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보물)]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목차][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보물]] 중 제410호부터 제600호까지의 목록이 나열된 문서. == 목록 == ||<:><-2>'''호(號)'''||<:>'''이름/한문표기'''[* [[문화재청]]에 등재된 정식 명칭을 기준으로 한다.]||<:>'''지역'''||<:>'''시대'''||<:>'''지정년월일'''||<:>'''비고'''|| ||<:><-2>401호||<:>금동여래입상 (金銅如來立像)||<:>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통일신라]]||<:>1964년 9월 3일 지정||<:>|| ||<:><-2>402호||<:>수원 [[팔달문]] (水原 八達門)||<:>경기수원시팔달구팔달로2가138번지||<:>[[조선]]||<:>1964년 9월 3일 지정||<:>|| ||<:><-2>403호||<:>수원 [[화서문]] (水原 華西門)||<:>경기수원시팔달구장안동334번지||<:>[[조선]]||<:>1964년 9월 3일 지정||<:>|| ||<:><-2>404호||<:>진천 연곡리 석비 (鎭川 蓮谷里 石碑)||<:>충북진천군진천읍김유신길639(연곡리)||<:>[[고려]]||<:>1964년 9월 3일 지정||<:>|| ||<:><-2>405호||<:>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충북단양군가곡면향산1길24(향산리)||<:>[[통일신라]]||<:>1964년 9월 3일 지정||<:>|| ||<:><-2>406호||<:>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 (堤川 德周寺 磨崖如來立像)||<:>충북제천시한수면송계리1번지덕주사||<:>[[고려]]||<:>1964년 9월 3일 지정||<:>|| ||<:><-2>407호||<:>천안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天安 三台里 磨崖如來立像)||<:>충청남도천안시동남구풍세면삼태리산28-1||<:>[[고려]]||<:>1964년 9월 3일 지정||<:>|| ||<:><-2>408호||<:>논산 [[쌍계사]] 대웅전 (論山雙溪寺大雄殿)||<:>충남논산시양촌면중산길192,쌍계사(중산리)||<:>[[조선]]||<:>1964년 9월 3일 지정||<:>|| ||<:><-2>409호||<:>당진 영탑사 금동비로자나불삼존좌상 (唐津 靈塔寺 金銅毘盧遮那佛三尊坐像)||<:>충청남도당진시성하로139-33(면천면,영탑사)||<:>[[고려]]||<:>1964년 9월 5일 지정||<:>|| ||<:><-2>--410호--||<:>--[[정암사#s-3.1|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旌善 淨岩寺 水瑪瑙塔)--||<:>강원정선군고한읍함백산로1410(고한리)||<:>[[고려]]||<:>1964년 9월 3일 지정||<:>[* 2020년 6월 25일 해제, 국보 제332호로 승격]|| ||<:><-2>411호||<:>[[양동마을#s-5.2|경주 양동 무첨당]] (慶州良洞無忝堂)||<:>경북경주시강동면[[양동마을]]안길32-19(양동리)||<:>[[조선]]||<:>1964년 11월 14일 지정||<:>|| ||<:><-2>412호||<:>경주 [[양동마을]] 향단 (慶州 良洞 香壇)||<:>경북경주시강동면[[양동마을]]길121-75(양동리)||<:>[[조선]]||<:>1964년 11월 14일 지정||<:>|| ||<:><-2>413호||<:>경주 독락당 (慶州 獨樂堂)||<:>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서원]]길300-3(옥산리)||<:>[[조선]]||<:>1964년 11월 14일 지정||<:>|| ||<:><-2>414호||<:>안동 [[하회마을]] 충효당 (安東 河回 忠孝堂)||<:>경북안동시풍천면종가길69(하회리)||<:>[[조선]]||<:>1964년 11월 14일 지정||<:>|| ||<:><-2>415호||<:>경주 [[기림사]] 건칠보살반가상 (慶州 祇林寺 乾漆菩薩半跏像)||<:>경북경주시문무대왕면호암리419번지기림사||<:>[[조선]]||<:>1965년 4월 1일 지정||<:>|| ||<:><-2>416호||<:>청자 투각고리문 의자 (靑磁 透刻連環文 墩)||<:>서울서대문구이화여대길52,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신촌동)||<:>[[고려]]||<:>1965년 4월 1일 지정||<:>|| ||<:><-2>417호||<:>[[홍무정운역훈]] 권3~16 (洪武正韻譯訓 卷三~十六)||<:>서울성북구안암로145,중앙도서관(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조선]]||<:>1965년 4월 1일 지정||<:>|| ||<:><-2>418호||<:>[[제왕운기]] (帝王韻紀)||<:>||<:>[[고려]]||<:>1965년 4월 1일 지정||<:>|| ||<:><-2>--419호--||<:>--[[삼국유사]] 권제3-5-- --(三國遺事 卷第三-五)--||<:>경기도 의왕시||<:>[[고려]]||<:>1965년 4월 1일 지정||<:>[* 2003년 2월 3일 해제, 국보 제306호로 승격]|| ||<:><-2>419-2호||<:>[[삼국유사]] 권2 (三國遺事卷二)||<:>||<:>[[조선]]||<:>2002년 10월 19일 지정||<:>|| ||<:><-2>--419-3호--||<:>--[[삼국유사]] 권4~5-- --(三國遺事卷四~五)--||<:>부산금정구범어사로250(청룡동)||<:>[[조선]]||<:>2002년 10월 19일 지정||<:>[* 2020년 8월 27일 해제, 국보 제306-4호로 승격]|| ||<:><-2>419-4호||<:>[[삼국유사]] 권3~5 (三國遺事卷三~五)||<:>서울성북구안암로145,중앙도서관(안암동5가,고려대학교안암캠퍼스(인문사회계))||<:>[[조선]]||<:>2002년 10월 19일 지정||<:>|| ||<:><-2>--419-5호--||<:>--[[삼국유사]] <권1-5>-- --(三國遺事<卷一-五>)--||<:> 서울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규장각 (신림동)||<:>[[조선]]||<:>2002년 10월 19일 지정||<:>[* 2003년 4월 14일 해제, 국보 제306-2호로 승격]|| ||<:><-2>420호||<:>백장암청동은입사향로 (百丈庵靑銅銀入絲香爐)||<:>전북남원시산내면천왕봉로447-76,백장암(대정리)||<:>[[조선]]||<:>1965년 7월 16일 지정||<:>|| ||<:><-2>421호||<:>남원 [[실상사]] 약수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南原 實相寺 藥水庵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전북김제시금산면모악15길1,금산사성보박물관(금산리)||<:>[[조선]]||<:>1965년 7월 16일 지정||<:>|| ||<:><-2>422호||<:>남원 선원사 철조여래좌상 (南原 禪院寺 鐵造如來坐像)||<:>전북남원시용성로151,선원사(도통동)||<:>[[고려]]||<:>1965년 7월 16일 지정||<:>|| ||<:><-2>423호||<:>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 (南原 新溪里 磨崖如來坐像)||<:>전북남원시대산면신계리산18번지||<:>[[고려]]||<:>1965년 7월 16일 지정||<:>|| ||<:><-2>424호||<:>[[예천 청룡사 석조여래좌상]] (醴泉 靑龍寺 石造如來坐像)||<:>경북예천군용문면선리520-2번지청룡사||<:>[[통일신라]]||<:>1965년 7월 16일 지정||<:>|| ||<:><-2>425호||<:>예천 청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醴泉 靑龍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경북예천군용문면선리520-2번지청룡사||<:>[[고려]]||<:>1965년 