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미사일]] [include(틀:미사일)] [목차] == 개요 == [[대잠전]]에서 적 [[잠수함]]을 격침시키기 위해 주로 [[수상함]]에서 운용하는 무기체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본래 [[수상함]]이 [[잠수함]]을 타격하는 수단은 [[폭뢰]]였다. 하지만 폭뢰는 수상함이 잠수함의 바로 머리 위까지 접근해서 폭뢰를 투하해야만 효과가 있었으며, 명중률도 낮았을 뿐더러 폭뢰의 폭음 때문에 수상함의 [[음파탐지기|소나]]가 잠시 먹통이 되는 부작용에 잠수함의 반격 위험까지 있는 무기체계였다. 따라서 헤지호그 같은 대잠박격포, 폭뢰를 로켓의 탄두부에 집어넣어서 날리는 대잠로켓 등의 원거리로 폭뢰를 날릴 수 있는 무기체계도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런 무기들도 무유도 폭뢰의 변종에 지나지 않아서 확실한 명중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고, 따라서 폭뢰 대신에 대잠용 [[어뢰|경어뢰]]를 비행체의 탄두부에 장착해 발사하는 대잠 미사일이라는 무기체계가 등장하게 된다. == 특징 == 주로 선미에서 밑으로 투하하는 [[폭뢰]]나 측면 어뢰발사기에서 발사하는 [[어뢰|경어뢰]]와 달리, 대잠 미사일은 10km 이상을 아음속이나 초음속으로 날아가서 입수하기에 목표물인 적 [[잠수함]]에 도달하는 시간이 빠르고, 그만큼 잠수함이 대응하기도 어려워진다. 대부분의 대잠 미사일의 비행속도는 마하 1.5 정도인데, 이 속도로 20km를 날아가는 대략 40초의 시간 동안 잠수함은 아무리 빨리 달아나도 1km를 채 도망치지 못한다. 물론 고정익 [[대잠초계기]]나 대잠헬기에서 투하하는 [[어뢰|경어뢰]]에도 잠수함이 취약한 건 마찬가지지만, 탑재량이 작아서 250kg 정도의 경어뢰도 큰 부담이 되는 소형 대잠헬기를 운용하는 해군들은 모함에서 직접 쏴올리는 대잠 미사일을 운용할 이유가 있는 셈이다. == 목록 == * 서방권 * [[홍상어]] - 대한민국 개발 * [[RUR-5 ASROC]] - [[미국]] 개발 * [[RUM-139 VL-ASROC]] - [[미국]] 개발 * ~~RUM/UUM-125 시 랜스~~ - [[미국]]에서 개발중이었으나 1990년에 취소. * 아이카라(Ikara) - [[호주]]가 개발했고, [[호주 해군]] 이외에도 [[영국 해군]], [[뉴질랜드 해군]], [[브라질 해군]]에서도 운용한 미사일이다. 등장시기가 1960년대 중반으로 아스록보다 살짝 늦지만, 사거리가 약 2배인 19km에 달하고, 로켓 추진부가 완전 무유도인 아스록과 달리 지령유도를 채용하는 등 아스록보다 성능상으로 우위에 있던 미사일이다. 냉전 종식 때문에, 퇴역한 이후 이 미사일을 운용하던 4개국 중 어느 나라도 현재 대잠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 [[https://www.dst.defence.gov.au/innovation/ikara]]] * Malafon - 프랑스 개발. 아스록, 아이카라와 마찬가지로 60년대에 등장했다. 특이하게도 탄두가 일반적인 사이즈의 경어뢰가 아니라, 500kg을 넘는 L4 어뢰다. 그래서 1.3톤이나 되는 무게에도 불구하고 사거리는 아스록보다 살짝 더 긴 13km. 1997년에 퇴역했다.[* [[https://fr.wikipedia.org/wiki/Malafon]]] * [[오토마트#s-4.1|밀라스]](MILAS) -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공동개발한 대잠 미사일. 하지만 [[프랑스 해군]]이 도입을 거부하면서 [[이탈리아 해군]]만 도입했다. 유럽권에서 유일한 현용 대잠 미사일이다. * 07식 수직발사어뢰투사로켓 - [[일본]] 개발 * [[소련]]·[[러시아]][* 소련 대잠미사일 목록은 영문 위키피디아를 참조했음.] * 85RU * 86R * 88R * RPK-1 Vikhr * [[RPK-2]] Vyuga * RPK-6 Vodopad * RPK-7 Veter * RPK-9 Medvedka * Metel Anti-Ship Complex * [[3M-54 클럽|3M-54 Kalibr]] == 현황 == 대잠 미사일은 고속으로 날아간 [[로켓]]의 탄두부에서 [[어뢰]]가 분리되어 입수하기 때문에, 기존의 [[폭뢰#s-5.2|대잠로켓]]이나 경어뢰에 비해 개발 난이도가 높다. 때문에, [[냉전]] 시기에 개발된 서방권 대잠 미사일들은 거의 전부가 기술력이 충분하면서도 [[소련 해군]]의 위협에 직면해있는 [[유럽]] 및 [[영미권]] 국가들에서 개발되었다. 하지만 [[냉전]]이 끝나고 [[러시아 해군]]이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약체화되면서, 강력한 대잠무기의 필요성이 크게 줄어들었다. 따라서 기존에 대잠 미사일을 개발/운용하던 서방국가들은 [[미국]], [[일본]]을 제외하고는 모두 대잠 미사일을 퇴역시켰으며, 새로 대잠 미사일을 개발한 서방국가도 [[한국]]과 [[이탈리아]]를 제외하고는 없다. 한편 해군전력에서 언제나 열세였던 [[소련]]과 그 후신 [[러시아]]는 꾸준히 신형 대잠 미사일을 개발해서 배치했는데, 잠대잠 미사일 개념을 사실상 포기한 서방권과 달리 잠대잠 미사일까지 보유하고 있다. [[동아시아]]권은 [[유럽]] 및 [[영미권]]과 반대로, [[중국 해군]]의 빠른 성장에 대항하기 위해 대잠 미사일의 필요성이 오히려 늘어났다고 할 수 있고, [[한국]]과 [[일본]]은 이미 각자 독자적으로 대잠 미사일을 개발해서 실전배치한 상태다. 하지만, 한국과 일본만큼 중국 해군과 첨예하게 대립하는 [[대만 해군|중화민국 해군]]이나, 중국 해군과 심심하면 해상분쟁을 벌이는 [[싱가포르 해군]]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 해군들은 대잠 미사일을 보유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