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2-23시즌, rd1=대전 KGC인삼공사/2022-23시즌, other2=V-리그 출범 이후 KGC인삼공사, rd2=대전 KGC인삼공사/V-리그)] [include(틀:V-리그 여자부 구단)] ||<-2>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width=230]] || ||<-2> {{{+1 '''대전 KGC인삼공사'''}}} || ||<-2> {{{+1 '''{{{#820024 Daejeon KGC}}}'''}}} || || '''창단''' ||[[1988년]]^^([age(1988-01-01)]주년)^^|| || '''프로출범''' ||[[2005년]] [[2월 15일]] ^^([age(2005-02-15)]주년)^^|| || '''구단명 변천''' ||대전 한국전매공사 배구단 (1988~1989) [br]대전 한국담배인삼공사 배구단 (1989~2002) [br]대전 KT&G 배구단 (2002~2005) [br] 대전 KT&G 배구단 (2005) [br] 대전 KT&G 아리엘즈 (2005~2010) [br] '''{{{#820024 대전 KGC인삼공사}}}''' (2010~) || || '''연고지 변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height=25]] '''[[대전광역시|{{{#820024 대전광역시}}}]]''' (2005~)|| || '''홈 구장''' ||'''[[충무체육관|{{{#820024 충무체육관}}}]]''' (2005~)|| || '''클럽하우스''' ||[[http://naver.me/5h30SGkt|KGC인삼공사 스포츠센터]]|| || '''모기업''' ||[[한국인삼공사|[[파일:한국인삼공사 로고.svg|height=40]]]]|| || '''구단주''' ||허철호|| || '''단장''' ||서정일|| || '''감독''' ||[[고희진]]|| || '''주장''' ||[[이소영(배구선수)|이소영]]|| || '''키트 스폰서''' ||[[스케쳐스|[[파일:스케쳐스 로고.svg|height=30]]]]|| ||<|2> '''마스코트'''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마스코트.svg|height=220]]|| ||'''홍이아씨'''[* 홍이장군의 여성 캐릭터 버전으로, 인삼공사 배드민턴단의 마스코트 역할도 한다.]|| || '''홈페이지''' ||[[http://www.kgcsports.com/volleyball/main/main.php|[[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25]]]] | [[https://www.facebook.com/VolleyballKg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instagram.com/kgcvolle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tv.naver.com/kgcvolley|[[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d6B93FlFmBAd9w6Aa_rs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 '''{{{#820024 우승 기록}}}''' || ||<-2> {{{#ffc81e ★★★ }}} [br] '''{{{+1 [[V-리그 챔피언결정전|{{{#ffffff 챔피언결정전}}}]] 우승}}}''',,(3회),, || ||<-2> '''{{{#ccac00 [[2005 V-리그 챔피언결정전|{{{#ccac00 2005}}}]], [[2009-10 V-리그 챔피언결정전|{{{#ccac00 2009-10}}}]], [[2011-12 V-리그 챔피언결정전|{{{#ccac00 2011-12}}}]]}}}''' || ||<-2> '''정규리그 1위''' ,,(1회),, || ||<-2> {{{#000000 '''2011-12'''}}} || ||<-2> '''[[프로배구 컵대회|{{{#ffffff KOVO컵}}}]] 우승''' ,,(2회),, || ||<-2> {{{#000000 '''2008''', '''2018'''}}} || ||<-2> '''[[배구/한국 세미프로|{{{#ffffff '''대통령배-슈퍼리그'''}}}]]''' ,,(0회),, || ||<-2> {{{#000000 '''-'''}}}[* 역대 최고 성적 - 준우승 : 1회(2002) ] || ||<-2> '''{{{#820024 프랜차이즈 기록}}}''' || ||<-2><^|1> {{{#!wiki style="margin: 0 -11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최고 승률''' ||<-3>'''.667''' - 2011-12 시즌 30경기 20승 10패 || || '''최저 승률''' ||'''.167''' - 2012-13 시즌 30경기 5승 25패 || || '''최다 승점''' ||'''62점''' - 2011-12 시즌 30경기 20승 10패 || || '''최소 승점''' ||'''15점''' - 2012-13 시즌 30경기 5승 25패 || || '''최다 승''' ||'''20승''' - 2011-12 시즌 30경기 20승 10패 || || '''최다 패''' ||'''25패''' - 2012-13 시즌 30경기 5승 25패 || || '''최고 FA 계약''' ||'''3년 19억 5천만원''' - 2021-22 시즌 [[이소영(배구선수)|이소영]] || }}}}}}}}}}}} || [목차] [clearfix] == 개요 == [[V-리그]]의 여자 프로[[배구]]팀. 연고지는 [[대전광역시]]. 홈구장은 중구 부사동에 위치한 한밭종합운동장 안에 있는 [[충무체육관]]. 클럽하우스는 [[KT&G]]및 자회사들이 있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본사 내에 같이 위치해 있다. 모기업은 [[KT&G]]의 [[KGC인삼공사]]. 구단주는 허철호. == 특징 == 전 경기 인터넷 생중계와 [[2012 런던 올림픽]] 4강, [[리우 올림픽]] 본선 진출 등의 성과로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는 대한민국 여자프로배구에서 프로보다는 실업팀에 가까운 소극적인 투자 수준을 고수하는 구단이다. 줄여 부를때는 인삼으로 칭하며,[* 잘하면 산삼으로 진급하지만 못하면 도라지로 격하되곤 한다.] 다른 별명으로는 구 팀명인 KT&G에서 따온 담배, 놀관장[* 놀부 정관장의 준말.], 겆삼[* 거지 코스프레 인삼공사의 준말.], 스낵면[* 한 커뮤니티에서 다른 구단이 [[양장피]] 시켜먹을 때 혼자 스낵면 끓여먹는 거지 코스프레 구단이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정건배죽[* 인삼공사 배구단 홈페이지에서 김진희 트레이드와 투자 소극성 때문에 폭발한 한 팬이 남긴 유명한 말로 '정관장으로 건강을 주고 배구로 죽음을 주느냐'라는 뜻이다.] 등이 있다. 한 글자로 줄여 부를 때는 보통 '''삼'''이라 부른다. 2010년 9월 이사회의 의결에 따라 운영주체가 [[KT&G]]에서 KGC인삼공사로 바뀌었다. 모기업명에 '''공사'''가 붙어있어 [[도로공사 배구단|도로공사]]처럼 [[공기업]]에서 운영하는 팀으로 착각하는 팬들이 많은데, 이름만 '공사'가 붙었을 뿐 민영화된 KT&G의 자회사다.[* 2008년 대법원에서 KGC인삼공사의 '공사' 명칭 사용에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KT&G 입장에서도 '''인삼공사가 공기업으로 인식되는 것이 전혀 나쁠 이유가 없어서''' 공기업 이미지는 굳이 신경쓰지 않는다. 