7월 16일 지정||<:>|| ||<:><-2>426호||<:>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醴泉東本里三層石塔)||<:>경북예천군예천읍동본리474-4번지||<:>[[통일신라]]||<:>1965년 7월 16일 지정||<:>|| ||<:><-2>427호||<:>예천 동본리석조여래입상 (醴泉 東本里 石造如來立像)||<:>경북예천군예천읍동본리474-4번지||<:>[[통일신라]]||<:>1965년 7월 16일 지정||<:>|| ||<:><-2>428호||<:>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및 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塔 및 碑)||<:>대구군위군고로면삼국유사로250,,613-1인각사(화북리)||<:>[[고려]]||<:>1965년 9월 1일 지정||<:>|| ||<:><-2>429호||<:>경산 [[불굴사]] 삼층석탑 (慶山 佛窟寺 三層石塔)||<:>경북경산시와촌면강학리산55-9번지불굴사||<:>[[통일신라]]||<:>1965년 9월 1일 지정||<:>|| ||<:><-2>430호||<:>[[포항 보경사 승탑]] (浦項 寶鏡寺 僧塔)||<:>경북포항시북구송라면보경로533,보경사(중산리)||<:>[[고려]]||<:>1965년 9월 1일 지정||<:>|| ||<:><-2>431호||<:>[[갓바위(팔공산)|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慶山 八公山 冠峰 石造如來坐像)||<:>경북경산시와촌면갓바위로81길176-64,선본사(대한리)||<:>[[통일신라]]||<:>1965년 9월 1일 지정||<:>|| ||<:><-2>--432호--||<:>--[[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태안마애삼존불]]-- --(泰安磨崖三尊佛)--||<:>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817-2번지||<:>[[백제]]||<:>1966년 2월 28일 지정||<:>[* 2004년 8월 31일 해제, 국보 제307호로 승격]|| ||<:><-2>433호||<:>[[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槐山 覺淵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충북괴산군칠성면각연길451,각연사(태성리)||<:>[[통일신라]]||<:>1966년 2월 28일 지정||<:>|| ||<:><-2>434호||<:>부산 [[범어사]] 대웅전 (釜山 梵魚寺 大雄殿)||<:>부산금정구범어사로250,범어사(청룡동)||<:>[[조선]]||<:>1966년 2월 28일 지정||<:>|| ||<:><-2>435호||<:>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安城 奉業寺址 五層石塔)||<:>경기안성시죽산면죽산리148-5번지||<:>[[고려]]||<:>1966년 2월 28일 지정||<:>|| ||<:><-2>436호||<:>창원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昌原 佛谷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경남창원시성산구대암로55(대방동)||<:>[[통일신라]]||<:>1966년 2월 28일 지정||<:>|| ||<:><-2>437호||<:>[[개국원종공신녹권#s-2.4|김회련 개국원종공신녹권]] (金懷鍊 開國原從功臣錄券)||<:>||<:>[[조선]]||<:>1966년 2월 28일 지정||<:>|| ||<:><-2>438호||<:>[[김회련 고신왕지]] (金懷鍊 告身王旨)||<:>||<:>[[조선]]||<:>1966년 2월 28일 지정||<:>|| ||<:><-2>439호||<:>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襄陽 陳田寺址 道義禪師塔)||<:>강원양양군강현면둔전리산1번지||<:>[[통일신라]]||<:>1966년 2월 28일 지정||<:>|| ||<:><-2>440호||<:>[[충렬사(통영)|통영 충렬사]] 팔사품 일괄 (統營 忠烈祠 八賜品 一括)||<:>경상남도통영시중앙로61(도천동,통영시립박물관)||<:>[[미상]]||<:>1966년 3월 4일 지정||<:>|| ||<:><-2>441호||<:>[[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蔚山 太和寺址 十二支像 舍利塔)||<:>울산광역시남구두왕로277-0(신정동,울산박물관)||<:>[[통일신라]]||<:>1966년 3월31일 지정||<:>|| ||<:><-2>442호||<:>경주 양동 관가정 (慶州良洞觀稼亭)||<:>경북경주시강동면[[양동마을]]길121-47(양동리)||<:>[[조선]]||<:>1966년 4월 11일 지정||<:>|| ||<:><-2>443호||<:>[[신흥사#s-1.3.1|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束草 香城寺址 三層石塔)||<:>강원속초시설악동산24-2번지||<:>[[신라]]||<:>1966년 8월 25일 지정||<:>|| ||<:><-2>444호||<:>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襄陽 禪林院址 三層石塔)||<:>강원양양군서면황이리424번지||<:>[[통일신라]]||<:>1966년 9월 21일 지정||<:>|| ||<:><-2>445호||<:>양양 선림원지 석등 (襄陽 禪林院址 石燈)||<:>강원양양군서면황이리424번지||<:>[[통일신라]]||<:>1966년 9월 21일 지정||<:>|| ||<:><-2>446호||<:>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강원양양군서면황이리산89번지||<:>[[통일신라]]||<:>1966년 9월 21일 지정||<:>|| ||<:><-2>447호||<:>양양 선림원지 승탑 (襄陽 禪林院址 僧塔)||<:>강원양양군서면황이리산89번지||<:>[[통일신라]]||<:>1966년 9월 21일 지정||<:>|| ||<:><-2>448호||<:>안동 [[봉정사]] 화엄강당 (安東 鳳停寺 華嚴講堂)||<:>경북안동시서후면봉정사길222(태장리)||<:>[[조선]]||<:>1967년 6월 23일 지정||<:>|| ||<:><-2>449호||<:>안동 [[봉정사]] 고금당 (安東 鳳停寺 古金堂)||<:>경북안동시서후면봉정사길222(태장리)||<:>[[조선]]||<:>1967년 6월 23일 지정||<:>|| ||<:><-2>450호||<:>안동 의성김씨 종택 (安東 義城金氏 宗宅)||<:>경북안동시임하면경동로1949-9(천전리)||<:>[[조선]]||<:>1967년 6월 23일 지정||<:>|| ||<:><-2>451호||<:>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安東 太師廟 三功臣 遺物 一括)||<:>경북안동시북문동24-1번지태사묘||<:>[[고려]]||<:>1967년 6월 23일 지정||<:>|| ||<:><-2>452호||<:>청자 구룡형 주전자 (靑磁 龜龍形 注子)||<:>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고려]]||<:>1967년 6월 21일 지정||<:>|| ||<:><-2>453호||<:>[[도기 녹유 탁잔]] (陶器 綠釉 托盞)||<:>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삼국]]||<:>1967년 6월 21일 지정||<:>|| ||<:><-2>454호||<:>[[경주 노서동 금팔찌]] (慶州 路西洞 金製釧)||<:>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67년 6월 21일 지정||<:>|| ||<:><-2>455호||<:>[[경주 노서동 금귀걸이]] (慶州 皇吾洞 金製耳飾)||<:>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67년 6월 21일 지정||<:>|| ||<:><-2>456호||<:>[[경주 노서동 금목걸이]] (慶州 路西洞 金製頸飾)||<:>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신라]]||<:>1967년 6월 21일 지정||<:>|| ||<:><-2>457호||<:>예천권씨 초간종택 별당 (醴泉權氏 草澗宗宅 別堂)||<:>경북예천군용문면죽림길37(죽림리)||<:>[[조선]]||<:>1967년 6월 23일 지정||<:>|| ||<:><-2>--458호--||<:>--쌍계사 적묵당-- --(河東 雙溪寺 寂默堂)--||<:>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조선/조선||<:>1967년 6월 23일 지정||<:>[* 1968년 2월 19일 화재로 소실됨에 따라 1968년 12월 16일 지정 해제. 