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2>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1999년]] [[3월 15일]]|| || '''유형''' ||활주로 이탈, 항공기 결함 혹은 조종사 과실|| || '''발생 위치''' ||[[포항공항]] 활주로 || || '''기종''' ||[[맥도넬 더글러스|McDonnell Douglas]] [[MD-80|MD-83]]|| || '''운영사''' ||[[대한항공]]|| || '''기체 등록번호''' ||HL7570[* 당시 기준으로 겨우 3.2년 밖에 되지 않은 새 비행기였다.]|| || '''출발지''' ||[[김포국제공항]]|| || '''도착지''' ||[[포항공항]]|| ||<|2> '''탑승인원''' ||승객: 150명|| ||승무원: 6명|| || '''생존자''' ||'''탑승객 156명 전원 생존'''||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dzryfgbdy4.png|width=100%]]}}} || || 사고 4개월 전, [[가고시마 공항]]에서 찍힌 사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ZTNScLWkAE6tG8.jpg|width=100%]]}}} || || 사고 후 기체 사진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W6OKxtnNhx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4CSiC9tqoA)]}}} || || 사건 재구성 영상 || [[1999년]] [[3월 15일]] 오후 12시 경, [[대한항공]] KE1533편(기종은 [[맥도넬 더글라스]] [[MD-83]])이 [[포항공항]]에 착륙하려다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이다. == 사고 == 사고 당시 [[포항공항]]은 바람이 심하게 불며 구름이 낮게 깔리고 비가 내리고 있었다. 김포발-포항행 1533편은 악천후 속에서도 착륙했으나 비에 젖은 활주로에 기체가 미끄러지면서 제동에 실패했다. 기체는 그대로 활주로를 100m 정도 이탈해 공항 철조망을 뚫고 나가 방호벽을 넘어갔고, 활주로 경계 부근 잔디밭의 [[고랑]]에 빠지면서 멈춰섰다. 고랑에 부딫히면서 기체는 동체가 두동강 났으며, 8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1533편의 탑승한 승객의 증언에 따르면 "시계가 좋지 않아 회항한다." 라는 기장의 말이 있은지 약 15분 후 다시 착륙을 시도했는데 그때 사고가 발생했다고 한다. 또 사고 후 기내에 연기가 가득 찼으나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후 항공기 이착륙에 큰 방해를 준다는 이유로 포항 인덕산의 높이였던 96.6m에서 '''30.2m'''를 깎아버려 66.4m로 '''언덕''' 수준으로 만들어 버렸다. 무려 산의 '''1/3'''을 깎아버린 것인데, 이는 포항 인덕산이 전형적인 흙산이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바위산이었다면 [[똥이 무서워서 피하나 더러워서 피하지|고작 1m밖에 못 깎고 차라리 활주로 자체를 이전했을 가능성이 높다.]] 사고 현장에서 기체는 고랑에 빠지면서 들이받은 충격으로 인해 기수가 휘고 동체는 부러졌으며, 랜딩기어는 분리된 채 방호벽 앞에 떨어져 있었고 비상구 도어 또한 부서져 있었다고 한다[* 사고 사진을 보면 뒷쪽 비상구는 [[비상탈출 슬라이드]]가 펼쳐졌지만, 앞쪽 탑승구는 슬라이드가 펼쳐지지 않았다.[[https://nypost.com/2022/06/21/plane-catches-fire-after-crash-landing-at-miami-airport/|동일 기체의 다른 사고]]를 보면 알 수 있듯이 MD-82 기종은 앞뒤에 모두 비상탈출 슬라이드가 존재한다.]. 해당 기체는 '''겨우 3.2년 밖에 되지 않은 신생 기체'''[* 항공기의 평균 수명은 약 25~30년이다.]였지만, 사고로 인한 피해가 극심해 결국 스크랩 처리되었다. == 사고 원인 논란 == 사고 후 [[대한항공]], [[포항공항]], 건교부의 책임 떠넘기기가 있었으며, 사고 원인에 대해서도 포항공항 측과 건설교통부의 입장이 달랐다.[* 출처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pdf_ReadBody.jsp?Y=1999&M=03&D=17&ID=9903173102|조선일보 1999년 3월 17일자 대한항공기 사고 서로 "네 탓"]] ] 건설교통부 조사팀은 사고의 원인을 기상악화로 꼽았으나, [[포항공항]]의 관제를 담당하고 있는 대한민국 해군 제 6전단 측은 기상조건엔 문제가 없었으며 착륙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사고기의 기장은 "제대로 착지하였으나 브레이크가 말을 듣지 않았다." 며 "활주로가 젖어 수막현상이 일었난 것 같다." 고 말해 기체 결함과 비에 젖은 활주로에서 미끄러졌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건교부의 조사 결과는 뒷바람이 착륙 기준치 이상이었고 승객들이 엔진 역추진[* 착륙 후 배기가스를 역으로 분사해 감속하는 것.] 소리를 못 들었다고 증언해 사고 원인은 '조종사 과실과 기체결함 중 하나' 라고 상당히 애매하게 발표되었다.[* 당시엔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 설립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민간에 제대로된 사고조사보고서를 공표하지 않던 시기였다.] == 여담 == * 사고 이후에도 1533편은 김포-포항 노선의 편명으로 계속 사용되었다가 2019년 10월 말 즈음부터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다. 대한항공이 포항노선의 단항, 그리고 2020년 이후 철수하였기 때문이다.[* 지금 이 노선에는 자매사인 진에어가 운항중이다.] * 이 사고 3개월 후 [[아메리칸 항공 1420편 활주로 이탈 사고]]로 재현되었다. * 이 사고를 기점으로 23년 간 대한항공은 여객기 상각 사고를 발생시키지 않지만, 23년만인 2022년 [[대한항공 631편 활주로 이탈 사고]]가 발생했다. [[분류:1999년 항공사고]][[분류:대한민국의 항공사고]][[분류:대한항공/사건 사고]][[분류:포항시의 사건사고]][[분류:활주로 이탈]][[분류:악천후로 인한 항공사고]][[분류:MD-80/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