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테마]][[분류:유희왕/러시 듀얼/드래곤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일반 마법]][[분류:유희왕/러시 듀얼/함정 카드]] [include(틀:유희왕/러시 듀얼/테마)] ||<:><-3>'''{{{#!html더☆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라이벌들의 카드군)] [include(틀:카미조 타츠히사 덱 관련 문서)] }}}}}} || ||<-6><#91D3F1>
<:> '''{{{#!html더☆}}}'''{{{#!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F2migbMa4AA7bFJ_waifu2x_photo_noise3_scale.png|width=100%]][br]{{{-2 [[더☆트리니티 드라기아스타|{{{#FFFFFF 더☆트리니티 드라기아스타}}}]]}}}}}} || || '''{{{#!html한국어판 명칭}}}''' ||<-5><#fff,#191919> '''더☆''' || || '''{{{#!html일어판 명칭}}}''' ||<-5><#fff,#191919> '''ザ☆''' || || '''{{{#!html영어판 명칭}}}''' ||<-5><#fff,#191919> '''Th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속성#빛|빛]] ||<-2><^|1><#fff,#191919> [[유희왕 러시 듀얼/종족#드래곤족|드래곤족]] ||<-2><^|1><#fff,#191919> 일반, 효과, [[퓨전 소환|퓨전]] ||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시리즈 카드. [[유희왕 SEVENS]]의 [[더☆루크멘]]이 사용했으며, 이후에는 [[카미조 타츠히사|루크]]가 사용하는 카드들이다. 빛 속성 / 드래곤족으로 이루어져있다. 사용자처럼 특촬물 주인공같은 디자인의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후 [[유희왕 고 러시!!]]의 [[더☆루그]]가 사용. 원래는 드래곤족이라는 점 외에는 카드간에 공통점이나 컨셉이라고 할 만한게 없었지만 고 러시 시즌에서 나온 카드들은 사용자의 덱 컨셉이 맞춰 동명의 일반 몬스터와 퓨전 몬스터가 연계하는 테마로써의 컨셉이 생겼다. == 일반 몬스터 == === 더☆드래곤 === [[파일:ザ☆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더☆드래곤, 일어판명칭=ザ☆ドラゴン, 영어판명칭=The ☆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드래곤족, 효과외=초신성 격돌이 예상되는 정의의 드래곤! 그 이름은\, 더☆드래곤!)] 공격력 0이나 레벨 1을 참조하는 서포트 카드에 대응하긴 하지만, 이런 용도로는 수비벽으로 쓸 수 있는 [[테노리 드라코]]가 우선시된다. 즉 [[천개의 눈을 가진 사교신]]의 러시 듀얼판.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퓨전 몬스터들의 퓨전 소재로 사용될 것이다. [[초격룡 드라기아스타F]]의 경우, 조건 사정상 드래곤족 이외의 몬스터는 채용하기가 힘드므로 레벨을 참조하는 [[원업]] 등의 서포트 카드는 쓸 일이 없어질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해 두자. [[농격룡 미라기아스타F]]는 그럴 우려가 없으니 범용 서포트 카드를 챙겨넣기에는 더 수월해질 것이다. [[스타 리스타트]] 등에도 대응하므로 초반에 어드밴스 소환을 위해 릴리스하든지 벽으로 쓰든지 해서 소생시켜 [[퓨전 소환]]으로도 연계해볼 수 있다. [[유희왕 SEVENS]]에서는 [[더☆루크멘]]이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설정상 [[카미조 타츠히사]]가 그린 만화에 나온 드래곤으로, 작중에서는 주로 [[초격룡 드라기아스타F]]의 퓨전 소재가 되면서 활약했다. 이후 [[카미조 타츠히사]]도 [[키리시마 로아]]와의 듀얼 중 사용하면서 퓨전 소재로 쓰려 했으나, 막상 중요한 [[퓨전(유희왕 러시 듀얼)|퓨전]]을 뽑지 못하자 그냥 [[산람룡]]을 어드밴스 소환하는 데에 쓰였다. 이후로도 드라기아스타F의 소재로 쓰였다. [[유희왕 SEVENS 루크! 폭렬패도전!!]]에서도 [[카미조 타츠히사]]가 사용. [[무츠바 아사나]]와의 듀얼 중 [[강격룡 메타기아스타F]]의 퓨전 소재가 되었다. ||<-5>수록 시리즈 || ||<(> 2021-09-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EXT1-JP026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エクストラ超越強化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2-01-2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GRC1-JP004 | '''[[골드 러시 챌린지 팩|ゴールドラッシュ チャレンジ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EXT1-KR026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더☆드라기아스]] === == 효과 몬스터 == === 더☆클론 === [[파일:ザ☆クロー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더☆클론, 일어판명칭=ザ☆クローン, 영어판명칭=The☆Clon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0, 종족=드래곤족,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가 하이드래곤족 / 드래곤족 뿐일 경우\, 패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자신 묘지에 "더☆카피" 또는 "백 투 더☆퓨전"이 있을 경우\, 추가로 이 턴\, 이 카드의 카드명은 "더☆드라기아스"가 된다.)] 조건 덕분에 순수 드래곤 덱에서 쓰일 것이 전제되지만, 후반의 두 가지 효과로 인해 같은 이름의 일반 몬스터를 취급하는 덱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전반 드로우 효과만으로도 그냥 패 교환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후반 효과도 적용만 된다면 소비를 최소화해서 [[더☆드라기아스타]]의 퓨전 소환을 노릴 수 있게 된다. 발동 시점에서 묘지에 둘 다 없어도 둘 중 하나를 패 코스트로 쓴다면 조건은 채워진다. 