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성공회 교구)] [include(틀:역대 성공회 북한선교교구장)] ||<-2> '''{{{+1 성공회 북한선교교구}}}[br]聖公會 北韓宣敎敎區 | Missionary Diocese of North Korea''' || || '''형태''' ||[[성공회]] 교구 || || '''소속관구''' ||[[성공회 한국관구|한국관구]] || || '''수위교구''' ||[[서울교구]] || || '''특이사항''' ||선교교구[* 정식교구가 아닌 선교목적의 특수교구로서, 모교구인 [[서울교구]]에 종속된다.] || || '''교구설립''' ||[[2010년]] [[11월]] 20일 (설립 [age(2010-11-20)]주년) || || '''주교좌''' ||없음 || || '''교구장[* [[서울교구장]]이 겸직]''' ||[[이경호(주교)|이경호]] 베드로 주교[* 17-18대 [[성공회 한국관구장]] 주교, 6대 [[성공회 서울교구장]] 주교] || || '''교구장 대리[* 관구헌장 제3절 '교구장 대리'(제77조~제80조)에 근거한 직책. 천주교의 '교구 총대리'에 해당하는 직위이나, 그보다는 권한이 적다. 관습상 '교구 총사제'라고도 하며, 서울교구 교구장 대리가 겸직한다.]''' ||유재근 시몬 신부[* [[서울교구]] 교구장 대리. [[서울교구]] 평택성당 관할사제 겸직] || || '''관할구역''' ||휴전선 이북 한반도 전역 || || '''교구청 소재'''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세종대로21길]] 15 (정동) || || '''소속 본당 수''' ||56||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구 세종대로21길 15, 높이=224px, 너비=100%)]}}} || ||<-2> [[https://www.skh.or.kr/|[[파일:대한성공회 문양.svg|height=40]]]][* 관구] || [목차] [clearfix] == 개요 == 성공회 북한선교교구 (聖公會 北韓宣敎敎區, Missionary Diocese of North Korea)는 [[대한민국]]의 [[이북5도위원회|미수복 지역]]([[미수복 경기도]],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 [[황해도]], [[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평안남도]],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평안북도]], [[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함경남도]], [[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함경북도]])을 관할하는 [[성공회]] 교구이다. == 상세 == 북한선교교구는 본래 [[성공회 대전교구|대전교구]] 관할이였던 휴전선 이북 지역에 2010년 11월 20일에 열린 46차 [[서울교구]] 의회에서 선교교구 설립을 의결함으로서 세워진 '선교교구'이다. 세계성공회공동체에 등록된 정식 교구가 아니라, 선교 목적의 특수 교구로서, 모교구인 서울교구에 종속된다. 교구장은 [[서울교구장]]이 겸직한다. == 역사 == === 북한지역 역대 관할 교구 === * [[성공회 조선-한국교구]] (1890. 9. 29. ~ 1965. 5. 27.) * [[성공회 대전교구]] (1965. 5. 27. ~ 2010. 11. 20.) * [[성공회 서울교구]] 산하 선교교구 성공회 북한선교교구 (2010. 11. 20. ~ ) == 역대 교구장 == || 순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김근상]] 바우로 주교 || 2010년 11월 20일 ~ 2017년 4월 24일 || [[서울교구]]장 || || 2대 || [[이경호(성직자)|이경호]] 베드로 주교 || 2017년 4월 24일 ~ 현재 || [[서울교구]]장 || == 교회 일람 == 아래 나열된 전도구 관할 구역은 성당이 위치하는 지역으로 한다. || '''전도구명''' || '''관할지역''' || ||'''순천전도구'''[br](관할사제: ???)|| 순천군(자산읍[* 자산 제성(모든 성인) 성당(1926년 10월 3일 축성)], 은산면[* 임강 성 도마 성당(1936년 10월 3일 축성)], 원탄면[* 입석 성 니콜라 성당(1936년 6월 16일 축성)], 선소면[* 간동 성 부활 성당(1936년 6월 17일 축성), 도흥 성 시몬과 유다 성당(1938년 11월 3일 축성)], 순천읍[* 동림 성 스테반 성당(1936년 10월 2일 축성), 순천 성모 마리아 성당(1937년 10월 9일 축성)]) || ||'''장림전도구'''[br](관할사제: ???)