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야구연맹 회원국)] ---- [include(틀:대한체육회 회원 단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BI.svg|width=90%]]}}} || ||<-2> '''{{{#0301fc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 ||<-2> '''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 || || '''정식 명칭''' ||사단법인 대한야구 소프트볼협회 || || '''약칭''' ||KBSA || || '''설립일''' ||[[1904년]][* 대한민국 최초의 야구단 [[황성 YMCA 야구단]]을 창설한 시기다. KBSA가 로고를 변경하면서 'Since 1904'를 언급함으로써 그때를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역사의 시작으로 정했다.]^^(명목상)^^[br][[1923년]] [[5월 23일]][* 전신이었던 "조선야구심판협회"의 설립일. 당시 체육계의 중진으로 활약하던 [[윤치영]]·[[이원용]]·[[허성]]·[[이석찬]]·[[유용탁]]·[[박석윤]] 등의 발기로 조선야구심판협회를 창립했다. 출처-[[한국야구사]].]^^([age(1923-05-23)]주년)^^[br][[1946년]] [[3월 18일]]^^([age(1946-03-18)]주년)^^ || || '''회장''' ||이종훈 || || '''주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278, 4층 ([[도곡동]], [[한국야구회관빌딩]]) || || '''BFA 가입일''' ||[[1954년]] [[12월]] || || '''IBA 가입일''' ||[[1972년]] [[11월]] || || '''링크''' ||[[http://www.korea-baseball.com|[[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심볼.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아마추어]] [[야구]] 및 [[소프트볼]]계의 대표·통합 단체. [[대한체육회]]의 정식 가맹 단체. == 역사 == 대한야구협회는 [[1923년]] '조선 야구 심판 협회'란 이름으로 발족했다. [[일본 제국|일제]]의 탄압으로 1932년 [[야구통제령]]이 발령돼 학생 야구 위주로 명맥을 유지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한때 해산, [[광복]] 직후인 1945년 10월 재조직, 1954년에는 [[아시아 야구 연맹]]에, 1968년 8월 국제 아마추어 야구 연맹에 가맹했다. 해마다 전국 체육 대회에 참가하는 한편,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다. 국내 야구 선수의 아마추어 자격 심사는 이 협회의 주요한 고유의 권한이다. 시·도에 지부를 두고 있다. 1971년 1월 31일에 대한야구협회와 대한연식야구협회가 통합했으며 2003년 12월 30일에 [[사단법인]]화를 이뤘다. 2016년 6월 29일 대한소프트볼협회, 국민생활전국야구연합회와 통합해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를 발족시켜 대한야구협회라는 이름은 60년의 역사를 뒤로 한 채 사라졌다. == 역대 회장 == [include(틀: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회장)] ---- || '''역대'''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대수 || [[서상국]] ||[[1946년]] || || || 2대 || [[김동성(1890)|김동성]] ||[[1947년]] ~ [[1948년]] || || || 3대 || [[임병직]] ||[[1949년]] [[3월 13일]] ~ [[1952년]] [[3월 15일]] || || || 4대 || [[서민호]] ||[[1952년]] [[3월 16일]] ~ [[1953년]] [[3월 25일]] || || || 5대 || [[이홍직]] ||[[1953년]] ~ [[1961년]] [[1월 21일]] || || || 6대 || [[서민호]] ||[[1961년]] [[1월 22일]] ~ [[1961년]] [[10월 1일]] || || || 7대 || [[선우인서]] ||[[1961년]] [[10월 2일]] ~ [[1964년]] [[2월 24일]] || || || 8대 || [[전의용]] ||[[1964년]] [[2월 24일]] ~ [[1966년]] [[1월 16일]] || || || 9대 || [[김종락]] ||[[1966년]] [[1월 17일]] ~ [[1980년]] || [* 정치인 [[김종필]]의 친형이다.] || || 10대 || [[임광정]] ||[[1980년]] ~ [[1983년]] [[1월 13일]][* 건강상의 이유로 자진 사퇴.] ||[[한국화장품]] 창업주 || || 11대 || [[최인철]] ||[[1983년]] [[1월 14일]] ~ [[1988년]] ||前 [[삼화왕관]] 회장 || || 12대 || [[김종락]] ||[[1989년]] [[1월 23일]] ~ [[1992년]] [[7월]] || || || 직무 대행 || [[임충헌]] ||[[1992년]] [[7월]] ~ [[1992년]] [[10월 26일]] || || || 13대 || [[최인철]] ||[[1992년]] [[10월 27일]] ~ [[1993년]] [[1월 17일]][* 자진 사퇴. 