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웹툰/목록]][[분류:2015년 웹툰]][[분류:웹툰 연재처/기타]][[분류:학습만화]] [목차] == 개요 == '''시즌1''' [[http://www.thisisgame.com/webzine/series/nboard/213/?series=125|링크]] '''시즌2''' [[https://youtu.be/xHAZCUuo0M8|링크]] [[디스이즈게임]]에 연재되고 있는 게임 관련 [[학습만화]]. 작가는 똥양꿍. 첫 화에서는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게임의 폭력성 논쟁]] 등을 소개하며, 게임을 일방적으로 변호하는 게 아니라 게임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살펴보자는 취지를 밝혔다. 부정적인 단면만 보는 안 좋은 사례로 [[저 새는 해로운 새다]]을 패러디한 그림을 인용했다. 허나 정작 본편 내용은 게임 업계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이에 작가는 이 게임사(史)는 오프닝에서 말한 그런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이라고 언급했다. --그런 것 치곤 역사 내용이 매우 방대하지만... 재미있으니까 상관 없나?-- 전반적으로 [[패러디]]가 많아 보는 재미가 상당하다.각 게임 회사 대표 인물들을 유명 캐릭터로 패러디해서 그린다.[* 후술하겠지만 이 부분은 작가의 말에 따르면 [[삼국전투기]]에서 따온 부분이라고 한다.] 다만, 패러디한 캐릭터들이 주로 80~90년대에 등장한 캐릭터가 많으므로 90년대 중반 이후 출생자들은 잘 모르는 캐릭터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패러디라고는 해도 엄연히 돈 받고 연재하는 만화에서 매주 남의 캐릭터들을 그대로 갖다 그리는데 저작권 문제가 언제 걸려도 이상할 것은 없을 정도.[* 엄밀히 말하면 작가 본인이 외형적으로 재구성한 캐릭터가 없다.] 연재처인 TIG나 작가 본인의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회피할 수 있는 부분일 뿐 도의적인 문제는 충분하다. 2018년 8월 6일 시즌 1이 완결했다. 2019년 6월부터 [[버프툰]]에서 김비둘 작가와 '대국'이라는 신작을 연재하고 있다. [[https://bufftoon.plaync.com/series/1000583|링크]] 2020년 7월부터 [[유튜브]]에서 [[더게임툰]] [[시즌2]]를 연재하고 있다. [[https://youtu.be/xHAZCUuo0M8|링크]] == 등장 기업및 인물 == 게임 업계 역사를 다루므로 당연히 실존 인물들이 소개된다. 게임 회사와 관련 인물들이 패러디된 캐릭터도 함께 기재한다. 참고로 여기 목록에 나온 인물들은 본 웹툰에서 묘사하는 시기에 해당 회사에 있던 인물들을 기재하였다. 따라서 이미 퇴사하거나 사망한 지 오래되었어도 --[[컴파일(게임 회사)|혹은 회사가 망했어도]]-- 인물 목록은 그 회사 단락에 그대로 기재한다. === [[아타리]] === * 아타리 - [[골 D. 로저]] * [[놀런 부슈널]] * [[스티브 잡스]][* 애플 창립 이전 아타리에서 근무한 바 있다.] - 헤일로 편에서는 심슨 그림체로 등장한다. === [[타이토]] === * 타이토 - [[밀짚모자(원피스)|밀짚모자]] * 미하일 코건[* 타이토의 창립자.] === [[닌텐도]] === * 닌텐도 -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 [[젤다의 전설 시리즈]] - [[링크(젤다의 전설 시리즈)|링크]] * [[야마우치 히로시]] - [[카자마 진]] * [[요코이 군페이]] - [[가제트(형사 가제트)|가제트]] * [[미야모토 시게루]] - [[보거스는 내친구|보거스]] * [[콘도 코지]] - 먼지귀신 * [[이와타 사토루]] -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 * [[테즈카 타카시]] - [[권준호]] * 그 외 인물들 - [[이달재]], [[신오일]] ==== [[게임 프리크]] ==== * [[타지리 사토시]] -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구]] * [[이시하라 츠네카즈]] - [[부리부리자에몽]] * [[모리모토 시게키]] ==== [[HAL 연구소]] ==== * 전임사장 - [[유창수(슬램덩크)|유창수]] * [[사쿠라이 마사히로]] - [[양호열]] * 그 외 인물들 - [[이용팔]], [[노구식]] === [[반다이 남코 게임스]] === * 반다이 남코 게임스 - 합체 피콜로 * [[THE iDOLM@STER]] - [[대너리스 타르가르옌]] ==== [[반다이]] ==== * 반다이 - [[피콜로 대마왕]] * 코야마 준이치로 - [[티리온 라니스터]] * [[이시하라 아키히로]] - [[이토 이사쿠]] ==== [[남코]] ==== * 남코 -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 * [[하라다 카츠히로]] - [[프로토타입 잭]] === [[캡콤]] === * 캡콤 - [[셀(드래곤볼)|셀]]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좀비 * [[후나미즈 노리타카]] - [[인조인간 20호]] * [[다나카 츠요시]] - [[인조인간 19호]] * [[츠지모토 료조]] - [[인조인간 17호]] === [[코에이 테크모]] === ==== [[코에이]] ==== * 코에이 - [[제갈량(삼국지 시리즈)|제갈량]] ==== [[테크모]] ==== * 테크모 - [[지라이야(나루토)|지라이야]] * [[이타가키 토모노부]] - [[오로치마루]] * 이노세 요시아키 - [[사루토비 히루젠]] * [[데드 오어 얼라이브 시리즈]] 팬덤 - [[지로보]] === [[코나미]] === * 코나미 - [[프리저]] * [[코지마 히데오]] - [[오타콘(메탈기어 시리즈)|오타콘]] * [[이가라시 코지]] - 본인 오너캐 === [[스퀘어 에닉스]] === ==== [[스퀘어#s-2|스퀘어]] ==== * 스퀘어 - [[흑마도사]]→[[클라우드 스트라이프]] * [[사카구치 히로노부]] - [[프링글스]] * [[노무라 테츠야]] - [[하나야마 카오루]] ==== [[에닉스]] ==== * 에닉스 - [[킹 슬라임]] === [[세가 게임즈]] === * 세가 - [[베지터]][* 회사 내부사정이 복잡했던 세가 답게 베지터도 여러 버전이 나오는데, 일본 세가는 콧수염이 난 베지터, 북미 세가는 구레나룻이 돋보이는 초사이어인 베지터, 드림캐스트 출시 당시의 세가는 마인 베지터로 그려졌고, 나머지 중역들은 각각 [[내퍼]], [[라데츠]]가 맡았다.] * [[나카 유지]] - [[레오나르도(닌자 거북이)|레오나르도]][* 더불어 나카 유지와 함께 소닉 탄생의 중역이었던 오오시마 나오토는 [[라파엘(닌자 거북이)|라파엘]], 야스하라 히로카즈는 [[미켈란젤로(닌자 거북이)|미켈란젤로]]와 비슷한 띠를 두른다.] * [[스즈키 유]] - [[스플린터]] * [[쉔무 시리즈]] * [[쉔무]] - [[초대형 거인]] * [[쉔무 2]] - [[거신병]] * [[사미]] - [[미스터 사탄]] * [[용과 같이 시리즈]] - [[키류 카즈마]] === [[컴파일(게임 회사)|컴파일]] === * [[니이타니 마사미츠]] - [[북북노인]] * [[타케우치 타카시]] - [[니케(마법진 구루구루)|니케]] * [[에나미 카츠미]] - [[레이드#s-4|레이드]] * [[토베 스나호]] - [[쿠쿠리]]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 소니 - [[네기시 소이치]]→[[크라우저 2세]][* 처음엔 네기시 소이치 모습으로 나왔다가 닌텐도에게 통수 맞은 다음 크라우저로 변모 한다. 그리고 플레이스테이션 2가 전성기를 구가한 뒤부터는 독기가 사라져서 다시 네기시 소이치의 모습이 된다. 