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구(부산)의 법정동)] ||<-2> '''[[중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대청동}}}'''[br]大廳洞 | Daecheong-dong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대청동, 너비=100%, 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250025 || || '''관할 법정동''' || 대청동1~4가 || || '''하위 행정구역''' || 21통 102반 || || '''면적''' || 0.35㎢ || || '''인구''' || 5,963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7,037.1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중구·영도구'''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황보승희]] ,,(초선),, || ||<-2> '''부산광역시의원 | 중구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강주택 ,,(초선),, || ||<-2> '''중구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희은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길희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인구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청로99번길 14-1[* 대청동2가 2-2] || || [[http://www.bsjunggu.go.kr/dong/index.junggu?menuCd=DOM_000001103001001000|대청동 주민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중구(부산)|중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동 이름은 과거 [[일본]] 사신이 조선에 올 때, 그들을 맞이하는 [[영빈관]]으로 세운 '연향대청(宴享大廳)' 또는 왜관 내 사무역을 관장했던 '개시대청(開市大廳)'에서 유래했다. 조선 사신([[조선 통신사]])은 당시 일본의 수도 [[교토]]와 [[에도]]까지 갔다 왔지만, 반대로 일본 사신은 [[한양]]으로 가지 못하고 바다를 건너 조선에 들어오자마자 부산 여기서 일본국의 외교문서를 건네주어야 했다. 사신단이 조선 국토를 관통해 지나가면서 조선의 지형을 정찰해서 침략전쟁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었다. 아무튼 원래는 수도에서 해야 했던 외교사신 맞이를 부산에서 해야 했으므로, 격이 높은 큰 관청 즉 대청을 부산에 하나 만들어두었는데 그게 연향대청이고 이 연향대청이 있던 동네가 대청동, 대청 옆 길은 [[대청로]]가 되었다. 관할 법정동은 대청동1가·대청동2가·대청동3가·대청동4가이다. 동주민센터는 대청동2가에 있다. 크게 대청로 연선의 남부와 복병산·구봉산을 양옆에 두고 형성된 노후주택이 몰려있는 북부로 나뉜다. 전자는 지나가는 시내버스 노선이 많아 교통이 제법 편리한 축에 속하지만 유동인구에 비해 상업지구는 상당히 보잘것없는 편이다. 오히려 [[국제시장]](어디 소속인지는 밑에서 서술)이나 [[부평깡통시장|부평시장]]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후자는 열악한 도로사정으로 인해 교통이 상당히 불편하다. 특히 영주동 방향의 최북단 쪽은 지옥의 산복도로라... 거기 사는 사람은 집에 갈려면 계단길을 걷고 걷는 이른바 '''등산'''을 해야한다. [[메리놀병원]]과 '''[[중구청(부산)|중구청]]'''이 이 곳에 있다. == 관할 법정동 == === 대청동1가 === ||<-2> '''[[중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청동1가}}}'''[br]大廳洞一街 | Daecheong-dong 1(il)-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중구 대청동1가,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611011600 || || '''관할 행정동''' || 대청동 || || '''면적''' || 0.120㎢ || * 중구청, 중구보건소, 상수도사업본부가 있다. 고개 정상에 있어 도보로 방문하기가 쉽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 * 복병산에 부산 최초의 [[부산기상관측소]]가 있으며 이 일대 복병산체육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유일한 [[사립학교]]인 남성초등학교와 남성여자고등학교가 있다. * 부산동광초등학교가 있었으며 남일초등학교와 통폐합하여 광일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일초등학교 부지로 이전하였다. 이후 동광초등학교 부지는 영화박물관 건립을 추진하였으나 대청동 일대 주차공간이 부족해 공영주차장으로 우선 건축하였고 이후 개발을 준비하려고 했다. 하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결국 주차장 부지 옆 공터에 영화체험박물관이 개관하였다. * [[용두산공원]] 북쪽 어귀에 [[천주교 부산교구]] 1호 주교좌성당인 중앙성당이 있다. * [[한국은행]] 부산본부가 있었다가 [[문현금융단지]] 조성으로 인해 이 곳으로 이전하였다. 옛 한은 부산본부 건물은 리모델링 공사를 거쳐 2023년 3월 부산근현대역사관 본관이 됐다. * 서라벌호텔이 있었다. 2004년 경영난으로 폐업하였고 코모도호텔이 인수하여 7년동안 건물이 방치되었다가 철거되고 오피스텔로 재건축 되었다. [clearfix] === 대청동2가 === ||<-2> '''[[중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청동2가}}}'''[br]大廳洞二街 | Daecheong-dong 2(i)-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중구 대청동2가,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611011700 || || '''관할 행정동''' || 대청동 || || '''면적''' || 0.035㎢ || * 대청동주민센터가 있다. * [[부산근대역사관]]이 있다. * [[성공회 부산주교좌성당]]이 있다. [clearfix] === 대청동3가 === ||<-2> '''[[중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청동3가}}}'''[br]大廳洞三街 | Daecheong-dong 3(sam)-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중구 대청동3가,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611011800 || || '''관할 행정동''' || 대청동 || || '''면적''' || 0.013㎢ || [clearfix] === 대청동4가 === ||<-2> '''[[중구(부산광역시)|{{{#000000,#dddddd 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청동4가}}}'''[br]大廳洞四街 | Daecheong-dong 4(sa)-ga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중구 대청동4가,너비=100%,높이=100%)]}}}|| || '''광역자치단체''' || 부산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2611011900 || || '''관할 행정동''' || 대청동 || || '''면적''' || 0.181㎢ || * 부산동광초등학교와 부산남일초등학교가 통합한 부산광일초등학교가 있다. 원래는 남일초등학교 자리였다. * [[천주교 부산교구]]의 교구청사이자 1970~1980년대 부산지역 민주화 운동의 메카였던[* 부산에서 인권 변호사 겸 민주화 운동가로 활동했던 [[노무현]]과 [[문재인]]이 1987년 이 건물에서 [[5.18 민주화운동]] 당시 영상을 담은 '광주 비디오 상영회'를 개최했다. 이 당시만 해도 5.18의 진실이 철저히 은폐·축소·왜곡된 채 다른 지역에 알려지다보니 '광주 사태' 내지는 '광주 폭동' 정도로 폄훼됐는데 이 영상을 보고 상당한 충격을 받은 부산시민들이 많다고 한다. 이후 이 건물은 [[6월 민주항쟁]] 당시 부산지역 항쟁의 본부 역할을 했다.] 가톨릭센터가 있으며 이 건물 안에 [[부산가톨릭평화방송]]이 있다. * 이외에 중구종합사회복지관, [[부산중부경찰서]] 대청파출소, [[메리놀병원]] 등이 있다. [clearfix] == 주요 시설 == === 기관 === * 부산중구복지관 === 방송 === * [[부산가톨릭평화방송]] === 교육 === * 광일초등학교 (대청동4가) * 남성초등학교 (대청동1가) * [[남성여자고등학교]] (대청동1가) == 교통 == === 버스 === ==== 일반 ==== * [[부산 버스 15]](심야포함) * [[부산 버스 40]] * [[부산 버스 70]] * [[부산 버스 81]] * [[부산 버스 86]] * [[부산 버스 126]] * [[부산 버스 186]] * [[부산 버스 190]] ==== 마을 ==== * [[부산 버스 중구1]] == 기타 == * [[부산광역시]] 공식 기상관측소인 '''부산기상관측소'''가 대청동 복병산에 있다. 일기예보에 나오는 부산의 날씨는 이곳을 기준으로 한다. [[분류:중구(부산)의 법정동]][[분류:중구(부산)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