사유가 기가막힌데 후배들에게 길을 터준다는 명목으로 사퇴를 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12300289111009&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4-01-23&officeId=00028&pageNo=11&printNo=1795&publishType=00010|당시 기사]]] || || || 14대 || [[이현태]] ||[[1994년]] [[3월 8일]] ~ [[1996년]] [[12월]] ||前 현대석유화학 회장 || || 15대 || [[정몽윤]] ||[[1997년]] 1월 24일 ~ [[2000년]] [[11월 17일]] ||[[현대해상화재보험]] 회장 || || 직무 대행 || [[고익동]] ||[[2001년]] [[1월 19일]] ~ [[2001년]] [[11월 23일]] ||前 대민항공 사장 || || 16대 || [[고익동]] ||[[2001년]] [[11월 24일]] ~ [[2002년]] [[1월 21일]][* 여러 논란으로 자진 사퇴.[[http://news.donga.com/3/all/20020122/7781383/1|기사]]] || || || 17대 || [[이내흔]] ||[[2003년]] [[1월 17일]] ~ [[2005년]] [[1월 29일]] ||前 현대통신산업 회장 || || 18대 || [[이내흔]] ||[[2005년]] [[1월 31일]] ~ [[2007년]] [[7월 11일]][* 건강상의 이유로 자진 사퇴] || || || 직무 대행 || 민경훈 ||[[2007년]] [[7월 12일]] ~ [[2008년]] [[2월 26일]] ||前 [[두산산업개발]] 회장 || || 19대 || 민경훈 ||[[2008년]] [[2월 26일]] ~ [[2009년]] [[1월 28일]] || || || 20대 || [[강승규]] ||[[2009년]] [[1월 29일]] ~ [[2013년]] [[1월 31일]] ||前 [[한나라당]] 의원 || || 21대 || [[이병석(정치인)|이병석]] ||[[2013년]] [[2월 1일]] ~ [[2015년]] [[3월 25일]] ||前 [[국회부의장]] || || 22대 || [[박상희(1951)|박상희]] ||[[2015년]] [[5월 12일]] ~ [[2016년]] [[3월 25일]][* 논란으로 인해 사퇴] ||前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 || 관리 대행 || 정진구 || [[2016년]] [[3월 29일]] ~ [[2017년]] [[1월 15일]] ||[* [[한국여자야구연맹]] 회장으로 대한야구협회 관리위원장을 겸임] || || 23대 || [[김응용]] || [[2016년]] [[12월 9일]][* 당일 [[대한체육회]]의 공식 승인을 받았지만 실질적인 임기의 시작은 관리 단체에서 해제된 2017년 1월 16일이었다.] ~ [[2020년]] [[1월 12일]] ||前 [[한화 이글스]] 감독 || || 23대 || [[이종훈]] || [[2020년]] [[1월 13일]][* 당선된 날 다음 날을 기점으로] ~ ||前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부회장 || == 가맹 단체 == * 정가맹 단체 * 한국[[리틀야구]]연맹(KLBA) * [[한국여자야구연맹]](WBAK) * 준가맹 단체 * [[한국대학야구]]연맹(KUBF) * [[한국실업야구]]연맹(KABA) * 한국[[연식야구]]연맹(KSBF) * 한국[[티볼]]연맹(KTF) == [[한국야구위원회]](KBO)와의 차이점 == 대한야구협회는 학생 체육과 (성인) 아마추어 대회 등을 총괄하는 단체이며 한국야구위원회는 [[KBO 리그|프로야구]]만을 전담하는 단체다. 이는 프로화한 종목에서는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종목 협회와 프로 구단 간의 연합 단체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다.[* 축구의 경우 [[대한축구협회]](KFA)와 프로축구 [[K리그]] 구단 간의 연합체인 [[한국프로축구연맹]](KPFL)으로 나뉘어져 있으며(하지만 축구의 경우 FIFA의 통제가 강력한 관계로 프로 리그는 어느 나라건 간에 해당 국가 축협의 산하로 조직하도록 하고 있어서 한국프로축구연맹 역시 대한축구협회의 산하 단체로 들어가 있다. 현재 아마추어 축구만을 전담하는 기구는 사실상 없다.), 농구는 [[대한농구협회]](KBA)와 [[한국농구연맹]](KBL - Korean Basketball League) / [[한국여자농구연맹]](WKBL), 배구의 경우 [[대한배구협회]](KVA)와 [[한국배구연맹]](KOVO - Korean Volleyball Federation)으로 이/삼원화돼 있다.] 