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원내 구성)] ||<-2><:>|| ||<-2> [[파일:대한애국부인회 글씨.png|width=200]][br][[파일:대한애국부인회 글자.png|width=200]] || ||<-2><:>{{{#FFFFFF '''대한애국부인회'''}}}|| ||<:>'''공식명칭'''||대한애국부인회 (大韓愛國婦人會)|| ||<:> '''약칭''' ||독촉애부, 애국부인회 || ||<:>'''설립일/창당일'''||[[1946년]] [[4월 5일]] || ||<:>'''해산일'''||[[1949년]] [[2월 24일]] ,,,서울시부녀회와 통합하여 대한부인회로 재조직,,, || ||<:>'''중앙당사'''||[[서울특별시]] || ||<:>'''이념'''||[[보수주의]], [[민족주의]], 여성단체, 친[[이승만]]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여성단체이자 정당이였다. == 상세 == 1946년 4월에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산하로 만들어진 우익 성향의 여성 조직이다. 대한독립촉성애국부인회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당명을 독립촉성애국부인회로 바꾸었다. [[대한독립촉성국민회]]를 만들어질 때, [[대한독립촉성국민회]]는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중 조직 개편을 진행했는데, 독립촉성중앙부인단[* 우익 성향 여성운동 지도자들이 더욱 조직적이며 강력한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전개하고자 1946년 1월 10일 조직]과 한국애국부인회[* 1945년 8월 17일 좌우연합체 건국부녀동맹에서 탈퇴한 우익 여성운동가들이 같은 해 9월 10일 결성한 단체였다.]가 통합하여 [[1946년]] [[4월 5일]] 독립촉성애국부인회를 결성하였다. 독립촉성애국부인회는 초대 지도부로 박승호, 부위원장으로 황기성과 [[박순천]]이 되었으며 전국부녀단체대표자대회를 개최하고 신탁통치 반대운동 이후 [[이승만]]의 입장을 따르면서 단독정부 수립운동에 힘을 기울였다. [[유각경]], [[박순천]], [[임영신]], [[김활란]], [[박마리아]], 최이권, [[모윤숙]], 박은혜 등이 주요 인물들이었으며, [[제헌 국회|제헌의회]]에 진출하고자 5·10선거에 참여하였고, 공사창제 폐지운동과 한글 강습, 미신 타파, 생활 간소화 등의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공화국|정부]]가 수립된 후에 대한애국부인회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9년]] 서울시부녀회와 통합하여 대한부인회로 통합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보수정당]][[분류:자유당]][[분류:대한민국의 여성인권단체]][[분류:1946년 정당]][[분류:한국의 없어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