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1 대외한어과(对外汉语专业) / 한어국제교육(汉语国际教育)}}} 1990년대부터 [[중국]]의 [[대학]]들에서 생겨난 학과. 두가지의 의미를 포함하는데, 첫째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표준중국어]]를 가르치는 법"을 배우는 전공[* 한국에 비교하자면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과 비슷하다.], 둘째는 우리가 흔히 아는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표준중국어]], [[중국 문화]] 등 중국 관련 지식을 가르치는 전공이다. '''본 문서는 후자를 위주로 서술한다.''' 대학마다 구체적인 상황이 다른데, 예를 들면 [[베이징대학]]의 대외한어교육학원(对外汉语教育学院)은 유학생을 포함한 '''학부생 자체를 모집하지 않고''' 학위생은 오직 "외국인을 대상으로 중국어를 가르치는 인재"를 배양할 목적으로 대학원생만 모집하며, 어학연수생의 중국어 교육을 담당할 뿐이다. 하지만 [[푸단대학]]의 국제문화교류학원(国际文化交流学院)은 전자를 목적으로 중국학생과 유학생을 모집하는 "대외한어", "한어국제교육" 두가지의 연구생(대학원) 전공과 후자를 목적으로 유학생만 모집하는 "한어언(대외)" 본과(학부) 전공, 그리고 어학연수 등 비학위(非学位)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있다. == 상세 == 오직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중국 대학의 일반과에 비해 학습 강도가 낮다. 입학 문턱도 낮아, [[HSK]] 성적이 아예 없는 상태에서도 입학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대부분 HSK 3급 정도만으로도 1학년 입학이 가능하다. 명문대의 경우 HSK 4-5급, [[푸단대학]]의 경우 별도의 어문(중국어)와 영어 시험을 거쳐 입학한다. 재중 유학생의 80%가 이 대외한어과에 재학 중이라고 한다. [[https://www.whychina.co.kr/dwhanyu.php|#]][[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715792&memberNo=28192866&vType=VERTICAL|#]] 아무래도 학과 특성 때문에 "정식 학위를 인정받지 못한다", "수료증만 나온다", "어학연수 취급 받는다" 같은 오해가 존재하는데, '''사실무근이다'''. 대외한어과도 타 학과와 동등하게 정식 학과에 속해있으며, 졸업생도 아무런 문제 없이 정식 학사 학위를 수여받는다. 외국 대학의 [[중국어학과]] 출신보다는 대외한어과에서 열심히 공부해서 학점을 따고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이 '''언어적 환경에 있어서만큼은''' 많이 유리하긴 하다. 영미권은 HSK 4급만 있으면 [[장학금]]을 줄 정도이니... 현지에서 공부하는 대외한어과랑 차이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 == 단점 == 언어적 환경에선 외국 대학의 중국어학과에 비해 유리한건 사실이나, 학과 자체가 외국인 학생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타 학과에 비해 중국인 학생들과의 교류가 많이 어렵다. 물론 [[동아리]] 활동이나 교양수업을 통해 타 학과 중국인 친구를 사귀는것도 충분히 가능하나 평소에 중국인 학생을 접할 기회가 적은건 매우 큰 디메리트. 만약 중국의 언어적 환경을 제대로 누리면서 중국어를 배우고자 한다면 차라리 중국 대학의 [[중국어학과]]를 알아보자. 단 여기는 중국어를 모국어로서, 학문적으로 배우는 곳이므로 학업의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함은 감수해야 한다. 한국으로 치면 한국어 좀 하는 유학생들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이 아닌 [[국어국문학과]]에 오는 격이다. "정식 학위가 아니다"는 오해와는 별개로, 학과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이 그닥 좋은 편은 아니다. 입학 문턱이 낮다보니 [[도피유학]]이라는 인식이 강하며, 대부분 재학생의 각종 사건사고로 학습 분위기도 그닥 좋은 편은 아니다. 물론 본인의 의지가 확고하고 목표가 뚜렷하다면 이러한 단점들은 충분히 커버가 가능하지만.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language&no=68612|관련글]] [[분류:학과]][[분류:중국어]][[분류:중국의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