국제 대회에서의 한국 대표를 뽑는 것은 대한야구협회고 원칙적으로 대한야구협회 등록 선수를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프로 선수 참가를 허용한 현재는 한국 국적을 가진 [[한국야구위원회]], [[일본야구기구]],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사무국(스포츠)|사무국]] 등의 등록 선수도 대상에 포함된다. 이렇게 해서 뽑힌 선수는 일시적으로 대한야구협회 등록 선수로 간주하는 것. === KBO와 통합? === 그래서 양 기구를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KBA가 KBO가 입주한 도곡동 [[한국야구회관빌딩]]에 얹혀 있는 등 사실상 종속된 위치에 가깝다. 대한야구협회가 관리 단체로 지정됨에 따라 [[고교야구 주말리그]] 같은 대한야구협회의 주요 업무의 운영도 KBO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변경됐다. 참고로 대한야구협회가 [[대한체육회]]의 산하 단체라 통합이 불가능하다. 물론 [[일본]]의 경우를 들어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1994년 전까지는 대한야구협회에 해당하는 아마추어 야구 협회인 전일본야구협회(全日本野球協会)[* 산하 단체로 일본야구연맹(사회인 야구)과 일본학생야구협회(대학, 고교 등 학생 야구)가 있다.]와 [[한국야구위원회]]에 해당하는 [[일본야구기구]](日本野球機構-[[일본프로야구]]협회, NPB를 말함)를 각각 별개의 단체로 구성해서 잡음이 많았으나 1994년 전일본야구회의(全日本野球会議)라는 하나의 단체로 통합해 과거와 같은 대립은 별로 없다. 그 밖에 전일본경식야구협회와 전국야구진흥회(OB회)도 전일본야구회의의 산하 단체로 사실상 일본에서 야구 전체를 관리하는 단체다. 직접적으로 하는 일은 많지 않아서 각 개별 야구 협회가 담당하지만 각 협회 간의 대립에 있어서 소통 창구 역할과 통합 관리를 하고 있다. 여기에 한국의 대한체육회에 해당하는 일본체육협회(JASA)에 일본야구연맹이 전일본야구회의의 산하 단체이면서도 개별적으로 가입해 있다. 또한 일본야구연맹은 일본올림픽위원회(JOS)에도 마찬가지로 개별 가입해 있다. 일본학생야구협회는 일본체육협회의 가입 단체는 아니나 해당 협회와 함께 따로 조직 위원회를 만들어 두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와도 다른게 KBSA는 소프트볼 협회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남자 프로 야구 리그만 관리하는 KBO의 통합은 무리가 있다. 예전 대한야구협회 때 흡수라면 모를까 KBSA는 아마 야구뿐만 아니라 [[소프트볼]], [[베이스볼 5]] 등의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 역시 김응용 부임 이후 소프트볼과 베이스볼 5의 저변 확대는 관심 밖이 됐지만-- 게다가 한국의 경우는 프로 스포츠가 존재하는 종목의 경우 축구를 제외하면 프로 단체가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서 일본과 동일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렵다.[* 축구의 경우 프로축구연맹이 있지만 독립 기구가 아닌 대한축구협회의 산하 단체이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비리 === * 2012년 세계청소년야구대회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사업비 7억 1300여만 원을 빼돌렸다는 의혹을 받았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0708507|기사]] * 납품 받는 [[야구용품]]의 금액을 부풀려 차익을 챙긴 간부 2명이 구속됐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21&aid=0000793279|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458440|관련 기사]] * 2014년에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춘계리그]] 대회 및 주말리그, 회장기 대학야구대회 입장권에 일렬 번호를 기록하지 않은 표들을 현금으로만 판매한 후 전표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대한야구협회가 인지했으나 이에 대한 조사를 제대로 실시하지 않아 입장권 판매금을 [[횡령]]한 거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 2004년 이후 납품 받는 [[공인구]] 반발력을 검사한 적이 2014년 7월 단 한 번뿐이었다고 한다. * 2014년에 이병석 전 회장이 [[국회의장]]의 사직 권고[* 공무원들의 기타 단체 회장직에서 물러나라는 권고가 내려왔다. 개념 회장이라는 평가를 받는 [[전병헌]] [[케스파]] 명예 회장도 이 때문에 자진 사퇴했다.]