다만 이 방법으로 퓨전 소환했을 경우 묘지에 [[더☆드라기아스]] 2장이 갖춰지지 않을 수 있으니 효과를 써먹는 데에 지장이 생긴다는 점은 주의할 것. 묘지에 몬스터가 1장도 없으면 효과 발동이 불가하다는 것도 주의해야한다. 몬스터 디자인 자체는 더☆ 시리즈의 마법 / 함정 카드에서 자주 나오는 의문의 히어로에서 따왔다. 다른 "더☆"카드의 히어로와 달리 붉은 색인데 이 카드의 효과와 이름, 더☆카피의 일러스트를 고려하면 그 히어로의 클론이나 분신으로 보인다. ||<-5>수록 시리즈 || ||<(> 2023-0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2-JP012 | '''[[강습의 더블스타!!|デッキ改造パック 強襲のダブルスター!!]]'''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12-KR012 | '''[[강습의 더블스타!!|덱 개조 팩 - 강습의 더블스타!!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더☆와이반 === [[파일:ザ☆ワイバー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더☆와이반, 일어판명칭=ザ☆ワイバーン, 영어판명칭=The☆Wyver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5, 공격력=500, 수비력=1500, 종족=드래곤족, 조건=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묘지에서 일반 몬스터(레벨 6 이하 / 드래곤족) 1장을 골라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패의 마함을 1장 버리고 묘지의 레벨 6이하 일반 드래곤족을 소생하는 몬스터 6이하이기 때문에 [[파이어 가디언]]이나 퓨전 소재등을 소생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너무나도 낮은 공격력과 이 카드 자체가 상급 몬스터라는 점. [[유희왕 SEVENS]]에서는 [[더☆루크멘]]이 사용. ||<-5>수록 시리즈 || ||<(> 2021-09-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EXT1-JP025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エクストラ超越強化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EXT1-KR025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더☆스타드래곤 === [[파일:ザ☆スター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더☆스타드래곤, 일어판명칭=ザ☆スタ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The☆Star Drag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빛,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1500, 종족=드래곤족, 조건=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내린다. 그 후\,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000 내릴 수 있다.)] >'''"그건 스타한 몬스터! 그건 몬스터의 스타! 빛나는 더☆스타드래곤!"''' >---- >[[더☆루크멘]], [[유희왕 SEVENS]] 中 [[유희왕 SEVENS]]에서 [[더☆루크멘]]이 사용. 효과 덕에 실질적인 타점은 3000이다. 단독 비트 능력만 보면 [[고대 어라이즈 드래곤]]과 비슷하지만, 이쪽은 이 카드로 타점을 낮추고 다른 카드로 공격할 수도 있어 활용폭이 더 넓다. 효과를 발동했다가 릴리스한 후 [[피닉스 드래곤]]을 통해 다시 회수해 효과를 발동하면 4000 이상의 타점도 커버할 수 있다. [[블루 투스 버스트드래곤]]과의 상성도 좋은 편이다. 공격력 2500까지의 몬스터는 이 카드와 버스트드래곤의 연계로 잡을 수 있다. 다만 블루 투스에겐 [[라이트웨이브 드래곤]]이라는 매우 좋은 서포트가 있어 레벨이 7이고 공격력이 2500이라는 점으로 차별화해야 할 듯. 루크멘의 에이스 취급을 받는 듯 하지만 막상 퓨전체도 없고 큰 활약도 없다. 효과명은 '더☆중력 떨구기(ザ☆・重力落とし)', 공격명은 '더☆메테오 코멧(ザ☆・メテオコメット)'. [* 공격을 2번 하는 것은 아니지만 더☆루크멘의 컨셉 때문인지 한 번의 공격에도 공격명을 2번 외친다.] ||<-5>수록 시리즈 || ||<(> 2021-10-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SJMP-JP009 | '''[[유희왕 러시 듀얼/기타 카드|最強ジャンプ 2021年 11月号 付録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2-05-2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GRP1-KR004 | '''[[골드 러시 팩|그랜드 러시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퓨전 몬스터 == === [[더☆드라기아스타]] === === [[더☆트리니티 드라기아스타]] === == 마법 카드 == === 더☆파워업 === [[파일:ザ☆パワーアップ.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더☆파워업, 일어판명칭=ザ☆パワーアップ, 영어판명칭=The☆Barri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묘지의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 / 수비력을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묘지의 몬스터를 3장 되돌리고 턴 종료시까지 공수를 500올리는 마법 카드. 범용 강화 카드로 [[10sionMAX!!!]]와 비슷한 위치의 카드로 관통 효과가 필요 없거나 패 코스트가 버거운 덱에서 10sionMAX!!!대신 채용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유희왕 SEVENS]]에서 [[더☆루크멘]]이 사용. ||<-5>수록 시리즈 || ||<(> 2021-09-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EXT1-JP027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エクストラ超越強化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EXT1-KR027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더☆카피 === [[파일:ザ☆コピー.