그리고 민영화니 뭐니 해도 준정부기관, 공공기관인 국민연금, 기업은행 등이 계속 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완전 사기업 취급하기도 좀 그렇다.] ~~반대로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사기업같은 공기업 구단]]도 있다~~ 하지만 배구단에 대한 투자는 진짜 공기업 수준이기 때문에 팬들에게는 [[GS칼텍스 서울 KIXX|거지 코스프레하는 구단]]이라며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다만 구단이 제공하는 박복한 환경에도 배구단은 수비배구와 조직력이라는 끈끈한 이미지로 별 세개(우승 횟수)를 달았고 대전을 떠난 적이 없는 SINCE 1988의 배구 명가로 인정받는다. 선수단도 그동안 잡음없이 좋은 인성과 문화, 선수들간의 따뜻한 케미를 팬들에게 보여주며 페어플레이 구단의 이미지를 확립했다. 신인, 베테랑 할것없이 배구단에 입단하는 선수마다 건강해진다고 하여 힐링 배구단이라는 별명이 최근에 생겼다. 전 마스코트는 아리엘로 물의 [[요정]]이다. 가볍고 날렵하다는게 특징이며 성격은 활발하고 쾌활하며 호기심이 많아 여기저기 정신없이 다니길 좋아한다. 현재 팀 별칭이나[* 그 축구에 널리널린 'FC' 네이밍이다. 이유야 남자농구단과 같이 모기업 이름이 너무 길어서.] 마스코트는 홍이장군과 제법 비슷한 여성 캐릭터로 [[http://www.kgcsports.com/images/sportsclub/ci_badminton03.png|배드민턴단 마스코트]]와 일치한다. ~~홍이장군이랑 사귄다 카더라~~ [[V-리그]]가 공식 출범한 이래 정규시즌은 우승은 2011-12 시즌이 유일하지만[* V-리그 이전 실업팀에서는 정규시즌 우승경력이 존재.], 원년우승, 2009-10 시즌 우승 당시 모두 정규시즌은 2위로 [[V-리그 챔피언결정전|챔피언 결정전]]에 오르기만 하면 우승하는 저력이 있다. 마침 같은 모기업 산하의 남자농구단도 챔피언결정전에 두 번 진출해서 두 번 모두 우승했으니 인삼 파워(?)라고 할 수 있겠다. [[V-리그 챔피언결정전|챔피언 결정전]]에선 총 3회 우승으로 IBK기업은행, GS칼텍스의 3회 우승과 공동 2위 기록이다.[* 1위는 4회의 흥국생명] 짠돌이 기질과 함께 인삼공사 배구팀을 대표하는 다른 상징은 바로 [[몰빵배구]]. 몰빵의 명가 [[삼성화재 배구단|삼성화재]]와 같은 대전 연고여서 그런지는 몰라도, 인삼공사 역시 몰빵이 판치는 여자부에서도 손꼽히는 몰빵배구를 자랑한다.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가 버릇을 잘못 들였다~~ 일례로 여자부에서 역대 한 시즌 득점 1000점을 넘은 선수는 [[몬타뇨]]와 조이스 단 두명인데, 둘 다 인삼공사 소속의 외국인 선수였다.[* 이와 유사하게 남자부에서 시즌 1000득점을 넘긴 선수는 한동안 ~~몰빵원조~~ 삼성화재 소속 외국인 선수만 있었다(...)] 인삼공사의 몰빵배구가 특히 더 인상적인 지점은 남자부보다 경기수가 더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1000득점을, 그것도 두 차례나 넘겼다는 것. 이런 분위기는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 제도로 바뀌고 나서도 변함이 없어서, [[헤일리 스펠만|헤일리]]는 오자마자 득점왕을 찍어버렸으며, [[알레나]]와 [[디우프]] 또한 정규리그 공격 점유율이 50%를 넘나들며 2년 연속 득점왕이 되었다. 리그를 대표하는 짠돌이 팀이었지만 언젠가부터 프런트가 교체되더니 드디어 돈을 쓰기 시작하고 있다. 새로 온 구단주가 '''왜 돈을 쓰고도 욕을 먹냐, 이왕 돈 쓰는거 제대로 써라'''는 [[명언]]을 날리더니 진짜 이를 실천하면서 지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당장 선수단 구성만 봐도 좀 하는 인삼 선수들은 FA로 풀리자마자 다른 팀으로 가는 것이 국룰이었지만, 지금은 [[한수지]]를 시작으로 계속 내부FA 단속에 성공하고 있다. 외부 FA에게는 여전히 인기가 없어서 한동안 자유계약 선수들 밥만 사주는 호구 구단 노릇을 했는데, 계속 물먹어서 빡친 프런트가 시설까지 다 갈아엎어 버렸다. 여자배구가 흥행이 되자 모기업에서도 배구단을 주시하면서 아주 돈을 못 써서 안달이다. 결국 2021년에 그토록 바랬던 [[이소영(배구선수)|이소영]]을 영입하는데 성공하며 [[키움 히어로즈|거지팀]] 이미지를 어느정도 탈피하였다. 이벤트에 꽤 신경을 쓰는 구단이기도 하다. 홈경기에선 [[정관장]]을 기본으로 뿌리고 무슨 날이다 싶으면 이것저것 행사를 한다. 스폰서도 상당히 많아서 소위 말하는 거지 구단 시절에도 이벤트는 자주 해왔다. 물론 스포츠팀을 소유한 단체가 그렇듯 [[KT&G]] 및 자회사의 직원들에게 사내복지의 일환으로 티켓을 기업에서 제공해준다. 경기장까지 자회사 버스로 셔틀운행도 해줄 정도. 하지만 과거에는 이벤트에'''만''' 신경을 쓴 터라 이런거 할 돈으로 선수나 좀 사달라는 팬들의 푸념에 시달리기도 했다. --이거도 [[GS칼텍스배구단|비슷한 팀]]이 하나 더 있다-- [[한남대학교]]와도 연관이 있다. 대학과의 협약으로, [[한남대학교]] 스포츠과학과 학생들이 가끔씩 스위퍼 역할을 맡아주곤 한다. === 역대 로고와 엠블럼 === ||<-3> {{{#fff '''대전 KGC인삼공사'''의 역대 엠블럼}}} || || [[파일:대전 KT&G 배구단(2005).png|width=50%]] || [[파일:KT&G 아리엘즈.png|width=80%]] ||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width=50%]] || || {{{-2 {{{#007ec5 '''2005년'''}}}}}} || {{{-2 {{{#009edb '''2005~2010년'''}}}}}} || {{{-2 {{{#820024 '''2010년~현재'''}}}}}} || || {{{#fff '''대전 KT&G 배구단'''}}} || {{{#fff '''대전 KT&G 아리엘즈'''}}} || {{{#fff '''대전 KGC인삼공사'''}}} || == 역사 == === 슈퍼리그 시절 === [[1988년]] '''한국전매공사 배구단'''으로 창단했으며, 1989년 '''[[KT&G|한국담배인삼공사]] 배구단'''으로 바뀌었다. 사실 전매공사 이전 전매청 시절에 배구단을 운영했으나, 1970년대 중반 들어 정부에서 공기관 및 공기업 운영 체육팀을 민간 기업에 매각하는 정책을 시행하면서 전매청 여자배구단은 1977년 [[롯데그룹]] 계열 롯데상사로 인수된다.[* 1981년 한국후지필름으로 이관됐다가 IMF 외환위기의 소용돌이 때문에 1998년에 해체하게 된다.] 그리고 11년이 흘러 전매공사에서 다시 배구단을 창단하게 됐고, 그 팀이 지금까지 이어져 현재 KGC인삼공사가 됐다. [[배구/한국 세미프로|대통령배-슈퍼리그]] 시절에는 에이스가 유연경 하나밖에 없었을 정도로 전형적인 중하위권팀이었다. [[GS칼텍스 서울 KIXX|호남정유-LG정유]]가 1990년대 여자배구계를 ~~압살하고~~ 풍미하고 그 밖에 한일합섬, SK케미컬, [[김천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도로공사]] 등의 팀이 중상위권을 이루면서 그냥 근근히 리그에 참가하는 팀에 지나지 않았다. 