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더 킹 오브 파이터즈)] ||[[파일:rWJhxNvr.jpg|width=300]]|| [목차] == 개요 == [youtube(XwbAG5xV6VQ)]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의 [[드림캐스트]]판. [[1999년]] [[6월 24일]]에 출시되었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오프닝, 3D 배경, 밸런스 및 버스 수정 등의 변화가 생겼다. ~~절대로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9]]가 아니다.~~[* 후속작인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9 에볼루션]] 염가판이 발매되었는데, 원래 염가판의 발매 예정은 2001년 9월이었으나 패키지, 디스크 커버는 멀쩡한데 막상 게임 내용이 전작인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드림 매치 1999]]로 잘못 들어갔다는 것이 발매 직전에 발견되어 매장에서 모두 회수, 한달 뒤로 연기하여 2001년 10월에 정상적으로 발매되었다. 다만 100% 회수된 건 아니라 저 잘못 들어간 버전이 가끔씩 중고 매물로 나오기도 한다.] == 밸런스 == 밸런스가 일부 조정되었다. 쿄는 MAX 대사치 2히트 후 추가타가 불가능해졌으며, RB 마이 화람 무한 삭제, 클락 슈퍼 아르젠틴 백브레이커 대미지 증가, 하이데른 파이널 브링거 대미지 증가, 크리스 캐리 오프 킥 대미지 감소, 마리 스트레이트 슬라이서 경직 증가 등이 있다. 이후 약간의 밸런스 조정은 드림캐스트판 KOF의 특징이 된다. == 그래픽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사상 최초로 [[애니메이션]] 오프닝과 3D 스테이지를 투입했다. 다만 3D 스테이지의 퀄리티가 아주 좋은 것은 아니라서 [[초월이식]]이라는 평가까지는 다소 망설이게 한다. [[길티기어 시리즈]]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또한 애니메이션 오프닝이 나오는 대신 아케이드의 오프닝은 삭제.[* 드림캐스트 이식판이 이렇게 초월이식이 된 데에는 당시 드캐의 높은 하드웨어 스펙이 받쳐줘서였을수도 있겠지만, 본래 [[하이퍼 네오지오 64]] 기판으로 제작되려다 취소된 KOF98의 고해상도 스프라이트 + 3D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하이퍼 네오지오의 최후는 뭐 알다시피 조악한 3D 게임들과 함께 SNK를 홀라당 말아드시는 1등공신이 되었다(...) 마치 [[PC-FX]] 및 [[아타리 재규어]]의 재림.~~] [[세가 새턴]]의 후속 기종을 사용하는 만큼 별도 롬팩 없이도 프레임 삭제가 없다. 다만 304 X 224 [[비정규 해상도]]인 네오지오와는 다르게 정규 [[해상도/목록|해상도]] 240p로 제작되어서 캐릭터가 네오지오보다 [[다운사이징|약간 작게 느껴지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히든 캐릭터의 [[http://www.battlepage.com/index.php?menu=g_image&mode=view&no=21190|캐릭터 셀렉트 스프라이트]]와 [[http://www.battlepage.com/index.php?menu=g_image&mode=view&no=21230|오더 셀렉트 스프라이트]]가 추가되었다. 그런데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8 얼티메이트 매치]]에서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고 새롭게 [[스프라이트(컴퓨터 그래픽)|스프라이트]]를 찍어 그림체 개편이 일어났다. == 사운드 == 네오지오판 사운드가 아닌 AST를 사용해서 음질적인 면에서 좋은 편이지만,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네오웨이브|라운드가 시작할때마다 BGM이 처음부터 재생되기 때문에]] 도중 끊기는 느낌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MAX초필살기와 일부 기술의 음성에 [[에코]]가 추가되었다. == 기타 == 팀, 싱글 플레이에서 플레이한 캐릭터로 포인트를 얻어 [[더 킹 오브 파이터즈 R-2]]와 연동하거나, KOF 99의 새 캐릭터와 새 복장에 대한 설정 원화를 해금할 수 있다. 