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더☆카피, 일어판명칭=ザ☆コピー, 영어판명칭=The☆Copy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가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에 같은 이름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있는 자신 묘지의 일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레벨 5 이상이라면 공격력을 2000을 넘은 몬스터가 2장 생기는 셈이니 단숨에 전력을 강화할 수 있다. 특히 드래곤족은 [[바이슬래셔]]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맥시멈 모드의 몬스터마저 간단히 해치울 수 있게 된다. 필드와 묘지에 일반 몬스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으니 묘지 덤핑은 사전에 착실히 해두는 것이 좋다. 이 과정에서 [[침묵의 죽은자]]나 [[시크릿오더]]처럼 최상급 일반 몬스터를 적은 소비로 마련할 수 있는 카드하고도 상성이 좋다. 더☆클론은 이 카드 혹은 백 투 더☆퓨전이 묘지에 있어야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므로 클론을 쓴다면 최소 둘 중 하나를 덱에 1장 정도는 넣는게 좋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더☆루그]]가 [[키리시마 로비안]]과의 듀얼 중 사용. [[더☆드라기아스]]가 존재할 때 발동하여 묘지에 있는 다른 [[더☆드라기아스]]를 소생시켰다. 이후 [[유디아스 벨갸]]와 [[그 녀석]]과의 태그 듀얼에서 사용. 38화에선 [[바이슬래셔]]와의 연계에 사용했고 39화에선 [[더☆드라기아스타]]의 소재를 모으는 것에 사용되었다. ||<-5>수록 시리즈 || ||<(> 2023-0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2-JP046 | '''[[강습의 더블스타!!|デッキ改造パック 強襲のダブルスター!!]]'''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12-KR046 | '''[[강습의 더블스타!!|덱 개조 팩 - 강습의 더블스타!!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백 투 더☆퓨전 === [[파일:バック・トゥ・ザ☆フュージョン.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백 투 더☆퓨전, 일어판명칭=バック・トゥ・ザ☆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Back To The☆Fusio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에 같은 이름의 앞면 표시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묘지의 "퓨전"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자신 묘지에 같은 이름의 일반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을 경우\, 추가로 그 중에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을 수 있다.)] [[유희왕 고 러시!!]]에서는 [[더☆루그]]가 [[유디아스 벨갸]]&[[오도 유가|그 녀석]]과의 듀얼 중 사용. [[더☆드라기아스]]가 2장 존재하는 상태에서 발동하여 [[퓨전(유희왕 러시 듀얼)|퓨전]]과 [[제로 드레이크]]를 회수했다. 카드명은 [[백 투 더 퓨처 시리즈|백 투 더 퓨처]]의 패러디. ||<-5>수록 시리즈 || ||<(> 2023-0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KP12-JP047 | '''[[강습의 더블스타!!|デッキ改造パック 強襲のダブルスター!!]]'''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3-04-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KP12-KR047 | '''[[강습의 더블스타!!|덱 개조 팩 - 강습의 더블스타!!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함정 카드 == === 더☆베리어 === [[파일:ザ☆バリア.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더☆베리어, 일어판명칭=ザ☆バリア, 영어판명칭=The☆Barri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자신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공격해 온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400 내린다.)] 상대 몬스터가 공격시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공격력을 400 낮추는 함정 카드. 묘지 회수와 공격 반응형 함정이 부족한 덱에서 채용을 고려해볼만하다. [[유희왕 SEVENS]]에서 [[더☆루크멘]]이 사용. ||<-5>수록 시리즈 || ||<(> 2021-09-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EXT1-JP028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エクストラ超越強化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RD/EXT1-KR028 |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더☆가드 === [[파일:ザ☆ガード.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더☆가드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ザ☆ガード, 영어판명칭=The☆Guard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자신 묘지의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수록 시리즈 || ||<(> 2023-10-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2-JP036 | '''[[메가로드 팩 2|メガロードパック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더☆블록 === [[파일:ザ☆ブロック.