이 가운데 1992년에 미도파 [[이창호(배구인)|이창호]] 감독의 수제자인 김형실이 감독으로 취임하여 근근이 버티기만 했었다. [[파일:1581192891.jpg]] 하지만 오히려 [[1997년 외환 위기]]를 지나면서 이 팀에 기회가 찾아왔다. IMF로 인해 여자배구팀도 줄줄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한일합섬의 주포 [[김남순]]과 [[최광희(배구)|최광희]], 이수정 등을 얻었고 그밖에 [[김세영(배구선수)|김세영]], [[이효희]], 김진이[* 1998-99 슈퍼리그에서 여자부 신인상을 수상한 센터 공격수였지만 V-리그 출범 전에 조기 은퇴했다.], [[임효숙]], [[박경낭]] 등 좋은 유망주도 영입하면서 기틀을 다져놓을 수 있었다. 2002년에는 한국담배인삼공사가 민영화가 되면서 '''[[KT&G]] 배구단'''으로 이름을 바꿨다. === [[대전 KGC인삼공사/V-리그|V-리그 출범 이후]] === ||[[파일:kgcvolley_52813652_633867047066001_3510201800931758284_n.jpg|width=100%]]|| ||'''[include(틀:다른 뜻1, other1=V-리그 출범 이후, rd1=대전 KGC인삼공사/V-리그)]'''|| == 선수단 == [include(틀:대전 KGC인삼공사/선수단)] == 응원단 == ||<-2> {{{#white '''2021-22 시즌 대전 KGC인삼공사 응원단''' }}} || || {{{#820024 응원단장 }}} || [[김정석(1984)|김정석]] || || {{{#820024 장내 아나운서}}} || [[유재환(1985)|유재환]] || || {{{#820024 치어리더}}} || [[이엄지]], [[신수인]], [[권안나]], [[정지호(치어리더)|정지호]], [[김소윤]], [[박혜인]], [[박민서(치어리더)|박민서]], 류혜민 || == 역대 성적 == ||­ || 우승 || ||­||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 ||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 || {{{#fff '''연도'''}}} || {{{#fff '''순위/팀숫자'''}}} || {{{#fff '''포스트시즌'''}}} || {{{#fff '''경기수'''}}} || {{{#fff '''승'''}}} || {{{#fff '''패'''}}} || {{{#fff '''승점'''}}} || ||<-7> {{{#ffffff 대전 KT&G 아리엘즈 }}} || || 2005 || 2/5 || '''우승''' || 16 || 11 || 5 || 27 || || 05-06 || 3/5 || 3위 || 28 || 16 || 12 || 16 || || 06-07 || '''{{{#blue 5}}}'''/5 || 5위 || 24 || 3 || 21 || 3 || || 07-08 || 2/5 || 3위 || 28 || 17 || 11 || || || 08-09 || 2/5 || 3위 || 28 || 17 || 11 || || || 09-10 || 2/5 || '''우승''' || 28 || 19 || 9 || || ||<-7> {{{#ffffff 대전 KGC 인삼공사 }}} || || 10-11 || 4/5 || 4위 || 24 || 8 || 16 || || || 11-12 || '''{{{#red 1}}}'''/6 || '''우승''' || 30 || 20 || 10 || 62 || || 12-13 || '''{{{#blue 6}}}'''/6 || 6위 || 30 || 5 || 25 || 15 || || 13-14 || 3/6 || 3위 || 30 || 14 || 16 || 48 || || 14-15 || '''{{{#blue 6}}}'''/6 || 6위 || 30 || 8 || 22 || 26 || || 15-16 || '''{{{#blue 6}}}'''/6 || 6위 || 30 || 7 || 23 || 22 || || 16-17 || 3/6 || 3위 || 30 || 15 || 15 || 44 || || 17-18 || 5/6 || 5위 || 30 || 12 || 18 || 35 || || 18-19 || '''{{{#blue 6}}}'''/6 || 6위 || 30 || 6 || 24 || 21 || || 19-20 || 4/6 || 4위[*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인해 5라운드 순위 기준으로 4위를 확정지었다. 다만 시즌 우승팀은 없다.] || 26 || 13 || 13 || 36 || || 20-21 || 5/6 || 5위 || 30 || 13 || 17 || 39 || || 21-22 || 4/7 || 4위[* 19-20 시즌에 이은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인해 5라운드 순위 기준으로 4위를 확정지었다. 다만 시즌 우승팀은 없다.] || 32 || 15 || 17 || 46 || * 여자배구는 아무리 성적이 안 좋아도 4시즌 이상을 가지 않는다의 법칙을 깨버리고 리그 최초로 '''5시즌 연속 플레이오프 탈락'''을 기록했다. 1시즌 더 플옵진출에 실패할 경우에는 [[비밀번호(스포츠)|비밀번호]]에 등재되며, 이 또한 여자배구 사상 최초가 된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대전 KGC인삼공사 역대 감독)] || '''순번'''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1대 || 석태환 || 1988년 ~ 1990년 || || || 2대 || 김영대 || 1990년 ~ 1992년 || || || 3대 || [[김형실]] || 1992년 ~ 2006년 || V1 || || 4대 || 김의성 || 2006년 ~ 2007년 || 수석코치 감독대행 || || 5대 || [[박삼용]] || 2007년 ~ 2012년 || V2, V3 || || 6대 || [[이성희]] || 2012년 ~ 2016년 || 수석코치 감독승진 || || 7대 || [[서남원]] || 2016년 ~ 2020년 || 시즌 도중 사임 (이영택 대행) || || 8대 || [[이영택]] || 2020년 ~ 2022년 || 수석코치 감독승진 || || 9대 || [[고희진]] || 2022년 ~ || || == 역대 주장 == [include(틀:대전 KGC인삼공사 역대 주장)] == 역대 외국인 선수 == ||
'''시즌''' || '''등번호''' || '''이름''' || '''등록명''' || '''포지션''' || '''국적''' || ||<|2> 2006-07 || 2번 || 루시아나 아드르노 || '''루시아나''' || 레프트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16번 || 하켈리 레날뜨빅스 || '''하켈리''' || 레프트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07-08 || 9번 || 페르난다 베티 알비스 || '''페르난다''' || 레프트 ||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08-09 || 18번 || 나기 마리안 || '''마리안''' || 레프트 ||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 2009-10 ||<|3> 7번 ||<|3> [[마델라이네 몬타뇨]][* 3시즌 동안 챔프전에서 현대건설을 상대로 두 번 우승시켰다.] ||<|3> '''몬타뇨''' ||<|3> 라이트 ||<|3> [[콜롬비아|[[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 2010-11 || || 2011-12 || ||<|2> 2012-13 || 5번 || ~~드라간 마린코비치~~[* 원래 데려오려고 한 킴벌린 글라스(미국, 레프트)가 목 수술 때문에 계약이 안 되자 데려왔는데 부상을 핑계로 단 한 경기도 뛰지 않은 채 퇴출되었다.] || '''드라간''' || 라이트 || [[세르비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 7번 || 케이티 린 카터 || '''케이티''' || 라이트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 2013-14 ||<|2> 1번 ||<|2> 조이스 고메즈 다 실바 ||<|2> '''조이스''' ||<|2> 라이트 ||<|2>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2014-15 || || 2015-16 || 1번 || [[헤일리 스펠만]] || '''헤일리''' || 라이트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2> 2016-17 || 2번 || ~~사만다 미들본~~[* 지명 이후 개인 사정으로 팀을 떠났다.] || '''미들본''' || 라이트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 2번 || [[알레나 버그스마]] || '''알레나''' || 라이트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 2017-18 ||<|2> 2번 ||<|2> [[알레나 버그스마]] ||<|2> '''알레나''' ||<|2> 라이트 ||<|2>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 2018-19 || || 2019-20 ||<|2> 13번 ||<|2> [[발렌티나 디우프]] ||<|2> '''디우프''' ||<|2> 라이트 ||<|2>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 2020-21 || || 2021-22 || 13번 || [[옐레나 므라제노비치]] || '''옐레나''' || 라이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30]]]] || || 2022-23 || 번 || [[엘리자벳 이네 바르가]] || '''엘리자벳''' || 라이트 || [[헝가리|[[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 역대 수상 == === [[V-리그 챔피언결정전|챔피언결정전]] === ||<-3> [[파일:대전 KGC인삼공사 엠블럼.svg|height=50]][br]{{{-2 {{{#ffd7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챔결_인삼공사_V1.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챔결_인삼공사_V2.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챔결_인삼공사_V3.jpg|width=100%]]}}}|| || {{{-2 '''{{{#fff V1 MVP}}} [[최광희(배구)|{{{#fff 최광희}}}]]'''}}} ||<-2> {{{-2 '''{{{#fff V2, V3 MVP}}} [[마델라이네 몬타뇨|{{{#fff 몬타뇨}}}]]'''}}} || || '''{{{#fff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결과'''}}} || {{{#ffffff '''개인 성적'''}}} || {{{#ffffff '''비고'''}}} || || 2005 || [[최광희(배구)|최광희]] || 레프트 || 3승 1패 || 득점 1위, 공격 3위, 리시브 3위 || 프로출범 후 첫 MVP || || 2010 ||<|2>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 ||<|2> 라이트 || 4승 2패 ||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1위 || || || 2012 || 3승 2패 || 득점 1위, 공격 1위 || 통합 MVP || ||<-6>{{{-2 ※ 개인 성적은 챔피언결정전의 선수 순위를 참고해 각 부분별 순위 당 전체 5위 내에 든 경우만 기재한다.[br] ※ 공격 부분의 세부 항목(예: 오픈공격)은 기재하지 않는다.}}} || }}} || || '''{{{#fff 역대 우승감독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이름'''}}} || {{{#ffffff '''취임연도'''}}} || {{{#ffffff '''정규 승률'''}}} || {{{#ffffff '''챔결 승률'''}}} || {{{#ffffff '''비고'''}}} || || 2009-10 ||<|2> 박삼용 ||<|2> 2007년 || 승률 0.679 || 승률 0.667 || || || 2011-12 || 승률 0.667 || 승률 0.600 || 통합 우승 || }}} || === [[V-리그]] === || '''{{{#fff 역대 정규리그 MV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시즌 개인 성적'''}}} || {{{#ffffff '''비고'''}}} || || 2011-12 ||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 || 라이트 || 득점 1위, 공격 1위 || 통합 MVP || }}} || || '''{{{#fff 역대 신인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개인 성적'''}}} || {{{#ffffff '''드래프트 순위'''}}} || {{{#ffffff '''출신 학교'''}}} || || 2016-17 || [[지민경]] || 레프트 || 득점 176점, 경기당 6.07점 ||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여자부/2016년-2017년|1라운드 2순위]] || 선명여고 || || 2020-21 || [[이선우(배구선수)|이선우]] || 레프트 || 득점 41점, 경기당 2.41점 || [[한국프로배구 신인드래프트/여자부/2020년-2021년|1라운드 2순위]] || 남성여고 || ||<-6>{{{-2 ※ 공격수인 경우 정규시즌의 총득점과 경기당 평균 득점을 기재한다.[br] ※ 공격수가 아닐 경우 해당 포지션의 상세 성적을 기재한다.(예: 세터-세트)}}} || }}} || || '''{{{#fff 역대 기록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부문'''}}} || {{{#ffffff '''기록 상세'''}}} || {{{#ffffff '''비고'''}}} || || 2005 ||<|3> [[김세영(배구선수)|김세영]] || 센터/공격상 || 공격성공률 39.04% || || || 2005-06 || 센터/블로킹상 || 블로킹 세트당 0.69 || || || 2008-09 || 센터/블로킹상 || 블로킹 세트당 0.79 || 블로킹상 통산 2회 || || 2009-10 ||<|3>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 || 라이트/공격상 || 공격성공률 46.75% || || ||<|3> 2010-11 || 라이트/득점상 || 총득점 591점, 세트당 9.09점 || || || 라이트/공격상 || 공격성공률 50.42% || 시즌 기록상 2관왕, 공격상 통산 2회 || || [[임명옥]] || 리베로/수비상 || 수비 세트당 7.48 || || ||<|2> 2011-12 ||<|2>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 || 라이트/득점상 || 총득점 1076점, 세트당 9.61점 || 득점상 통산 2회 || || 라이트/공격상 || 공격성공률 50.69% || 시즌 기록상 2관왕, 공격상 통산 3회 || ||<|3> 2013-14 || 조이스 || 라이트/득점상 || 총득점 1009점, 세트당 8.77점 || || || [[백목화]] || 레프트/서브상 || 서브 세트당 0.46 || || || [[임명옥]] || 리베로/수비상 || 수비 세트당 8.63 || 수비상 통산 2회 || }}} || || '''{{{#fff 역대 베스트7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포지션 기록'''}}} || {{{#ffffff '''비고'''}}} || || 2016-17 || [[알레나 버그스마|알레나]] || 라이트 || 득점 1위, 공격 2위, 서브 13위 || || || 2017-18 ||<|2> [[오지영]] ||<|2> 리베로 || 수비 세트당 8.85 || || || 2018-19 || 수비 세트당 9.88 || 베스트7 통산 2회 || ||<|2> 2019-20 || [[발렌티나 디우프|디우프]] || 라이트 || 득점 1위, 공격 3위, 서브 17위 || || || [[한송이(배구선수)|한송이]] || 센터 || 블로킹 4위, 득점 16위, 서브 20위 || || ||<|2> 2020-21 || [[발렌티나 디우프|디우프]] || 라이트 ||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14위 ||<|2> 베스트7 통산 2회 || || [[한송이(배구선수)|한송이]] || 센터 || 블로킹 1위, 득점 19위 || }}} || || '''{{{#fff 역대 월간/라운드 MV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시즌'''}}} || {{{#ffffff '''월/라운드'''}}}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팀 성적'''}}} || {{{#ffffff '''개인 성적'''}}}[* 월/라운드 기준] || || 2007-08 || 1월 || [[김사니]] || 세터 || 7승 2패 || {{{-2 알 수 없음}}} || ||<|2> 2008-09 || 5라운드 || 마리안 || 라이트 || 3승 1패 || 득점 3위, 공격 2위 || || 6라운드 || [[김사니]] || 세터 || 4승 0패 || || ||<|2> 2009-10 || 12월 ||<|5>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 ||<|5> 라이트 || 5승 2패 ||<|3> {{{-2 알 수 없음}}} || || 3월 || 5승 2패 || || 2010-11 || 2월 || 3승 3패 || ||<|2> 2011-12 || 1라운드 || 4승 1패 || 득점 1위, 공격 1위 || || 2라운드 || 4승 1패 || 득점 1위, 공격 1위 || || 2013-14 || 1라운드 || 조이스 || 라이트 || 4승 1패 || 득점 3위, 공격 3위 || ||<|2> 2016-17 || 4라운드 ||<|2> [[알레나 버그스마|알레나]] ||<|2> 라이트 || 4승 1패 || 득점 2위, 공격 2위 || || 6라운드 || 3승 2패 || 득점 1위, 공격 2위 || || 2019-20 || 5라운드 ||<|2> [[발렌티나 디우프|디우프]] ||<|2> 라이트 || 4승 1패 || 득점 1위, 공격 1위 || || 2020-21 || 3라운드 || 3승 2패 || 득점 1위, 공격 1위 || }}} || [[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 조이스, [[알레나 버그스마|알레나]], [[발렌티나 디우프|디우프]] 등 외인의 수상 비율이 유독 높은 팀이다. 그만큼 용병 의존율이 크다는 뜻이다. 몇시즌째 계속 이러다보니 아예 팀컬러로 굳어진 실정. ||<-3> {{{#fff '''기타 수상''' }}} || ||<|2> 2005 시즌 || 인기상 || [[최광희(배구)|최광희]] || || 페어플레이상 || 임효숙 || || 2007-08 시즌 || 페어플레이상 || 박삼용 || || 2008-09 시즌 || 베스트드레서상 || 지정희 || ||<|2> 2009-10 시즌 || 기량발전상 || 이연주 || || 배구발전기여상 || [[장소연(배구)|장소연]] || || 2014-15 시즌 || 베스트드레서상 || [[문명화]] || || 2016-17 시즌 || 베스트드레서상 || [[알레나 버그스마|알레나]] || === [[V-리그 올스타전]] === || '''{{{#fff 역대 올스타전 MV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연도'''}}}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결과'''}}} || {{{#ffffff '''성적'''}}} || {{{#ffffff '''비고'''}}} || || 2005 || [[최광희(배구)|최광희]] || 레프트 || 2:1 승 || 11득, 공성 44.00% || || || 2017 || [[알레나 버그스마|알레나]] || 라이트 || 0:4 패 || 5득, 공성 37.50% || || }}} || || '''{{{#fff 역대 올스타전 기타 수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연도'''}}}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부문'''}}} || {{{#ffffff '''비고'''}}} || || 2012 || 스파이크서브 퀸 || [[한수지]] || 세터 || 속도 86km/h || ||<|2> 2017 || 스파이크서브 퀸 || [[김진희(배구선수)|김진희]] || 레프트 || 속도 86km/h || || 플로터서브 퀸 || [[김해란]] || 리베로 || 11점 || || 2019 || 세레모니상 || [[오지영]] || 리베로 || || || 2022 || 스파이크 서브 퀸 || [[이소영(배구선수)|이소영]] || 레프트 || 속도 91km/h || }}} || === [[프로배구 컵대회|KOVO컵]] === || '''{{{#fff 역대 KOVO컵 MV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연도'''}}}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성적'''}}} || {{{#ffffff '''비고'''}}} || || 2008 || [[김사니]] || 세터 || 결승전 세트 11.00 || || || 2018 || [[최은지(배구선수)|최은지]] || 레프트 || 득점 2위, 공격 8위, 리시브 12위 || || }}} || || '''{{{#fff 역대 KOVO컵 MI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연도'''}}}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성적'''}}} || {{{#ffffff '''비고'''}}} || || 2016 || [[한수지]] || 센터 || 블로킹 6위, 득점 17위, 서브 13위 || || || 2019 || [[발렌티나 디우프|디우프]] || 라이트 || 득점 1위 || || }}} || === [[한·일 V리그 TOP매치]] === || '''{{{#fff 역대 한·일 V리그 TOP매치 MVP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연도'''}}} || {{{#ffffff '''이름'''}}} || {{{#ffffff '''포지션'''}}} || {{{#ffffff '''성적'''}}} || {{{#ffffff '''비고'''}}} || || 2010 || [[김사니]] || 세터 || || || }}} || == 역대 등번호 == * 프로화 이후만 기재한다. ||<-3> {{{#fff '''대전 