에 의해 물러난 후 K 부회장이 직무 대행을 맡았으나 내부 거래 부정 행위로 [[대한체육회]]에 고발 당했다. * [[2015년]]에는 체육시민연대의 주장에 다르면 2014년에는 인사를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폭행]] 시비가 일기도 했고 외부 [[감사]]에서 횡령 및 배임, 자금 유용 의혹을 은폐하려는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02&aid=0002005794|기사]] * [[2015년]] 당시 협회가 주최하는 모든 대회의 중계권과 취재권을 2024년까지 [[에이클라 엔터테인먼트]]에 헐값으로 넘기는 [[불공정]] 계약을 추진한 바 있으며 그 해의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고교 야구 대회를 [[SPOTV|해당 회사 채널]]에서 중계했다가 얼마 후 에이클라 측에서 협회에 이용당했다는 불만을 표시하면서 계약이 무산됐고 중계 제작비 6,000만 원만 떠안았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096&aid=0000383774|관련 기사]] * [[2015년]] 임시 대의원 [[총회]]에서는 22대 대한야구협회 회장 [[선거]]를 열었는데 지지 세력 간의 [[몸싸움]] 등이 벌어졌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50512n33161|기사]] * 제22대 회장인 박상희 회장이 대한야구협회 기금을 경상비로 사용했다고 한다. 협회는 직원의 실수라고 밝혔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001&aid=0008202980|대한야구협회, 기금 이자수입 무단 전용 논란]] 이후 논란이 커지자 자진 사퇴한다고 밝혔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109&aid=0003271583|'기금 유용 논란' 박상희 야구협회장, 결국 사의 표명]] * 통합 전 전국야구연합회에 근무했던 억대 [[문화체육관광부]] 기금을 횡령한 직원들을 문체부의 중징계 요청에도 비위 직원에 대해 가벼운 징계로 무마했을 뿐만 아니라 이듬해 승진시키고 억대 환수금을 대납하고 구상권을 청구하지 않은 황당한 일이 밝혀졌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685781&ref=A]] === 입시 비리 === * [[입시]] [[비리]] 문제에 있어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96&article_id=0000373891|##]], [[http://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id=096&aid=0000378449&redirect=true|[취재파일] '입시 비리 의혹'에 대한야구협회가 침묵하는 이유]],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baseball&ctg=news&mod=read&office_id=096&article_id=0000379720|해고된 직원이 활개 치는 '야구협회의 현실' ]] === KBO와의 갈등 === * 대한야구협회에서 [[KBO 리그]]에서 지도자로 활동한 이는 아마추어 야구계에 코치로 재직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에 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협회가 "KBA 코치 자격 논의, 근시안적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17&article_id=0002570232|기사]] * [[구본능]] 총재 재임 이후 [[대한야구협회]]와의 관계가 개선될 무렵에 임기를 시작한 박상희 회장이 [[한국야구위원회]]와 대립각을 세우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076&aid=0002734088|야구협회 박상희 신임 회장 "KBO에 끌려다니지 않겠다"]] 논란이 커지자 이후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241&aid=0002410831|대한야구협회 박상희 회장 "KBO와 힘겨루기? 동반자 관계이다"]] * 2015년 대한민국 야구계 전반의 일을 논의하는 [[KBO 윈터미팅]]에 [[한국야구위원회]] 측에서 초청했는데도 협회 관계자는 아무도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241&article_id=0002507206|참석하지 않았다.]]고 한다. KBO 관련 행사에는 참석하지 않는 방침 때문이라고 한다. === 부실한 일 처리 === * 경기장을 찾기 쉽지 않은 대다수 아마 야구 팬에게 대한야구협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자료와 경기 기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를 제때에 올리지 않는 경우가 상당히 잦다. * 대한야구협회의 산하 [[서울시]] 야구 협회와 [[우리은행]] 간의 지원금 분쟁이 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03736|우리은행은 왜 아마야구대회 지원금 지급을 중단했나]] * 2015년 연말부터 구단별 정보와 기록실을 계속 막아 놓던 차에 주말 리그 개막을 불과 3일 앞둔 2016년 3월 16일에 협회가 [[http://www.korea-baseball.com/news/hdnews/hdnews_view.asp?CAT=N11&BBS=A1&PAGE=1&NUM=9189&PRNNUM=751|공지를 띄웠다]]. 