|| 성천군(사가면[* 천성 성 바우로 성당(1932년 11월 10일 축성)], 장림리[* 장림 성 마가 성당(1935년 5월 16일 축성)], 장상리[* 장상 성 요셉 성당(1938년 10월 25일 축성)]), 양덕군(용계리[* 양덕 성당(1938년 11월 7일 축성)]), 장소 미상[* 쌍림 성 누가 성당(1928년 9월 축성), 석교성당] || ||'''백천전도구'''[br](관할사제: ???)|| 백천읍[* 백천 제성(모든 성인) 성당(1908년 10월 18일 축성)], 성두리[* 송모리 성 바나바 성당(1932년 5월 13일 축성)], 문창리[* 문미 성 바실 성당(1935년 10월 9일 축성)], 유천리[* 버드내 성 바우로 성당(1938년 5월 16일 축성)], 장소 미상[* 문재 성 마가 성당(1910년 축성), 소일 성 니콜라 성당(1940년 11월 6일 축성)] || ||'''평산전도구'''[br](관할사제: ???)|| 평산군(고지면[* 눈머리 성 부활 성당(1935년 6월 28일 축성)], 적암면[* 평산 성 모니카 성당(1937년 6월 24일 축성)]), 금산군(산외면[* 용못 성 미가엘 성당(1938년 9월 15일 축성)]), 연백군(금산면[* 거리개 성 누가 성당(1939년 10월 17일 축성)]), 장소 미상[* 남천리 성 바실 성당(1938년 6월 10일 축성)] || ||'''신창전도구'''[br](관할사제: ???)|| 순천군(신창면[* 마동 성 요셉 성당(1921년 10월 24일 축성), 수덕 성 요한 성당(1935년 10월 6일 축성), 문골 성 베드로 성당(1935년 10월 7일 축성), 강대울 성 바나바 성당(1936년 6월 19일 축성), 원창 성 마태 성당(1936년 6월 21일 축성), 오금 성 세례자 요한 성당(1936년 6월 24일 축성), 신창 성 바우로 성당(1938년 11월 5일 축성)], 성산면[* 송현 성모 탄생 성당(1934년 9월 6일 축성)], 은산면[* 정산 성 미카엘 성당(1936년 6월 18일 축성)], 쌍룡면[* 용문 성 애단 성당(1931년 8월 31일 축성)]) || ||'''성천전도구'''[br](관할사제: ???)|| 성천군(영천면[* 송강 성 빌립보 성당(1934년 5월 21일 축성)], 성천면[* 마전 예수 성명(거룩한 이름 예수) 성당], 삼덕면[* 현봉 성 베드로 성당, 운봉 성 바우로 성당]), 평산군(보산면[* 남천 성 휴고 성당(1937년 6월 23일 축성)]) || ||'''신성천전도구'''[br](관할사제: ???)|| 성천군(삼덕면[* 신성천 성 마태 성당(1937년 6월 17일 축성)], 장산리[* 장산 성 안드레 성당(1936년 6월 23일 축성)]), 연백군(은천면[* 하리 성 어거스틴 성당(1937년 6월 18일 축성)], 금산면[* 석전 성 알반 성당(1936년 6월 22일 축성)]) || ||'''평양전도구'''[br](관할사제: ???)|| 평양[* 평양 성 마르띤 성당(1927년 8월 28일 축성)], 진남포[* 진남포 성 마르띤 성당(1925년 6월 22일 축성)] || ||'''해주전도구'''[br](관할사제: ???)|| 해주군[* 해주 성 애단 성당(1933년 11월 14일 축성, 1936년 6월 13일 증축축성)], 금천군[* 금천 성 어거스틴 성당(1920년 축성)], 성천군[* 천성 성 바우로 성당(1932년 11월 10일 축성)], 순천군[* 용화 성신 성당(1936년 10월 1일 축성)], 평산군[* 안터골 성당(축성년도 미상)] || == 기도문 == >역사를 주관하시는 하느님, >이 땅 한반도를 사랑하시어 교회를 세우시고 >생명의 복음을 듣게 하심을 감사하나이다. > >간절히 구하오니, 아직은 갈 수 없는 북녘의 교회들, >특별히 >오늘 축성일을 맞이한 ( )전도구의 ( )교회와 >모든 신자들을 돌보시어, 훗날 저희 모두가 >다시 하나 될 때, 북녘에 있는 주님의 제단에서 >평화의 인사와 성사의 은총을 함께 나누게 하소서, > >평화의 왕으로 오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기도하나이다. 아멘. >---- >북한선교교구 성당 축성기념일 기도문 == 여담 == * 최근 [[대한성공회|관구]]차원에서 선교역사 복원 작업이 진행중이다. [youtube(WTDoTijQoLs)] [[분류:성공회 서울교구]][[분류:한국의 성공회 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