KGC인삼공사'''}}} || || {{{#820024 등번호}}} || {{{#820024 역대 선수 목록}}} || {{{#820024 현재 선수}}} || || 1 || 김미진(2005) [br]이소진(2005~2007) [br][[한유미]](2011~2012) [br]조이스(2013~2015) [br][[헤일리 스펠만|헤일리]](2015~2016) [br][[지민경]](2016~2021) || [[이소영(배구선수)|이소영]](2021~) || || 2 || 루시아나(2006~2007) [br][[알레나 버그스마|알레나]](2016~2019) [br][[하효림]](2019~2022) || || || 3 || [[최광희(배구)|최광희]](2005~2007) [br]이소진(2007~2011) [br]차희선(2011~2013) [br][[이재은(배구선수)|이재은]](2013~2016) [br][[김채나|김혜원]](2016~2018) [br][[하효림]](2018~2019) || [[염혜선]](2019~) || || 4 || [[이효희]](2005~2007) [br][[김사니]](2007~2010) [br]'''[[한수지]]'''(2010~2019) || [[이예솔]](2019~) || || 5 || 박경낭(2005~2007) [br]홍성아(2007~2012) [br][[박상미(배구선수)|박상미]](2013~2015) [br][[김해란]](2015~2017) || [[노란]](2018~) || || 6 || 이수정(2005~2006) [br]홍성아(2006~2007) [br]이현정(2007~2008) [br][[장소연(배구)|장소연]](2009~2012) [br][[장영은]](2012~2017) || [[박은진(배구선수)|박은진]](2018~) || || 7 || 한은지(2005~2007) [br]박경낭(2007~2008) [br]'''지정희'''(2008~2009) [br][[마델라이네 몬타뇨|몬타뇨]](2009~2012) [br]케이티(2012~2013) [br]손아영(2013~2015) [br]박세윤(2017~2018) || [[고민지]](2018~) || || 8 || '''[[임명옥]]'''(2005~2015) [br][[박상미(배구선수)|박상미]](2017~2018)[br] [[나현수]](2018~2022) || || || 9 || 최희정(2005~2006) [br]페르난다(2007~2008) [br]김은영(2008~2009, 2011~2013) [br]이정옥(2009~2011) [br][[이인희(배구)|이인희]](2013~2015) [br][[박상미(배구선수)|박상미]](2015~2017) [br][[오지영]](2017~2021) || [[서유경]](2021~) || || 10 || 임효숙(2005~2007) [br]장은비(2007~2010) [br]김회순(2011~2012) [br][[최수빈(배구선수)|최수빈]](2013~2018) || [[채선아]](2018~) || || 11 || 홍미선(2005~2008) [br][[이연주(배구)|이연주]](2008~2016, 2017~2018) [br][[최은지(배구선수)|최은지]](2018~2021) || [[박혜민]](2021~) || || 12 || '''지정희'''(2005~2008) [br]'''[[백목화]]'''(2008~2016) [br][[유희옥]](2016~2017) || [[한송이(배구선수)|한송이]](2017~) || || 13 || 유미라(2006~2015) [br][[이재은(배구선수)|이재은]](2016~2019) [br][[발렌티나 디우프|디우프]](2019~2021) [br][[옐레나 므라제노비치|옐레나]](2021~2022) || || || 14 || 이현정(2005~2007) [br]최주희(2007~2011) [br]오현미(2011~2012) [br][[박상미(배구선수)|박상미]](2012~2013) [br]이보람(2013~2015) [br][[유희옥]](2017~2019) [br][[구솔]](2019~2020) || [[김채나]](2021~) || || 15 || '''[[김세영(배구선수)|김세영]]'''(2005~2012) [br][[문명화]](2015~2017) [br]이선정(2017~2019) || [[이선우(배구선수)|이선우]](2020~) || || 16 || 하켈리(2007) [br]김주영(2008~2010) [br]차희선(2010~2011) [br]이보선(2012~2013) || [[고의정]](2018~) || || 17 || 송보라(2005) [br]한은지(2007~2013) [br][[김도아(배구선수)|김진희]](2016~2017) [br]이예솔(2018~2019) || [[정호영(배구선수)|정호영]](2019~) || || 18 || [[이연주(배구)|이연주]](2007~2008) [br]마리안(2008~2009) [br]김회순(2009~2011) [br][[장영은]](2011~2012) [br][[김진희(배구선수)|김진희]](2015~2016) [br][[시은미]](2016~2017) [br][[이솔아]](2018~2021) || [[이지수(배구선수)|이지수]](2021~) || || 19 || 김은영(2009~2011) [br]조예진(2015~2016) || [[김현지(배구선수)|김현지]](2022~) || || 20 || [[이영(배구선수)|이영]](2019~2020) [br][[서유경(배구선수)|서유경]](2020~2021) || || == 논란 및 사건사고 == === 임효숙 대포주사 사건 === 05-06시즌 도중 2월 2일 현대건설전 1세트에서 임효숙 선수가 아킬레스건 파열이라는 부상을 입고 시즌아웃 되었는데, 임효숙이 이른바 '대포 주사'라고 불리는 스테로이드 주사 처방을 [[https://www.kovo.co.kr/fan/51002_freeboard_view.asp?num=3810|투약 받고]] 뛰었던 흑역사가 있다. 이 스테로이드 처방 주사는 장기간 다량 사용하면 관절을 크게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선수 보호 차원에서 대회 기간 중의 사용이 금지된 약물이다.[* 인대나 관절 부위의 염증 치료의 용도로써 일반인들에게도 드물지 않게 사용된다. 성분명이 '데포메트롤'인지라 '대포 주사'라는 별칭이 붙었다. 참고로 이 '대포 주사'는 항염 진통 작용을 하는 [[코르티솔 스테로이드]] 성분의 의약품으로써, 근육 합성 및 근육량 증강에 사용되어 도핑에 적발되는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와는 완전히 다른 성분이다.] 이런 대포주사 처방 후 출전은 과거 체육계에는 빈번했던 일로써, 선수가 큰 부상을 입고 있어도, 진통제를 맞고서 참고 뛰어야 한다는 풍조의 여실한 반영이었다. === 염혜선 인스타그램 동시 언팔 사건 === 인삼공사 선수들이 단체로 염혜선의 인스타그램을 동시에 언팔해버린 사건. 단순히 인스타 언팔가지고 이 난리가 난 것이 아니라 5라운드 현대건설전에서 경기 도중에 선수들이 염혜선을 외면하는 장면이 잡혀서 이겼는데도 불구하고 논란이 일었는데, 하필 그날 밤에 단체 언팔사건이 일어났다. 같은 시각에 단체로 언팔을 딱 때렸고 가담자도 너무 많아서 합리적 의심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절대 다수의 팬들은 왕따범들을 비판했다. 단순히 왕따 피해자를 옹호한다기 보다는 염혜선이 파도 미담만 나올만큼 배구계에서 사람 좋기로 유명해서 염혜선이 잘못했을 리 없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고, 반대로 왕따 주동자들은 부진으로 팀을 5위로 떨어트린 주범이라 뭘 잘했다고 팀 케미까지 해치냐는 비난이 대부분. 왕따설이 퍼져나가며 언팔 선수들이 까이자 욕 먹는 건 또 빠르게 눈치채서 인스타 비공개나 댓글기능 막기로 대응했고, 본격적으로 논란이 되자 가담자 전원이 슬그머니 염혜선의 인스타그램을 다시 팔로우했다. 