CI 로고를 전면 교체할 때 대신정보통신은 구 대신증권 로고를 활용하면서 관계가 끊어지게 됐다. [* 그렇다고는 해도 이재원 대표가 現 대신그룹 회장의 넷째 사위인만큼 완전히 별개로 보기는 어려우며, 지분율에서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경영간섭이나 대신그룹과의 독점 계약 같은 것은 일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마치 [[야후! 재팬]]이 [[야후!]]로부터 계열분리 후 야후! 재팬만 구 로고를 사용하는 것이랑 [[모토로라 솔루션]]과 비슷하다. 본래 금융S/W, OKnet, DS-NET, Output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 대부분 [[대신증권]]과 거래를 했었으나, 계열 분리 이전부터 다수의 공공 SI 사업으로 진출하면서 점차 독자적인 루트를 잡아가기 시작했다. 2013년부터 진행됐던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때 다수의 전산실 이전 사업을 수주하면서 공공분야의 사업으로 입지를 다져가기 시작했고, 2021년 현재는 대기업 집단을 제외한 SI 기업 중 공공분야의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주 사업분야는 공공SI, 보안솔루션, 산업용 PDA 및 IoT 솔루션 등이고, 최근에는 4차 산업인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분야로도 그 범위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공공기관 사업 실적 중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매출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중을 자랑하고, 그밖에도 행정안전부, 국회, 서울특별시 등의 국가기관과 육해공 기반시설 사업 등 국군 정보망에서도 다수의 파이를 가져가고 있다. 공공 SI 사업을 주로 하는 기업인데도 산업용 PDA를 자체적으로 제조해서 판매하는데, 최근 [[우정사업본부]]에도 경쟁입찰을 통해 납품이 들어갔으며 CU 편의점에서도 일부 매장에서 대신정보통신의 PDA를 찾아볼 수 있다. 물론 주 사업분야가 이쪽은 아닌지라 매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도 않고,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크게 높은 편은 아니다. == 채용 == 규모에 비해서 의외로 공개채용을 진행하고 있지는 않다. 근무하는 직원의 말을 빌리면 각 사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적합한 인력을 채용하려다보니, 불특정 다수의 공개 채용보다는 산학협력을 맺은 대학을 통해 추천서를 의뢰하여 요건에 맞는 인재채용을 진행한다고. 따라서 대신정보통신에 지원하고자 하는 취업준비생은 현재로서는 본인이 해당 학교에 재학/졸업했는지 여부가 중요하며, 그밖에는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경력직 입사를 하는 방법 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분류:대한민국의 서비스 업체]][[분류:1987년 기업]][[분류:코스닥상장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