스토리가 새롭게 전개되는 신작의 맛보기 정도로만 수록되어있기 때문에 PS판 98의 갤러리 모드보다는 분량이 많이 적다. 드림캐스트 게임들이라면 보편적으로 지원되는 VGA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데, 이유는 3D 폴리곤 그래픽을 비롯한 리뉴얼된 그래픽이 [[네오지오]]와 거의 동일한 [[SD(해상도)|저해상도]]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캐릭터와 배경 해상도가 다르면 생기는 이질감을 막기 위함인데, 문제는 배경으로 사용된 3D 그래픽에 [[안티에일리어싱|안티 얼라이싱]]이 전혀 걸려 있지않아 2D로 된 캐릭터보다 3D로 된 배경 그래픽이 더 지저분해 보인다. 후속 이식작인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9 에볼루션|'99 에볼루션]] 역시 같은 방식이라 VGA 출력이 되지 않지만 안티 얼라이싱 기술을 사용해서 훨씬 나아진 화면을 보여준다. [[VGA|VGA 출력 해상도]]가 없어서 VGA 화면은 볼 수 없지만 RGB 출력에 최적화된 해상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RGB 출력을 지원하는 티비나 모니터에 [[단자/비디오#s-3|RGB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 매우 뛰어난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그 외 문제점이라면 아케이드 CPU전에서 97 스페셜팀은 절대 등장하지 않는다. 버그라기보단 프로그램상의 실수 누락으로 보이며 따라서 본 작품에서 CPU가 조종하는 97 스페셜 팀의 야마자키나 마리, 빌리와는 서바이벌 모드에서만 만날 수 있다. 또 1P 사이슈가 어둠쫓기나 귀신태우기를 사용하면 시간이 빨리 흐르는 치명적인 버그 현상이 존재한다[[https://twitter.com/pomegd/status/1635241499813380097|#]]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등장인물|등장인물]] == === 참전 캐릭터 === || [[파일:rMFw0Ed.png|width=320]] || [[파일:LzZZdb2.png|width=320]] || || '''팀''' ||<-3> '''멤버''' || || '''일본 팀''' || [[쿠사나기 쿄]] || [[니카이도 베니마루]] || [[다이몬 고로]] || || '''아랑전설 팀''' || [[테리 보가드]] || [[앤디 보가드]] || [[죠 히가시]] || || '''용호의 권 팀''' || [[료 사카자키]] || [[로버트 가르시아]] || [[유리 사카자키]] || || '''이카리 팀''' || [[레오나 하이데른]] || [[랄프 존스]] || [[클락 스틸]] || || '''사이코 솔저 팀''' || [[아사미야 아테나]] || [[시이 켄수]] || [[친 겐사이]] || || '''여성 격투가 팀''' || [[카구라 치즈루]] || [[시라누이 마이]] || [[킹(SNK)|킹]] || || '''한국 팀''' || [[김갑환]] || [[장거한]] || [[최번개]] || || '''오로치 팀''' || [[나나카세 야시로]] || [[셸미]] || [[크리스(KOF)|크리스]] || || ''''97 스페셜 팀''' || [[야마자키 류지]] || [[블루 마리]] || [[빌리 칸]] || || '''야가미 팀''' || [[야가미 이오리]] || [[매츄어]] || [[바이스(KOF)|바이스]] || || '''마스터 팀''' || [[하이데른]] || [[타쿠마 사카자키]] || [[쿠사나기 사이슈]] || || '''아메리칸 스포츠 팀''' || [[헤비 D!]] || [[럭키 글로버]] || [[브라이언 배틀러]] || || '''에디트 캐릭터''' ||<-3>{{{#!wiki style="margin:-10px -10px" {{{#!wiki style="margin:-15px -1px -15px" || [[루갈 번스타인]] || [[야부키 신고]] || }}}}}}|| || '''히든 캐릭터''' ||<-3> [[KOF 95]] 쿄, 우라 테리, 우라 앤디, 우라 죠[br] 우라 료, 우라 로버트, 우라 유리, 우라 마이, 우라 빌리 || || '''각성 오로치 팀''' || [[메마른 대지의 야시로]] || [[미쳐 날뛰는 번개의 셸미]] || [[불꽃의 운명의 크리스]] || || '''보스 캐릭터''' ||<-3> [[오메가 루갈]] || [[분류:더 킹 오브 파이터즈]][[분류:1999년 게임]][[분류:드림캐스트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