기사로도 불화설이 언급되는 지경에 이르자 며칠 뒤 구단에서 조심스럽게 입을 열었는데, 연패 기간 중에 신경이 날카로워진 선수들 간에 언쟁이 있긴 했지만 지금은 다 풀고 화해했는데 왜 뒤늦게 논란이 되는지 모르겠다는 입장을 냈다. 하지만 현대건설전 이전에 다 풀었다고 했는데 정작 논란이 불거진 시점은 현대건설과의 경기였기 때문에 앞뒤가 안 맞는 해명으로 욕만 더 먹었다. 얼마 뒤 배구계를 휩쓴 [[이재영-이다영 학교폭력 논란|학교폭력]] 사건이 터지면서 묻히긴 했지만, 비록 성적은 좋지 않아도 팀 분위기는 남부럽지 않을 정도로 끈끈한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인삼공사 팬들에게 실망을 안겨준 큰 사건이다. 이후 인삼공사를 응원하는 분위기가 급속도로 냉각되었다. 한편 '''사건 며칠 전'''에 염혜선이 무릎 부상으로 '''전치 2주'''을 끊었다는 감독의 발언이 있었는데, 문제의 그 경기에 전세가 불리해지자 급하게 염혜선을 투입해서 부상도 둘러댄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일었다. 그리고 언팔사건 며칠 뒤에는 손목 부상을 당했다는 소식이 나오며 이것도 지어낸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깁스를 하고 나온 사진이 나와서 사실로 판명났다. 이후에 오지영이 여자부 경기가 모두 종료된 뒤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초성 저격글을 올리면서 다시 한 번 이 사건이 부각되었다. 사건 이후 특별히 염혜선을 외면하는 모습이 보이지는 않아서 다들 화해했겠거니 싶었는데, 이제는 인스타 저격이 터져버리며 또 논란이 되었다.[* 다만, 글 내용이 염혜선을 겨냥한 것 같지는 않다.] 시즌 종료 후 구단에서는 FA로 이소영을 잡으면서 언팔 당사자들 중 고참급인 최은지의 연봉을 절반으로 깎아버리고, 평상시라면 절대 풀어주지 않았을 오지영을 보호선수로 묶지 않으면서 오지영이 GS칼텍스로 떠나게 되었다. 국가대표 주전 리베로를 내치는 한이 있어도 팀 분위기를 해치는 선수는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것을 선수단 전체에 보인 셈. 그와 함께 GS칼텍스와 트레이드를 단행해 FA로 잡았던 최은지를 보내고 [[박혜민]]을 영입함으로써 신속하게 선수단을 정리했다.[* 박혜민-최은지의 트레이드는 GS칼텍스 측이 먼저 제안했고, FA 보상선수 지명일인 4월 19일 양 팀 간에 바로 합의된 것으로 보인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2&aid=0000022586|여자부 6개 구단, FA 종료 이후 손익계산서]] 4월 20일 오전 6시 기사,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530&aid=0000006647|'Win-Win'을 꿈꾸며 트레이드 단행한 차상현 감독과 이영택 감독]] 4월 29일 기사] 이후 오지영과 염혜선은 [[2020 도쿄 올림픽/대한민국/배구|2020 도쿄 올림픽]]에서 각각 주전 리베로와 주전 세터로 맹활약하며 한국 여자배구 대표팀의 기적적인 4강 진출에 크게 한몫했다. ~~불화 듀오에서 화해 듀오가 되었다~~ === 고희진 감독 선임 논란 === 2021-2022시즌이 끝나고 [[이영택]] 감독과의 계약이 만료되자 프런트는 재계약을 하지 않고 [[대전 삼성화재 블루팡스|삼성화재]] 감독을 역임했던 [[고희진]] 감독을 새 사령탑으로 [[http://www.thesports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5858|선임하였다]]. 외국인 유명 감독 발표 임박설이 있던 중에 고희진이 선임되있고, 낙하산 설 보도에 고희진 본인 인터뷰들에서 사려깊지 않은 발언들을 연이어 하면서 일부 팬들이 고희진 감독 선임을 반대하며 트럭 시위를 했고, 고희진 감독이 직접 팀 홈페이지에 [[https://www.kgcsports.com/volleyball/community/free_view.php?no=38377&sel=&find=&page=2|사과성 해명]]을 쓰머 대화를 시도한 후 정리된 사건이다. 타임라인을 짚으면 4월 11일에 오피셜이 나오고 바로 다음날인 12일에 트럭이 출동하였다. 구단에서는 낙하산 의혹에 대해 시위 당일날 그동안의 감독 선임 과정을 공개하면서 해명했지만, 시위대는 해명을 믿지 않고 과도하게 보일 수 있는 요구조건[* 해명이 미심쩍으니 고희진-구단 간 통화내역 공개, 고희진과 구단의 미팅 내역 상세공개, 고희진-기자 간 통화내역 공개, 감독 후보 인터뷰 및 심사내용 공개, 다른 후보가 불발된 이유와 시기를 공개. 저 미팅내역 상세공개가 어느 정도냐면 미팅 자리 '''식사 영수증까지 보여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종적으로 고희진 감독 사퇴, 전삼식 단장 사퇴를 주장하였다.]을 내걸며 시위를 계속하였다. 기사까지 나오자 고 감독이 4월 14일 구단 홈페이지에 사과와 해명글을 올려 대화를 해보자는 뜻을 전하며 '''감독이 부임하자마자 청문회가 열리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구단이나 감독의 실책으로 시즌 중 청문회가 열린 것이 아니다! 4월 16일에 구단이 자리를 마련해 구단 부단장, 감독, 반대 측 사람 몇몇이 모여 간담회를 가졌다. 여기서 반대측은 낙하산 의혹도 의혹이지만 고희진의 능력 부재가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주장하면서 감독과 단장 사퇴를 요구하였고, 고희진이 맡았던 삼성화재 팀 기록을 일일이 읊으며 몰빵 위주에 코칭 능력이 전무하고 여자팀도 잘 모르는 감독은 인삼공사에 안 어울린다고 '''고희진 면전에서 비난했다'''. 하지만 구단에서는 이들을 차분히 설득하였는데, 먼저 낙하산 의혹[* "감독후보 면접은 7일 끝났는데 고희진 감독은 인터뷰에서 8일에 면접을 봤다고 했다. 이거 면접은 장식이고 이미 고희진으로 내정된 것 아니냐?"는 요지.]에 대해서는 고 감독이 7일에 구단 면접을 봤다는 증거('''영수증''')를 진짜 제시해 문제의 인터뷰(8일 면접)는 고 감독의 착오에서 온 실수였다는 것을 증명했다. 감독 선임 과정은 이미 구단이 공개했기 때문에 시위측도 이 부분은 더 이상 걸고 넘어지지 못했다. 그리고 고희진의 삼성화재 시절 부진에 대해서는 배구단 부단장이 직접 나서서 연달아 터진 코로나 집단감염, 소속 선수의 사망이라는 악재가 연달아 있었고 이를 제외한다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했다는 구단 입장을 전달했다.[* 삼성화재의 사정도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팀내 최고연봉자가 1억대일 정도로 대규모 리빌딩 중이었고 시즌 전부터 꼴찌 후보 0순위였다. 그런 팀을 선수장사로 밑천을 마련하고 강서브라는 팀 컬러를 장착시키며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만든 것은 다름아닌 고희진이다.] 또한 여자부 경력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김종민, 김호철, 강성형, 권순찬 감독도 여자부 경력 없이 단번에 감독이 된 선례를 들었다.[* 부임한지 1달도 안 된 권순찬을 제외하면 김종민은 우승, 강성형은 1위, 김호철은 멸망팀 재건이라는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단, 강성형은 라바라니 수코로 2019년부터 2년 연수를 받은 바가 있어 큰 설득력은 없다.] 고희진 감독도 자신의 시즌 구상을 밝히며 설득하였다. 