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더☆블록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ザ☆ブロック, 영어판명칭=The Bloc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몬스터를 앞면 공격 표시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레벨 8 이하)를 2장까지 고르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레벨 7/8의 몬스터의 소환 시에만 대응했던 원작과는 달리 조건에서 소환되는 몬스터의 레벨 제한이 빠지기는 했지만, 뒷면 수비 표시로 바꿀 수 있는 몬스터의 최대 수가 줄어 효과 자체는 약화된 편. 이미 몬스터가 1장 이상 있어야한다는 조건이 있지만, 어쨌든 조건에 필요한 몬스터의 레벨 지정은 없으니 어렵지는 않다. 2장까지 수비 표시로 바꿔버림으로서 그 턴동안의 공격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도 있으며, 어드밴스 소환으로 치워버리는 수를 못 쓰도록 최상급 이상을 꺼낸 순간에 써주면 좋다. 범용성 자체는 높지만. 몬스터 효과나 소재 활용은 막지 못하므로 과신은 금물. 레벨 9 이상의 퓨전 몬스터나 맥시멈 몬스터는 조건으로 갖춰지기는 해도 표시 형식을 바꾸지는 못하므로 직접적인 대책으로는 소용이 없다. [[유희왕 SEVENS]] 66화에서 [[더☆루크멘]]이 [[오도 유가|더☆유가멘]]과의 듀얼 중 사용. [[세븐즈로드 위치]]의 효과로 [[세븐즈로드 매지션]]을 특수 소환하는 순간 발동하여 유가의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바꾸었다. ||수록 시리즈 || ||<(> 2023-10-1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MRP2-JP037 | '''[[메가로드 팩 2|メガロードパック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미발매 카드 == === 마법 카드 === ==== 더☆리싸이크론 ==== [[파일:The Recyclone-JP-Anime-G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더☆리싸이크론, 일어판명칭=ザ☆リサイクロン, 영어판명칭=The☆Recyclon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7 이상)가 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이 효과로 장착 마법 카드를 파괴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2장 드로우할 수 있다.)] ==== 더☆배틀범프 ==== [[파일:The Battle Bump-JP-Anime-G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더☆배틀범프, 일어판명칭=ザ☆バトルバンプ, 영어판명칭=The☆Battle Bump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발동효과=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200 올린다. 장착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있는 한\, 상대는 장착 마법 카드를 발동할 수 없다. 장착 몬스터의 공격으로 상대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파괴하지 못했을 경우\, 그 상대 몬스터를 앞면 공격 표시로 할 수 있다.)] === 함정 카드 === ==== 더☆번 ==== [[파일:TheBurn-JP-Anime-G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더☆번, 일어판명칭=ザ☆バーン, 영어판명칭=The☆Bur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자신 필드의 뒷면 표시 몬스터가 상대의 효과로 앞면 표시가 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그 후\, [이 효과로 파괴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상대에게 데미지를 준다.)] ==== 더☆캔슬 ==== [[파일:TheCancel-JP-Anime-G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더☆캔슬, 일어판명칭=ザ☆キャンセル, 영어판명칭=The☆Cance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레벨 9 이하)가 특수 소환 되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몬스터 1장을 주인의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상대는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를 포함한 몬스터 2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 더☆언페어 ==== [[파일:The Unfair-JP-Manga-G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더☆언페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ザ☆アンフェア, 영어판명칭=The☆Unfai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앞면 표시로 몬스터(레벨 7 이상)을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는 패가 있을 경우\, 패를 전부 묘지로 보낸다. 추가로 상대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그 후\, 상대는 2장 드로우할 수 있다.)] == 관련 카드 == === 퓨전 몬스터 === 소속 몬스터인 더☆드래곤을 소재로 요구하는 퓨전 몬스터들이다. ==== [[초격룡 드라기아스타F]] ==== ==== [[농격룡 미라기아스타F]] ==== ==== [[강격룡 메타기아스타F]] ==== === 마법 카드 === ==== [[퓨전(유희왕 러시 듀얼)|퓨전]] ==== ==== [[바이슬래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