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포시의 행정구역)] ||<-4> ''' [[남포시|{{{#000000,#dddddd 남포시}}}]]의 [[자치구|{{{#000000,#dddddd 구역}}}]]'''[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wiki style="margin: -5px 0" '''{{{+1 대안구역}}}'''[br]大安區域[br]{{{-1 Taean District}}}}}}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안군, 너비=100%, 높이=100%)]}}} || ||<-2> '''구역 소재지''' ||<-2> 대안동 || ||<-2> '''광역행정구역''' ||<-2> [[남포시]] || ||<-2> '''하위 행정구역''' ||<-2> 8[[동(행정구역)|동]] 3[[리(행정구역)|리]] || ||<-2> '''면적''' ||<-2> 미상 || ||<-2> '''인구''' ||<-2> 77,219명[* 2008년] || ||<-2> '''인구 밀도''' ||<-2> 미상 || ||<|2><-2> '''최고인민회의''' || [include(틀:조선로동당)] || 최승룡[br]{{{#!wiki style="font-size: 12px" (대안선거구 / 초선)}}} || || [include(틀:조선로동당)] || 로익[br]{{{#!wiki style="font-size: 12px" (옥수선거구 / 초선)}}} || ||<-2> '''[[지역번호|{{{#ffffff 지역번호}}}]]''' ||<-2> '''039'''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포시]] 동남부에 위치한 구역. 남한에는 1986년 11월 에 시로 승격하고 1988년 1월 광산군과 함께 광주직할시 편입으로 폐지된 [[송정시]]가 있다면 북한에는 1978년 [[구미시]]와 함께 시로 승격하고 1979년 용강군, 강서군과 함께 남포시(직할시) 편입되고 이때 대안구역,천리마구역으로 분할한 [[대안시]]가 있다. == 역사 == 광복 당시 [[평안남도]] [[강서군]]과 [[룡강군]]의 일부였다. 1978년에 강서군의 성암면 지역과 용강군의 오신면, 다미면 지역을 분리하여 [[대안시]]를 신설하였다. 대안이라는 이름은 강서군 성암면 대안리에서 따온 것이다. 대안시는 31개 동을 두었다. 당시에는 월경지였다. 1979년 남포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남포시 소속이 되었다. 1983년 대안구역으로 개칭되었다. 2004년 1월 남포시가 일반시로 격하되면서 천리마구역, 강서구역과 함께 군이 되었고, 평안남도 소속이 되었다. 2010년 남포시가 특별시로 승격되면서 남포시 소속이 되었다. 다만 다시 군에서 구역으로 조정되었다. == 하위 행정구역 == * 동 : 대안동, 덕성동, 충성동, 금산동, 옥수동, 은덕동, 대정동, 새마을동 * 리 : 오신리, 월매리, 다미리, 세포리 == 여담 == * [[북한]] 민법 제5조, 제105조에서 말하는 '대안의 사업체계'에서의 '대안'은 이곳을 의미한다. [[https://nkinfo.unikorea.go.kr/nkp/term/viewNkKnwldgDicary.do?pageIndex=1&dicaryId=69|#1]]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4578|#2]] [[1961년]] [[12월]] 대안전기공장에 방문한 [[김일성]]이 전통적 관료제 모습인 '지배인 유일관리제'를 폐기하고 대신 그 통제권을 공장 내 설치된 [[조선로동당|당]]위원회에 넘기도록 지시한 것이 그 유래이다. 이로써 군대 내에서 [[정치장교]]가 당의 지시를 받아 각 군을 통제하는 것처럼 경제부문 내 각 기업소, 공장에서도 똑같은 방식이 적용되게 된 것. [[분류:남포시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