이 자리 이후 시위를 계속하자는 기류는 가라앉고 지켜보자는 입장이 우세해져 상황이 종료되었다. == 이모저모 == * 2018년 8월 [[보령시]]가 KGC인삼공사를 유치하겠다는 기사가 나왔다. 보령시는 2020년 [[대천해수욕장]] 근처에 배구장을 비롯해 유도장 등이 갖춰진 스포츠파크를 조성하여 스포츠 마케팅에 적극 나설 계획이었는데, KOVO컵의 인기에 고무되어 인삼공사의 연고지 이전을 추진하게 되었다. [[https://kini.kr/1717|##]] 보령시의 팀 유치 희망 보고를 받은 조성인 인삼공사 단장도 연고지 이전을 적극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또한 KOVO는 남녀 연고지를 분리해서 배구의 저변을 더 넓히기를 원하고 있는데, 대전은 이미 [[삼성화재 블루팡스]]가 있어서 인삼공사의 연고지 분리에 적극적이다.[[https://sports.news.naver.com/volleyball/news/read.nhn?oid=076&aid=0003299891|##]] 지자체, 팀, KOVO의 이해 관계가 모두 맞아 떨어지는 상황이다. 다만 인삼공사는 KOVO의 조속한 연고 이전 의도와는 달리 대전시의 입장을 들어보고 점진적으로 이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차후 상황이 바뀔 여지는 있다. 2021년, 현재는 아무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 않다. 이런 점을 보아, KGC인삼공사가 이전할 일은 없어진 듯 하다. * 2011-12 시즌부터 크리스마스-연말연시 한정으로 스페셜 에디션 유니폼을 착용하고 있다. [[KBL]] [[안양 KGC인삼공사]]의 스페셜 에디션 유니폼의 디자인이 다소 이해 못할(?) 정도로 호불호가 갈리는데 반해 이쪽은 평이 좋은 편. [[파일:external/sccdn.chosun.com/2013122501002242700139471.jpg]] * [[발리볼퀸 닷컴]]이라는 서포터즈 프로그램이 있다. * [[http://www.kovo.co.kr/game/kovocup/13141_game-summary.asp?season=813&g_part=212&r_round=1&g_num=17&|2016년 9월 30일]](금), 코보컵 조별리그에서 외국인 용병 [[알레나 버그스마]]가 한국도로공사와 붙어서 트리플 크라운(후위 10, 서브 3, 블로킹 3)을 달성했다. 하지만 코보컵의 트리플크라운은 인정받지 못했다. * 클럽하우스는 [[대전광역시|대전]] [[신탄진]]에 위치한 KT&G 신탄진제조창 내에 위치해 있다.[* 그 전에는 [[수원시|수원]] 정자동의 KT&G 수원제조창 내에 있었다.] 시설이 보잘 것 없어서 타팀 선수들이 인삼에 오길 기피하는 이유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는데, 구단주가 바뀌고 모기업의 지원이 늘어나며 기존 시설을 거의 다 뜯어고치다시피 해서 지금은 타 구단 [[https://youtu.be/VUlc14ZEJJ4|부럽지 않은 환경이라 한다.]] 원래는 클럽하우스를 아예 새로 지을 계획이었는데 시에서 건축허가가 안 나와서 어쩔 수 없이 리모델링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한송이가 말하기를 처음 인삼공사에 왔을때는 여기서 살 생각을 하니 앞날이 캄캄해지는 정도였는데, 휴가를 나갈때마다 공사를 하다보니 지금은 완전히 달라졌다고 한다.] * [[서남원]] 감독은 [[http://sports.donga.com/3/all/20190701/96265382/1|남녀 합동 훈련]]을 [[http://news.kbs.co.kr/news/view.do?ncd=4235863&ref=A|시도하고 있다]]. * 2019년 9월, [[광주광역시]] 빛고을체육관에서 진행한 4개 구단의 친선 경기에서, [[https://sports.news.naver.com/volleyball/news/read.nhn?oid=079&aid=0003267767|구단 이기주의를 드러내었다]]. * 2020년 3월 코로나19 확산으로 V-리그가 중단되자 대전 KGC인삼공사 스포츠센터에서 외출 외박 자제와 함께 통제된 생활을 하고 있다. 훈련과 함께 레크레이션 행사 등을 진행하는 모습. [[https://youtu.be/yXlxTDWC5bg|선수들의 일상을 취재한 기사]] * 성적이 좋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팀이지만 불리한 상황에서도 꾸역꾸역 5세트까지 끌고가는 특유의 끈끈한 팀 컬러 때문에 '''인삼 좀비'''라고도 불린다. 높이가 높고 몰빵배구를 구사하는 팀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인삼의 늪배구에 휘말리게 된다.[* 19-20시즌 26경기 중 13경기가 풀세트 경기였다. 덕분에 승점관리는 개판이지만 보는 재미는 보장한다.] 정말 뭐가 있긴 있는지 잘못 걸리면 제아무리 양팀의 격차가 커도 같이 수렁으로 빠져들어서 난전을 펼치게 된다. 특히 기복 심하기로는 누구 부럽지 않은 [[GS칼텍스 서울 KIXX|GS칼텍스]]가 인삼식 좀비배구에 잘 휘말리는 편. * 19-20 시즌부터 공식 [[https://www.youtube.com/channel/UCd6B93FlFmBAd9w6Aa_rsvA|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많이 올리고 있다. * 세븐틴 멤버 [[승관]]이 이 팀의 오랜 팬이다. * KGC인삼공사 구단의 전 감독이었던 [[서남원]]이 IBK 기업은행 감독으로서 [[프로배구 컵대회/2021년]]에 참가했다. 그리고 첫 경기(vs 현대건설, 24일) 3세트 [[https://sports.news.naver.com/volleyball/vod/index?uCategory=kvolleyball&category=wkovo&id=842488&redirect=true|두 번째 작전타임]]에서 '''IBK'''가 아니라 '''인삼'''을 외치며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기업은행의 중심에서 인삼을 외쳤다]]. * 정호영, 박은진, 박혜민, 고민지가 걸그룹 '''블랙펑크'''를 [[https://sports.news.naver.com/volleyball/vod/index?uCategory=kvolleyball&category=wkovo&id=853905&redirect=true|결성했다]]. [[블랙핑크]]를 패러디한 것 [[https://youtu.be/GyN6v_7Yn0Q|같지만]], 무슨 곡의 춤을 췄는지 알려지지 않았다. * 21-22 시즌 프로필 사진은 어마어마한 악평을 받았다. 네티즌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fivb&no=293686|누가 메이크업 담당이었는지]] 알고 싶었는데, [[메가스터디]] 뷰티아카데미가 그 장본인이라고 한다. * 2022년 6월 7일, [[스테파노 라바리니]] 폴란드 여자배구대표팀 감독이 전지훈련의 일환으로 [[https://www.mhnse.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214|방한하여 대전에 머물렀다]]. 이 과정에서 인삼공사 배구단은 국내 수송, 연습장 등 편의 시설을 제공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KT&G)] [include(틀:KGC인삼공사 스포츠단)] [include(틀:대전광역시/스포츠)] [각주] [[분류:대전 KGC인삼공사]] [include(틀:포크됨2, title=대전 KGC인삼공사, d=2022-07-05 15:4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