이후 문화재지정등급 재조정으로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6호 쌍계사적묵당으로 재지정됨.]|| ||<:><-2>459호||<:>[[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堤川 長樂洞 七層模塼石塔)||<:>충북제천시장락동65-2번지||<:>[[통일신라]]||<:>1967년 6월 23일 지정||<:>|| ||<:><-2>460호||<:>유성룡 종가 유물 (柳成龍 宗家 遺物)||<:>경북안동시풍천면종가길69,영모각(일부국학진흥원위탁보관)(하회리)||<:>[[조선]]||<:>1967년 7월 15일 지정||<:>|| ||<:><-2>461호||<:>나주 철천리 마애칠불상 (羅州 鐵川里 磨崖七佛像)||<:>전남나주시봉황면철천리산124-11번지||<:>[[고려]]||<:>1968년 6월 10일 지정||<:>|| ||<:><-2>462호||<:>나주 철천리 석조여래입상 (羅州 鐵川里 石造如來立像)||<:>전남나주시봉황면철천리산124-11번지||<:>[[고려]]||<:>1968년 6월 10일 지정||<:>|| ||<:><-2>463호||<:>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강원원주시지정면안창리517-2번지||<:>[[고려]]||<:>1968년 7월 5일 지정||<:>|| ||<:><-2>464호||<:>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原州 興法寺址 三層石塔)||<:>강원원주시지정면안창리517-2번지||<:>[[고려]]||<:>1968년 7월 5일 지정||<:>|| ||<:><-2>465호||<:>영천 신월리 삼층석탑 (永川 新月里 三層石塔)||<:>경북영천시금호읍금호로360-29,신흥사(신월리)||<:>[[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66호||<:>밀양 [[만어사]] 삼층석탑 (密陽 萬魚寺 三層石塔)||<:>경남밀양시삼랑진읍만어로776,만어사(용전리)||<:>[[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67호||<:>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密陽表忠寺三層石塔)||<:>경남밀양시단장면표충로1334-9,표충사(구천리)||<:>[[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68호||<:>밀양 숭진리 삼층석탑 (密陽 崇眞里 三層石塔)||<:>경남밀양시삼랑진읍숭진리412-1번지||<:>[[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69호||<:>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龜尾 洛山里 三層石塔)||<:>경북구미시해평면낙산리837-4번지||<:>[[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0호||<:>구미 도리사 석탑 (龜尾 桃李寺 石塔)||<:>경북구미시해평면도리사로526,도리사(송곡리)||<:>[[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1호||<:>양산 [[통도사]] 봉발탑 (梁山 通度寺 奉鉢塔)||<:>경남양산시하북면통도사로108,통도사(지산리)||<:>[[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2호||<:>의령 보천사지 승탑 (宜寧 寶泉寺址 僧塔)||<:>경남의령군의령읍하리산96-1,781-4||<:>[[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3호||<:>산청 법계사 삼층석탑 (山淸 法界寺 三層石塔)||<:>경남산청군시천면지리산대로320-292,법계사(중산리)||<:>[[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4호||<:>함양 벽송사 삼층석탑 (咸陽 碧松寺 三層石塔)||<:>경남함양군마천면추성리산18-1번지벽송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5호||<:>안동 소호헌 (安東 蘇湖軒)||<:>경북안동시일직면소호헌길2(망호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6호--||<:>--김제 금산사 대적광전-- --(金堤 金山寺 大寂光殿)--||<:>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39||<:>[[백제]]||<:>1968년 12월 19일 지정||<:>[* 1986년 12월 6일 발생한 화재 사고로 소실됨. 이후 1987년 1월 1일 지정 해제.]|| ||<:><-2>477호||<:>이이 남매 화회문기 (李珥 男妹 和會文記)||<:>서울광진구아차산로263,박물관(화양동,건국대학교병원)||<:>[[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8호||<:>갑사 동종 (甲寺 銅鐘)||<:>충남공주시계룡면갑사로567-3,갑사(중장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79호--||<:>--[[낙산사 동종]]-- --(洛山寺 銅鐘)--||<:> ||<:> ||<:> ||<:>[* 2005년 화재로 소실됨에 따라 해제됨.]|| ||<:><-2>480호||<:>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 (陜川 靈岩寺址 三層石塔)||<:>경남합천군가회면황매산로637-97(둔내리)||<:>[[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1호||<:>해남 윤씨 가전 고화첩 일괄 (海南 尹氏 家傳 古畵帖 一括)||<:>전남해남군해남읍녹우당길130(연동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2호||<:>윤선도 종가 문적 (尹善道 宗家 文籍)||<:>전남해남군해남읍녹우당길130(연동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3호||<:>윤단학 노비허여문기 및 입안 (尹丹鶴 奴婢許與文記 및 立案)||<:>전남해남군해남읍녹우당길130(연동리)||<:>[[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4호||<:>김용 [[호종일기]] (金涌 扈從日記)||<:>||<:>[[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5호||<:>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大成至聖文宣王殿坐圖)||<:>경북영주시순흥면소백로2740(내죽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6호||<:>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永川 銀海寺 百興庵 須彌壇)||<:>경북영천시청통면청통로951-792,은해사백흥암(치일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7호||<:>정탁초상 (鄭琢肖像)||<:>경상북도안동시퇴계로1997(도산면,한국국학진흥원)||<:>[[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8호||<:>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경기안성시죽산면칠장로399-18,칠장사경내(칠장리)/(지번)안성시죽산면칠장리762칠장사경내||<:>[[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89호||<:>합천 영암사지 귀부 (陜川 靈岩寺址 龜趺)||<:>경남합천군가회면황매산로637-97(둔내리)||<:>[[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0호||<:>구미 [[금오산]] 마애여래입상 (龜尾 金烏山 磨崖如來立像)||<:>경상북도구미시남통동산33||<:>[[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1호||<:>[[양산 용화사 석조여래좌상]] (梁山 龍華寺 石造如來坐像)||<:>경남양산시물금읍원동로199-133,용화사(물금리)||<:>[[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2호||<:>구미 해평리 석조여래좌상 (龜尾 海平里 石造如來坐像)||<:>경상북도구미시해평면해평리525-1||<:>[[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3호||<:>[[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 (密陽 舞鳳寺 石造如來坐像)||<:>경남밀양시영남루1길16-11,무봉사(내일동)||<:>[[통일신라]]||<:>1969년 6월 24일 지정||<:>|| ||<:><-2>494호||<:>정탁문적-약포유고및고문서 (鄭琢文籍- 藥圃遺稿 및 古文書)||<:>경상북도 안동시 퇴계로 1997 (도산면, 한국국학진흥원)||<:>[[조선 ]]||<:>1968년 12월 19일 지정||<:> || ||<:><-2>495호||<:>고성 옥천사 청동북 (固城 玉泉寺 靑銅金鼓)||<:>경남고성군개천면연화산1로471-9,옥천사(북평리)||<:>[[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6호||<:>화천 계성리 석등 (華川 啓星里 石燈)||<:>강원화천군하남면계성리594번지||<:>[[고려]]||<:>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7호||<:>양양 오색리 삼층석탑 (襄陽 五色里 三層石塔)||<:>강원양양군서면약수길132(오색리)||<:>[[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8호||<:>울진 구산리 삼층석탑 (蔚珍 九山里 三層石塔)||<:>경북울진군근남면구산리1494-1번지||<:>[[통일신라]]||<:>1968년 12월 19일 지정||<:>|| ||<:><-2>499호||<:>양양 [[낙산사 칠층석탑]] (襄陽 洛山寺 七層石塔)||<:>강원양양군강현면낙산사로100,낙산사(전진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500호||<:>하동 [[쌍계사]] 대웅전 (河東雙磎寺大雄殿)||<:>경남하동군화개면쌍계사길59,쌍계사(운수리)||<:>[[조선]]||<:>1968년 12월 19일 지정||<:>|| ||<:><-2>501호||<:>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張桂 紅牌 및 張末孫 白牌ㆍ紅牌)||<:>||<:>[[기타]]||<:>1969년 2월 19일 지정||<:>|| ||<:><-2>502호||<:>장말손초상 (張末孫肖像)||<:>||<:>[[조선]]||<:>1969년 2월 19일 지정||<:>|| ||<:><-2>503호||<:>해남 명량대첩비 (海南 鳴梁大捷碑)||<:>전라남도해남군문내면동외리955-6||<:>[[조선]]||<:>1969년 6월 16일 지정||<:>|| ||<:><-2>504호||<:>영광 신천리 삼층석탑 (靈光 新川里 三層石塔)||<:>전남영광군묘량면묘량로2길40-89(신천리)/(지번)전남영광군묘량면신천리1226||<:>[[고려]]||<:>1969년 6월 16일 지정||<:>|| ||<:><-2>505호||<:>담양 객사리 석당간 (潭陽 客舍里 石幢竿)||<:>전남담양군담양읍객사리45번지||<:>[[고려]]||<:>1969년 6월 16일 지정||<:>|| ||<:><-2>506호||<:>담양 남산리 오층석탑 (潭陽 南山里 五層石塔)||<:>전남담양군담양읍남산리342번지||<:>[[고려]]||<:>1969년 6월 16일 지정||<:>|| ||<:><-2>507호||<:>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전남강진군성전면무위사로308,무위사(월하리)/(지번)전남강진군성전면월하리1174||<:>[[고려]]||<:>1969년 6월 16일 지정||<:>|| ||<:><-2>508호||<:>예산 삽교읍 석조보살입상 (禮山 揷橋邑 石造菩薩立像)||<:>충남예산군삽교읍신리산16번지||<:>[[고려]]||<:>1969년 6월 21일 지정||<:>|| ||<:><-2>509호||<:>구례 논곡리 삼층석탑 (求禮 論谷里 三層石塔)||<:>전남구례군구례읍논곡리산51-1번지||<:>[[신라]]||<:>1969년 6월 21일 지정||<:>|| ||<:><-2>510호||<:>칠곡 기성리 삼층석탑 (漆谷 箕聖里 三層石塔)||<:>경북칠곡군동명면기성리1028번지||<:>[[통일신라]]||<:>1969년 6월 21일 지정||<:>|| ||<:><-2>511호||<:>청주 계산리 오층석탑 (淸州 桂山里 五層石塔)||<:>충청북도청주시상당구가덕면계산리산46-3||<:>[[고려]]||<:>1969년 7월 18일 지정||<:>|| ||<:><-2>512호||<:>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 (忠州 丹湖寺 鐵造如來坐像)||<:>충북충주시충원대로201,단호사(단월동)||<:>[[고려]]||<:>1969년 7월 18일 지정||<:>|| ||<:><-2>513호||<:>영천 선원동 철조여래좌상 (永川 仙源洞 鐵造如來坐像)||<:>경북영천시임고면환구길144,선정사(선원리)||<:>[[고려]]||<:>1969년 7월30일 지정||<:>|| ||<:><-2>514호||<:>영천 [[은해사]] 운부암금동보살좌상 (永川銀海寺雲浮庵金銅菩薩坐像)||<:>경북영천시청통면청통로951,은해사(치일리)||<:>[[조선]]||<:>1969년 7월30일 지정||<:>|| ||<:><-2>515호||<:>[[숙신옹주]]가옥허여문기 (淑愼翁主家屋許與文記)||<:>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69년 7월30일 지정||<:>|| ||<:><-2>516호||<:>[[대구 무술명 오작비]] (大邱戊戌銘塢作碑)||<:>대구북구산격3동1370번지경북대학교박물관||<:>[[신라]]||<:>1969년 11월 7일 지정||<:>|| ||<:><-2>517호||<:>[[영천 청제비]] (永川 菁堤碑)||<:>경북영천시도남동산7-1번지||<:>[[신라]]||<:>1969년 11월 21일 지정||<:>|| ||<:><-2>518호||<:>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陜川 海印寺 願堂庵 多層石塔 및 石燈)||<:>경남합천군가야면해인사길141-22(치인리)||<:>[[통일신라]]||<:>1970년 6월 24일 지정||<:>|| ||<:><-2>519호||<:>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 (昌寧 觀龍寺 石造如來坐像)||<:>경남창녕군창녕읍화왕산관룡사길171(옥천리)||<:>[[신라]]||<:>1970년 6월 24일 지정||<:>|| ||<:><-2>520호||<:>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西 三層石塔)||<:>경남창녕군창녕읍술정서탑길4-7(술정리)||<:>[[통일신라]]||<:>1970년 6월 24일 지정||<:>|| ||<:><-2>521호||<:>영천 숭렬당 (永川 崇烈堂)||<:>경북영천시숭렬당길1(성내동)||<:>[[조선]]||<:>1970년 7월 23일 지정||<:>|| ||<:><-2>522호||<:>강세황필 도산서원도 (姜世晃筆 陶山書院圖)||<:>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0년 8월 27일 