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베트남 정사]] || [[파일:DaiVietSuKyToanThu.png|width=200]] || [목차] [clearfix] == 개요 == {{{+3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다이 비엣 스 끼 또안 트] / 大越史記全書}}} '''[[베트남]]의 [[편년체]] [[통사]]'''(通史). 베트남의 옛 나라인 [[대월]]의 장대한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한문]]으로 구성된 베트남의 정사(正史)이기도 하며, '''한국으로 치면 《[[삼국사기]]》와 비슷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시초는 1200년대 [[쩐 왕조]]의 [[태종(쩐)|진태종]]이 '''레반흐우'''(黎文休, 여문휴)에게 명령하여 조씨의 [[남월]]부터 [[리 왕조]]까지의 역사를 편찬하게 한 데 있다. 그 후 태종의 뒤를 이은 [[성종(쩐)|진성종]] 때 30권으로 구성된 《대월사기》로 틀을 잡게 되었다. 그이후 1400년대 [[후 레 왕조]]의 [[성종(레)|여성종]]의 명령으로 '''응오시리엔'''(吳仕連, 오사련)이 다른 사료를 참고하고, [[낙룡군]] 시기의 [[반 랑]], [[어우 락]]의 전승을 추가하여 《대월사기》를 개정 및 보충하고, 다시 구성을 구분하여 현대까지 전해지는 《대월사기전서》로 완성했다. == 구성 == === 권수(卷首: 서문) === * 대월사기속편서(大越史記續編序) * 대월사기속편서(大越史記續編書) * 대월사기외기전서서(大越史記外紀全書序) * 의진대월사기전서표(擬進大越史記全書表) * 찬수대월사기전서범례(篡修大越史記全書凣例) * 월감통고총론(越鑑通考總論) * 대월사기전서서(大越史記全書序) * 대월사기전서서(大越史記全書序) * [[https://m.blog.naver.com/caesar117/70149758086|서문 번역]] === 외기(外紀) === * 1권(卷之一) * [[반랑|홍방씨기(鴻厖氏紀)]] * 경양왕(涇陽王) * 낙룡군(貉龍君) * 웅왕(雄王) * 후왕(後王) * [[어우락|촉씨기(蜀氏紀)]] * 안양왕(安陽王) * 2권(卷之二) * [[남월|조씨기(趙氏紀)]] * [[조타(남월)|무제(武帝)]] * 문왕(文王) * 명왕(明王) * 애왕(哀王) * 술양왕(術陽王) * 3권(卷之三) * 속서한기(屬西漢紀) * [[쯩 자매|징여왕기(徵女王紀)]] * 속동한기(屬東漢紀) * [[사섭|사왕기(士王紀)]] * 4권(卷之四) * 속오진송제양기(屬吳晉宋齊梁紀) 부 [[조구#s-2]](附趙嫗) * 전이기(前李紀) * [[리비|전이남제(前李南帝)]] * 조월왕기(趙越王紀) 부 도랑왕(附桃郎王) * 조월왕(趙越王) * 후이기(後李紀) * 후이남제(後李南帝) * 5권(卷之五) * 속수당기(屬隋唐紀) 부 흑제부군(附黑帝都君) * 남북분쟁기(南北分爭紀)[* 여기서 '북(北)'은 [[남한(오대십국시대)|남한]]을 일컫는다.] * 곡절도(曲節度) * 양정공(楊正公) * 오씨기(吳氏紀) * [[응오꾸옌|전오왕(前吳王)]], 양삼가(楊三哥) * 후오왕(後吳王) 부 천책왕(附天策王) * 오사군(吳使君) 부 [[십이사군시대|각 사군(附各使君)]] === 본기(本紀) === * 1권(卷之一) * 정기(丁紀) * [[딘보린|선황제(先皇帝)]] * 폐제(廢帝) * 여기(黎紀) * [[레호안|대행황제(大行皇帝)]] * [[레롱비엣|중종황제(中宗皇帝)]] * [[레롱딘|와조황제(臥朝皇帝)]] * 2권(卷之二) * 이기(李紀) * 태조황제(太祖皇帝) * 태종황제(太宗皇帝) * 3권(卷之三) * 성종황제(聖宗皇帝) * 인종황제(仁宗皇帝) * 신종황제(神宗皇帝) * 4권(卷之四) * 영종황제(英宗皇帝) * 고종황제(高宗皇帝) * 혜종황제(惠宗皇帝) * 5권(卷之五) * 진기(陳紀) * 태종황제(太宗皇帝) * 성종황제(聖宗皇帝) * 인종황제(仁宗皇帝) * 6권(卷之六) * 영종황제(英宗皇帝) * 명종황제(明宗皇帝) * 7권(卷之七) * 헌종황제(憲宗皇帝) * 유종황제(裕宗皇帝) * 예종황제(藝宗皇帝) * 예종황제(睿宗皇帝) * 8권(卷之八) * 폐제(廢帝) * 순종황제(順宗皇帝) * 소제(少帝) * 9권(卷之九) * 후진기(後陳紀) * 간정제(簡定帝) * 중광제(重光帝) * 속명기(屬明紀) * 10권(卷之十) * 여황조기(黎皇朝紀) *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 11권(卷之十一) * 태종문황제(太宗文皇帝) * 인종선황제(仁宗宣皇帝) * 12권(卷之十二) * 성종순황제(聖宗淳皇帝) 상(上) * 13권(卷之十三) * 성종순황제(聖宗淳皇帝) 하(下) * 14권(卷之十四) * 헌종예황제(憲宗睿皇帝) * 숙종흠황제(肅宗欽皇帝) * 위목제(威穆帝) * 15권(卷之十五) * 양익제(襄翼帝) * 타양왕(陀陽王) * 공황제(恭皇帝) * 16권(卷之十六) * 장종유황제(莊宗裕皇帝) * 중종무황제(中宗武皇帝) * 영종준황제(英宗俊皇帝) * 17권(卷之十七) * 세종의황제(世宗毅皇帝) * 18권(卷之十八) * 경종혜황제(敬宗惠皇帝) * 신종연황제(神宗淵皇帝) 상(上) * 진종순황제(眞宗順皇帝) * 신종연황제(神宗淵皇帝) 하(下) * 19권(卷之十九) * 현종목황제(玄宗穆皇帝) * 가종미황제(嘉宗美皇帝) === 속편(續編) === * 1권(卷之一) * 희종장황제(熙宗章皇帝) * 2권(卷之二) * 유종화황제(裕宗和皇帝) * 혼덕공(昏德公) * 3권(卷之三) * 순종간황제(純宗簡皇帝) * 의종휘황제(懿宗徽皇帝) * 4권(卷之四) * 현종영황제(顯宗永皇帝) 상(上) * 5권(卷之五) * 현종영황제(顯宗永皇帝) 하(下) * 민제(愍帝) == 위키문헌 == * [[https://zh.wikisource.org/wiki/%E5%A4%A7%E8%B6%8A%E5%8F%B2%E8%A8%98%E5%85%A8%E6%9B%B8#%E5%8D%B7%E4%B9%8B%E5%8D%81|大越史記全書]] == 참고 문헌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81265&cid=40942&categoryId=33388|대월사기전서]] * 최병욱, 《동남아시아사 - 전통시대》, (2006, 대한교과서 주식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