개인 정보 보호 문제로 구단 정보와 기록실을 비공개로 돌리며 5월 말부터 외주 계약한 (주)게임원을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 이에 대해 그렇게 개인 정보 보호를 중요시했다면 왜 이제 와서야 공지했으며 그런 식이라면 프로 야구 및 다른 종목에서 제공하는 정보도 마찬가지로 다 불법이냐는 비판이 잇다르고 있다. 앞서 2억을 들여 기록 통계 체계 전산화 사업[* 사업 목적 중 하나가 '정보공개와 정보보안의 동시만족'이었다.]을 벌인 터에 정반대의 입장을 내놓았기에. 게다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입시]] [[비리]]에 연루된 선수와 지도자는 영구적으로 제명하고 해당 대학은 지원금을 삭감한다는 발표[* 이게 당장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2019학년도부터라는 게 또 문제지만.]가 나온 다음 날에 공지가 떴기에 비리 문제를 은폐하기 위해서 그러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파장이 커지자 대한야구협회는 하루 만에 공지를 내리고 새 공지로 바꾸면서 '인터넷진흥원 보안 점검 결과 기록 사이트 보안이 취약해 주민 번호를 노출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았기에 비공개로 돌렸다'라고 밝혔지만 관련된 다른 의혹에 대해서는 일절 해명하지 않았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020&aid=0002956197|일하고 욕먹는 야구협, 누구를 원망하랴]] * 2016년 5월 26일 웹 사이트 개편과 함께 기록실이 다시 열렸다. 몇몇 메뉴를 새로 추가하는 등 더 다양한 기록을 제공하고 있었다. 우선 2005년부터의 기록 및 선수 명단만 제공하다가 2018년 1월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후 1995년도 기록까지 확장해서 제공 중이었다. 그러나 2021년 10월에 고교, 대학 야구부의 선수 및 지도자 정보를 개인 정보 보호를 이유로 최근 4년 간의 정보만 공개 처리했고 뒤이어 2023년 6월에 선수 개인 기록 열람도 최근 4년 간의 기록만 조회가 가능하도록 막았다. * 한편 소프트볼과 통합한 티가 나지 않는 것이, 야구 정보(구단/선수/지도자 정보 등) 항목은 있으나 소프트볼 정보 항목은 없고 경기 결과 항목에 소프트볼이 없다.[* 전체 일정의 연도별 사업 계획에나 있다.] 소프트볼 대회 관련 정보는 공지 사항의 개최 안내와 결과(최종 점수와 시상 내역)뿐이다. 전국대회/국내 개최 국제 대회의 박스 스코어는 [[게임원]]에 각 대회별로 있으나 소프트볼의 특수 포지션을 반영하지 않아 정확한 경기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 관리 단체 지정 === *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와 [[아시아 야구 연맹]]에서 대한야구협회를 물흐리는 미꾸라지로 보고 있다고 한다. [[https://isplus.com/2016/03/03/sports/baseball/19664131.html|국제야구계의 '관심사병', 대한야구협회]] 전임 회장이었던 [[이병석(정치인)|이병석]]이 주요 회의에서 중간에 자리를 뜨는 등 영 좋지 못한 모양새를 보여서라고 한다. * 각종 문제로 인해 2016년 3월 25일 [[대한수영연맹]]과 함께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2&aid=0000461908|관리 단체로 지정]]됐다. 관리 단체로 지정됨에 따라 이사직 이상의 임원은 모두 경질하고 대한체육회에서 파견한 인원이 대한야구협회를 임시로 이끌어 나가게 되며 정부 예산 지급도 중지한다. 협회 관리위원장은 정진구 [[한국여자야구연맹]] 회장이 맡았다. * 이 여파로 [[고교야구 주말리그]]의 운영 주체도 [[대한야구협회]]에서 [[한국야구위원회]]로 변경했다. [[http://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076&aid=0002909741|문체부, 야구주말리그제 운영주체 KBA→KBO로 변경]] 일단 [[문화체육관광부]]가 지급하는 주말리그 예산 20여억 원도 [[한국야구위원회|KBO]]로 보낸다고 한다. 아울러 [[대한야구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와 [[대한야구협회장배 전국대학야구대회]]도 취소했다. * 2017년 1월 16일 관리 단체에서 해제됐다. == 관련 문서 == * [[고교야구]] * [[한국대학야구]] * [[한국실업야구]] * [[한국야구위원회]](KBO) * [[리틀야구]] * --[[야구대제전]]--[* 2013년부터 2015년까지만 열렸고 개최 비용 문제로 2016년 개최가 무산된 이후 소리소문 없이 폐지했다.] * [[베이스볼 5]][* [[대한체육회]]의 지원을 바탕으로 한국 베이스볼 5 대중화를 준비하고 있다.] * [[KBSA 리그]] [[분류: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