지정||<:>|| ||<:><-2>523호||<:>[[석보상절]] 권6,9,13,19 (釋譜詳節卷六,九,十三,十九)||<:>서울서초구반포대로201,국립중앙도서관(반포동,국립중앙도서관)||<:>[[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523-2호||<:>[[석보상절]] 권23,24 (釋譜詳節卷二十三,二十四)||<:>서울특별시중구필동로1길30-0(장충동2가,동국대학교)||<:>[[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523-3호||<:>[[석보상절]] 권11 (釋譜詳節卷十一)||<:>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524호||<:>여주이씨 옥산문중전적 - 사마방목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 司馬榜目)||<:>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서원길300-3,독락당(옥산리)||<:>[[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524-2호||<:>여주이씨옥산문중전적-여주이씨옥산문중전적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 - 驪州李氏 玉山門中 典籍)||<:>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서원길300-3,독락당(옥산리)||<:>[[조선]]||<:>2006년 7월 18일 지정||<:>|| ||<:><-2>--525호--||<:>--[[삼국사기]]-- --(三國史記)--||<:>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리7옥산서원||<:>[[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018년 2월 22일 해제, 국보 제322-1호로 승격]|| ||<:><-2>526호||<:>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海東名蹟)||<:>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서원길300-3,독락당(옥산리)||<:>[[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526-2호||<:>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사산오대 (驪州李氏 玉山門中 遺墨-元朝五箴,四山五臺)||<:>||<:>[[조선]]||<:>2006년 9월 1일 지정||<:>|| ||<:><-2>527호||<:>[[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0년 12월30일 지정||<:>|| ||<:><-2>528호||<:>제천 청풍 한벽루 (堤川 淸風 寒碧樓)||<:>충북제천시청풍면청풍호로2048(읍리)||<:>[[조선]]||<:>1971년 1월 8일 지정||<:>|| ||<:><-2>529호||<:>진도 금골산 오층석탑 (珍島 金骨山 五層石塔)||<:>전남진도군군내면금골길58(둔전리)/(지번)전남진도군군내면둔전리356-2||<:>[[고려]]||<:>1971년 1월 8일 지정||<:>|| ||<:><-2>530호||<:>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 (居昌 迦葉庵址 磨崖如來三尊立像)||<:>경남거창군위천면상천리산6-2번지||<:>[[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31호||<:>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楊平 龍門寺 正智國師塔 및 碑)||<:>경기양평군용문면신점리산99-6번지용문사||<:>[[조선]]||<:>1971년 7월 7일 지정||<:>|| ||<:><-2>532호||<:>영동 영국사 승탑 (永同 寧國寺 僧塔)||<:>충북영동군양산면누교리산138-1번지영국사||<:>[[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33호||<:>영동 영국사 삼층석탑 (永同 寧國寺 三層石塔)||<:>충북영동군양산면누교리1396번지영국사||<:>[[신라]]||<:>1971년 7월 7일 지정||<:>|| ||<:><-2>534호||<:>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永同 寧國寺 圓覺國師碑)||<:>충북영동군양산면누교리산138-1번지영국사||<:>[[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35호||<:>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 (永同 寧國寺 望塔峰 三層石塔)||<:>충북영동군양산면누교리산139-1번지영국사||<:>[[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36호||<:>아산 평촌리 석조약사여래입상 (牙山 坪村里 石造藥師如來立像)||<:>충남아산시송악면평촌리산1-1번지||<:>[[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37호||<:>아산 읍내동 당간지주 (牙山 邑內洞 幢竿支柱)||<:>충남아산시읍내동255-5,255-1||<:>[[미상]]||<:>1971년 7월 7일 지정||<:>|| ||<:><-2>538호||<:>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洪城 五官里 幢竿支柱)||<:>충남홍성군홍성읍오관리297-15번지||<:>[[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39호||<:>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達城 龍淵寺 金剛戒壇)||<:>대구달성군옥포읍반송리915번지용연사||<:>[[조선]]||<:>1971년 7월 7일 지정||<:>|| ||<:><-2>540호||<:>홍천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 (洪川 掛石里 四獅子 三層石塔)||<:>강원홍천군홍천읍희망리151-7번지읍사무소||<:>[[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41호||<:>홍천 물걸리 석조여래좌상 (洪川 物傑里 石造如來坐像)||<:>강원홍천군내촌면동창로153번길34(물걸리)||<:>[[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42호||<:>홍천 물걸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洪川 物傑里 石造毘盧遮那佛坐像)||<:>강원홍천군내촌면동창로153번길34(물걸리)||<:>[[통일신라]]||<:>1971년 7월 7일 지정||<:>|| ||<:><-2>543호||<:>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洪川 物傑里 石造臺座)||<:>강원홍천군내촌면동창로153번길34(물걸리)||<:>[[신라]]||<:>1971년 7월 7일 지정||<:>|| ||<:><-2>544호||<:>홍천 물걸리 석조대좌 및 광배 (洪川 物傑里 石造臺座 및 光背)||<:>강원홍천군내촌면동창로153번길34(물걸리)||<:>[[신라]]||<:>1971년 7월 7일 지정||<:>|| ||<:><-2>545호||<:>홍천 물걸리 삼층석탑 (洪川 物傑里 三層石塔)||<:>강원홍천군내촌면물걸리588-1번지||<:>[[통일신라]]||<:>1971년 7월 7일 지정||<:>|| ||<:><-2>546호||<:>제천 물태리 석조여래입상 (堤川 勿台里 石造如來立像)||<:>충청북도제천시청풍면물태리산6-20||<:>[[고려]]||<:>1971년 7월 7일 지정||<:>|| ||<:><-2>547-1호||<:>김정희 종가 유물 (金正喜 宗家 遺物)||<:>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1년 9월 1일 지정||<:>|| ||<:><-2>547-2호||<:>김정희 종가 유물 일괄 (金正喜 宗家 遺物 一括)||<:>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추사로44(대정읍,추사유물전시관)||<:>[[조선]]||<:>2006년 7월 18일 지정||<:>|| ||<:><-2>548호||<:>이황필적-퇴도선생필법 및 퇴도선생유첩 (李滉筆蹟-退陶先生筆法 및 退陶先生遺帖)||<:>경상북도안동시퇴계로1997(도산면,한국국학진흥원)||<:>[[조선]]||<:>1971년 8월30일 지정||<:>|| ||<:><-2>548-2호||<:>이황필적-선조유묵첩 (李滉筆蹟-先祖遺墨帖)||<:>경북안동시도산면퇴계로1997,한국국학진흥원(서부리)||<:>[[조선]]||<:>2010년 1월 4일 지정||<:>|| ||<:><-2>549호||<:>권주 종가 고문서 (權柱 宗家 古文書)||<:>경북안동시도산면퇴계로1997,한국국학진흥원(서부리)||<:>[[조선]]||<:>1971년 8월30일 지정||<:>|| ||<:><-2>550호||<:>주역천견록 (周易淺見錄)||<:>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71년 8월30일 지정||<:>|| ||<:><-2>551호||<:>[[시용향악보]] (時用鄕樂譜)||<:>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71년 8월30일 지정||<:>|| ||<:><-2>552호||<:>자치통감강목 권19의하 (資治通鑑綱 目卷十九之下)||<:>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71년 8월30일 지정||<:>|| ||<:><-2>553호||<:>안동 예안이씨 충효당 (安東 禮安李氏 忠孝堂)||<:>경북안동시풍산읍우렁길73(하리1리)||<:>[[조선]]||<:>1971년 8월30일 지정||<:>|| ||<:><-2>554호||<:>달성 태고정 (達城太古亭)||<:>대구달성군하빈면묘리638번지||<:>[[조선]]||<:>1971년 12월 6일 지정||<:>|| ||<:><-2>555호||<:>도기 배모양 명기 (陶器舟形明器)||<:>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가야]]||<:>1971년 12월 21일 지정||<:>|| ||<:><-2>556호||<:>도기 신발모양 명기 (陶器 履形 明器)||<:>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가야]]||<:>1971년 12월 21일 지정||<:>|| ||<:><-2>557호||<:>[[금귀걸이]] (金製耳飾)||<:>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신라]]||<:>1971년 12월 21일 지정||<:>|| ||<:><-2>558호||<:>청자 상감운학모란국화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牡丹菊花文 梅甁)||<:>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고려]]||<:>1971년 12월 21일 지정||<:>|| ||<:><-2>559호||<:>채화칠기 (彩畵漆器)||<:>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미상]]||<:>1971년 12월 21일 지정||<:>|| ||<:><-2>560호||<:>청동 진솔선예백장 인장 (靑銅 晋率善濊伯長 印章)||<:>서울특별시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한남동,삼성미술관리움)||<:>[[기타]]||<:>1971년 12월 21일 지정||<:>|| ||<:><-2>--561호--||<:>--[[공주 충청감영 측우기|금영 측우기]]-- --(錦營測雨器)--||<:>서울동작구여의대방로16길61(신대방동,기상청)||<:>[[조선]]||<:>1971년 12월 21일 지정||<:>[* 2020년 2월 7일 해제, 국보 제329호로 승격]|| ||<:><-2>562호||<:>경산 환성사 대웅전 (慶山 環城寺 大雄殿)||<:>경북경산시하양읍환성로392-30,환성사(사기리)||<:>[[조선]]||<:>1971년 12월 23일 지정||<:>|| ||<:><-2>563호||<:>여수 [[흥국사(여수)|흥국사]] 홍교 (麗水 興國寺 虹橋)||<:>전라남도여수시중흥동산191-3||<:>[[조선]]||<:>1972년 3월 2일 지정||<:>|| ||<:><-2>564호||<:>창녕 영산 만년교 (昌寧 靈山 萬年橋)||<:>경남창녕군영산면원다리길42(동리)||<:>[[미상]]||<:>1972년 3월 2일 지정||<:>|| ||<:><-2>565호||<:>평택 심복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平澤 深福寺 石造毘盧遮那佛坐像)||<:>경기도평택시심복사길22(현덕면),심복사(덕목리)/(지번)경기평택시현덕면덕목리115||<:>[[통일신라]]||<:>1972년 3월 2일 지정||<:>|| ||<:><-2>566호||<:>유근초상 (柳根肖像)||<:>충북괴산군소수면몽촌리||<:>[[조선]]||<:>1972년 7월 6일 지정||<:>|| ||<:><-2>567호||<:>평택 만기사 철조여래좌상 (平澤 萬奇寺 鐵造如來坐像)||<:>경기평택시진위면진위로181-82,만기사(동천리)||<:>[[고려]]||<:>1972년 7월 22일 지정||<:>|| ||<:><|13>568호||<:>568-1호||<:>윤봉길의사유품 - 선서문 (尹奉吉義士 遺品 - 宣誓文)||<:>서울 용산구서 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2호||<:>윤봉길의사 유품 - 윤봉길의사 이력서 및 유서 (尹奉吉義士 遺品 - 尹奉吉義士 履歷書 및 遺書)||<:>서울 용산구서 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3호||<:>윤봉길의사 유품 - 회중시계 (尹奉吉義士 遺品 - 懷中時計)||<:>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6년 5월 21일 지정||<:>|| ||<:>568-4호||<:>윤봉길의사 유품 - 지갑부중국화폐 (尹奉吉義士 遺品 - 지갑附中國貨幣)||<:>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5호||<:>윤봉길의사 유품 - 윤봉길의사인 (尹奉吉義士 遺品 - 尹奉吉義士印)||<:>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6호||<:>윤봉길의사 유품 - 손수건 (尹奉吉義士遺品 - 손수건)||<:>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7호||<:>윤봉길의사 유품 - 안경집 (尹奉吉義士遺品 - 眼鏡集)||<:>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8호||<:>윤봉길의사 유품 - 일기 (尹奉吉義士 遺品 - 日記)||<:>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9호||<:>윤봉길의사 유품 - 월진회창립취지서 (尹奉吉義士 遺品 - 月進會創立趣旨書)||<:>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10호||<:>윤봉길의사 유품 - 농민독본 (尹奉吉義士 遺品 - 農民讀本)||<:>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11호||<:>윤봉길의사 유품 - 형틀대 (尹奉吉義士 遺品 - 刑틀臺)||<:>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12호||<:>윤봉길의사 유품 - 편지 (尹奉吉義士 遺品 - 便紙)||<:>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 139번지 충의사||<:>[[일제강점기]]||<:>1972년 8월 16일 지정||<:>|| ||<:>568-13호||<:>윤봉길의사 유품-월진회통장 (尹奉吉義士 遺品-月進會通帳)||<:>경기 성남시 덕산면 덕산온천로 183-5, 충의사 (시량리)||<:>[[일제강점기]]||<:>1976년 5월 21일 지정||<:>|| ||<:><|26>569호||<:>569-1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백인당중유태화 (安重根義士遺墨-百忍堂中有泰和)||<:>서울특별시 강남구[* 개인소장품]||<:>[[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2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일일부독서구중생형극 (安重根義士遺墨-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서울특별시중구필동3가26-0동국대학교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3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연년세세화상사세세연년인부동 (安重根義士遺墨-年年歲歲花相似歲歲年年人不同)||<:>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4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 (安重根義士遺墨-恥惡衣惡食者不足與議)||<:>서울종로구청와대로1(세종로)||<:>[[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5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동양대세사묘현유지남아기안면화국미성유강계정략부개진가련 (安重根義士遺墨-東洋大勢思杳玄有志男兒豈安眠和局未成猶慷慨政略不改眞可憐)||<:>서울동작구상도로369,한국기독교박물관(상도동,숭실대학교)||<:>[[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6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견리사의견위수명 (安重根義士遺墨-見利思義見危授命)||<:>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7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용공난용연포기재 (安重根義士遺墨-庸工難用連抱奇材)||<:>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8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인무원려난성대업 (安重根義士遺墨-人無遠慮難成大業)||<:>서울동작구상도로369,한국기독교박물관(상도동,숭실대학교)||<:>[[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9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오노봉위필삼상작연지청천일장지사아복중시 (安重根義士遺墨-五老峰爲筆三湘作硯池靑天一丈紙寫我腹中詩)||<:>서울마포구와우산로94(상수동,홍익대학교)||<:>[[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0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 (安重根義士遺墨-歲寒然後知松栢之不彫)||<:>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1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사군천리망안욕천이표촌성행물부정 (安重根義士遺墨-思君千里望眼欲穿以表寸誠幸勿負情)||<:>||<:>[[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2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장부수사심여철의사임위기사운 (安重根義士遺墨-丈夫雖死心如鐵義士臨危氣似雲)||<:>서울특별시동작구상도로369(상도동,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3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박학어문약지이례 (安重根義士遺墨-博學於文約之以禮)||<:>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4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제일강산 (安重根義士遺墨-第一江山)||<:>서울특별시동작구상도로369(상도동,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5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청초당 (安重根義士遺墨-靑草塘)||<:>경남창원시진해구앵곡동사서함88-2-6호해군사관학교||<:>[[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6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고막고어자시 (安重根義士遺墨-孤莫孤於自恃)||<:>||<:>[[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7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인지당 (安重根義士遺墨-仁智堂)||<:>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8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인내 (安重根義士遺墨-忍耐)||<:>||<:>[[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19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극락 (安重根義士遺墨-極樂)||<:>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20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운재 (安重根義士遺墨-雲齋)||<:>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1972년 8월 16일 지정||<:>|| ||<:>569-21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욕보동양선개정략시과실기추회하급 (安重根義士遺墨-欲保東洋先改政略時過失機追悔何及)||<:>경기용인시수지구죽전로152,석주선기념박물관(죽전동,현대홈타운4차3단지)||<:>[[대한제국]]||<:>1991년 7월 12일 지정||<:>|| ||<:>569-22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국가안위노심초사 (安重根義士遺墨-國家安危勞心焦思)||<:>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1993년 1월 15일 지정||<:>|| ||<:>569-23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위국헌신군인본분 (安重根義士遺墨-爲國獻身軍人本分)||<:>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1993년 1월 15일 지정||<:>|| ||<:>569-24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천여불수반수기앙이 (安重根義士遺墨-天與不受反受其殃耳)||<:>||<:>[[대한제국]]||<:>1999년 12월 15일 지정||<:>|| ||<:>569-25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 (安重根義士遺墨-言忠信行篤敬蠻邦可行)||<:>서울특별시종로구세종대로198-0(세종로,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역사박물관||<:>[[대한제국]]||<:>2003년 4월 14일 지정||<:>|| ||<:>569-26호||<:>[[안중근 의사 유묵|안중근의사유묵]]-임적선진위장의무 (安重根義士遺墨-臨敵先進爲將義務)||<:>경남창원시성산구양곡동사서함88-2-6호해군사관학교박물관||<:>[[대한제국]]||<:>2007년 10월 24일 지정||<:>|| ||<:><-2>570호||<:>전 고령 일괄 유물 (傳 高靈 一括遺物)||<:>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가야]]||<:>1973년 3월 19일 지정||<:>|| ||<:><-2>571호||<:>여수 통제이공 수군대첩비 (麗水 統制李公 水軍大捷碑)||<:>전남여수시고소3길13(고소동)/(지번)전남여수시고소동620||<:>[[조선]]||<:>1973년 5월 4일 지정||<:>|| ||<:><-2>572호||<:>순천 [[송광사]] 고려고문서 (順天 松廣寺 高麗古文書)||<:>전남순천시송광면송광사안길100,송광사(신평리)||<:>[[고려]]||<:>1973년 7월 10일 지정||<:>|| ||<:><-2>573호||<:>시천견록및서천견록 (詩淺見錄및書淺見錄)||<:>서울서대문구충정로9길10-10,(재)아단문고(충정로2가)||<:>[[조선]]||<:>1973년 7월 10일 지정||<:>|| ||<:><-2>574호||<:>박만정 [[해서암행일기]] (朴萬 鼎海西暗行日記)||<:>||<:>[[조선]]||<:>1973년 12월31일 지정||<:>|| ||<:><-2>575호||<:>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관계문서 (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關係文書)||<:>경북문경시산북면대승사길283,대승사(전두리)||<:>[[조선]]||<:>1973년 12월31일 지정||<:>|| ||<:><-2>576호||<:>봉업사명 청동북 (奉業寺銘 靑銅金鼓)||<:>서울특별시서대문구연세로50(신촌동,연세대학교박물관)||<:>[[고려]]||<:>1973년 12월31일 지정||<:>|| ||<:><-2>577호||<:>분청사기 상감‘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 (粉靑沙器 象嵌‘正統五年’銘 魚文 盤形 墓誌)||<:>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74년 7월 9일 지정||<:>|| ||<:><-2>578호||<:>흥국사대웅전후불탱 (興國寺大雄殿後佛幀)||<:>전남여수시중흥동산17번지흥국사||<:>[[조선]]||<:>1974년 7월 9일 지정||<:>|| ||<:><-2>579호||<:>괴산 외사리 승탑 (槐山 外沙里 僧塔)||<:>서울성북구성북로102-11,간송미술관(성북동)||<:>[[미상]]||<:>1974년 10월 2일 지정||<:>|| ||<:><-2>580호||<:>문경 오층석탑 (聞慶 五層石塔)||<:>서울성북구성북로102-11,간송미술관(성북동)||<:>[[미상]]||<:>1974년 10월 2일 지정||<:>|| ||<:><-2>581호||<:>[[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慶州 骨窟庵 磨崖如來坐像)||<:>경북경주시문무대왕면안동리산304번지||<:>[[통일신라]]||<:>1974년 12월30일 지정||<:>|| ||<:><-2>582호||<:>[[월인석보]] 목판 (月印釋譜木板)||<:>충남공주시계룡면갑사로567-3갑사||<:>[[조선]]||<:>1974년 12월31일 지정||<:>|| ||<:><-2>583호||<:>[[전주 풍패지관]] (全州 豊沛之館)||<:>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앙동 3가 1번지||<:>[[조선]]||<:>1975년 3월31일 지정||<:>|| ||<:><-2>584호||<:>구례 윤문효공 신도비 (求禮 尹文孝公 神道碑)||<:>전남구례군산동면이평리산91-1번지||<:>[[조선]]||<:>1975년 3월31일 지정||<:>|| ||<:><-2>585호||<:>퇴우이선생진적 (退尤二先生眞蹟)||<:>||<:>[[조선]]||<:>1975년 5월 1일 지정||<:>|| ||<:><-2>586-1호||<:>이언적 수고본 일괄-속대학혹문 (李彦迪 手稿本 一括-續大學或問)||<:>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리7옥산서원||<:>[[조선]]||<:>1975년 5월 1일 지정||<:>|| ||<:><-2>586-2호||<:>이언적 수고본 일괄-대학장구보유 (李彦迪 手稿本 一括-大學章句補遺)||<:>경북경주시안강읍옥산서원길300-3,독락당(옥산리)||<:>[[조선]]||<:>1975년 5월 1일 지정||<:>|| ||<:><-2>587호||<:>필암서원 문적 일괄 (筆巖書院 文籍 一括)||<:>광주북구하서로110,국립광주박물관(매곡동,국립광주박물관)||<:>[[조선]]||<:>1975년 5월 1일 지정||<:>|| ||<:><-2>588호||<:>강민첨초상 (姜民瞻肖像)||<:>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89호||<:>강현초상 (姜鋧肖像)||<:>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90호||<:>강세황초상 (姜世晃肖像)||<:>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91호||<:>석씨원류응화사적목판 (釋氏源流應化事蹟木板)||<:>서울종로구우정국로55,불교중앙박물관(견지동,광교빌딩)||<:>[[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92-1호||<:>허목수고본 (許穆手稿本)||<:>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92-2호||<:>허목 전서 함취당 (許穆 篆書 含翠堂)||<:>서울특별시성북구안암동5가1고려대학교박물관||<:>[[조선]]||<:>2010년 10월 25일 지정||<:>|| ||<:><-2>592-3호||<:>허목 전서 애군우국 (許穆 篆書 愛君憂國)||<:>||<:>[[조선]]||<:>2010년 10월 25일 지정||<:>|| ||<:><-2>592-4호||<:>허목 전서 한간문 등 (許穆 篆書 汗柬文 等)||<:>||<:>[[조선]]||<:>2010년 10월 25일 지정||<:>|| ||<:><-2>593호||<:>이상좌불화첩 (李上佐佛畵帖)||<:>서울용산구이태원로55길60-16,삼성미술관리움(한남동)||<:>[[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94호||<:>최덕지초상및유지초본 (崔德之肖像및油紙草本)||<:>||<:>[[조선]]||<:>1975년 5월 16일 지정||<:>|| ||<:><-2>595호||<:>자수 초충도 병풍 (刺繡 草蟲圖 屛風)||<:>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미상]]||<:>1975년 5월 16일 지정||<:>|| ||<:><-2>--596호--||<:>--[[동궐도|궁궐도]]-- --(宮闕圖)--||<:>||<:>||<:>1975년 5월 16일 지정||<:>[* 1995년 6월 24일 지정해제, '동궐도(東闕圖)'라는 명칭으로 국보 제249호로 승격.]|| ||<:><-2>597호||<:>토기 융기문 발 (土器 隆起文 鉢)||<:>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선사||<:>1975년 5월 16일 지정||<:>|| ||<:><-2>598호||<:>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陶器 馬頭飾 角杯)||<:>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삼국]]||<:>1975년 5월 16일 지정||<:>|| ||<:><-2>599호||<:>쌍자총통 (雙字銃筒)||<:>부산서구구덕로255,부민캠퍼스동아대학교박물관(부용동2가,동아대학교)||<:>[[조선]]||<:>1975년 8월 4일 지정||<:>|| ||<:><-2>600호||<:>광주 약사암 석조여래좌상 (光州 藥師庵 石造如來坐像)||<:>광주동구증심사길160번길89,약사암(운림동)/(지번)광주동구운림동11||<:>통일신라||<:>1975년 8월 4일 지정||<:>|| ||<-7><:>[[대한민국의 보물/201~400호|◀ 이전 목록으로]] '''대한민국의 보물/401~600호''' [[대한민국의 보물/601~800호|다음 목록으로 ▶]] || [[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