그러나 플레이스테이션 3가 초반 부진을 겪자 CELL칩 문제 등으로 쌓인 원한이 커져 결국 크라우저 2세로 회기해서 회색의 부우를 질질 끌고 간다.] *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 [[플레이스테이션 2]] - [[마인 부우(순수)]]→[[마인 부우]] * [[플레이스테이션 3]] - [[마인 부우(악)#s-2.1]] * [[플레이스테이션 4]] - [[마인 부우(악)#s-2.2]] * [[갓 오브 워 시리즈]] - [[크레토스]] * [[너티 독]] - [[잭(잭 & 덱스터 시리즈)|잭]] * [[언차티드 시리즈]] - [[네이선 드레이크]] === [[일렉트로닉 아츠]] === * EA - [[친구(20세기 소년)|친구]] * [[락밴드(게임)|락백드]] - [[액슬 로즈]] * [[EA 로스앤젤레스|드림웍스 인터렉티브]] - [[하이데른]] * [[웨스트우드]] === [[밸브 코퍼레이션]] === * [[게이브 뉴웰]] - [[고스트페이스]] === [[락스타 게임즈]] === * 락스타 게임즈 - [[곽한구]] * [[Grand Theft Auto III]] - 노란 택시 === [[마이크로소프트]] === * [[빌 게이츠]] - [[몽고메리 번즈]] * [[엑스박스 시리즈]] * [[엑스박스(게임기)|엑스박스]] - [[그린랜턴]] * [[엑스박스 360]] - [[헐크]] * [[엑스박스 원]] - [[플래닛 헐크]] * 그 외 인물들 - [[플랜더스]], [[아푸]], [[호머 심슨]] 등. === [[번지(게임 회사)|번지]] === * [[헤일로 시리즈]] - [[바트 심슨]] ===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 === * 베데스다 - [[잼 아저씨(날아라 호빵맨)|잼 아저씨]] * [[엘더스크롤 시리즈]] * [[엘더스크롤: 아레나]] & [[엘더스크롤 2: 대거폴]] - [[호빵맨]] *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사이타마(원펀맨)|사이타마]]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정우성(슬램덩크)|정우성]]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사이타마+[[드래곤본(엘더스크롤 시리즈)|드래곤본]] * [[제니맥스 미디어]] - [[세균맨]] * [[토드 하워드]] - [[버터누나]][* 원래 캐릭터는 여자 캐릭터이지만, 이 만화에서는 남자로 나온다.] * [[인터플레이 엔터테인먼트]] - [[볼트 보이]] === [[NC소프트]] === * [[송재경]] - [[해골기사]] * [[김택진]] - [[해골맨]] === [[액티비전]] === * [[인피니티 워드]] - [[랄프 존스]] * [[기타 히어로]] - [[슬래쉬]] === [[비방디]] === * 2015, Inc - [[클락 스틸]] === [[에픽 게임즈]] === * 에픽 게임즈 - [[타노스]] * [[언리얼 시리즈]] - [[치타우리]] * [[언리얼 엔진]] - [[인피니티 건틀릿]] * [[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 - [[정성구]]+[[마커스 피닉스]] === [[케이브(게임 제작사)|케이브]] === * 케이브 - [[칼 드로고]] === [[2K(게임 회사)|2K]] === * [[바이오 쇼크]] - [[신현필]] == 기타 == 상술했듯 만화 특성상 캐릭터 도용이라는 저작권 문제가 상존한다. 작가가 QnA편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이렇게 다른 만화 캐릭터를 패러디하는 방식은 모티브가 된 [[삼국전투기]]의 영향이라고 한다. 콘솔 게임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PC 게임에 대한 역사는 거의 다루지 않는데, 작가가 콘솔편이 끝난 이후 별도로 다룰 것이라고 밝혔다. 디스이즈게임 댓글란에서도 지적되지만, 닌텐도 편을 포함해서 작품내 오류가 종종 등장한다. 예를 들면 초반 닌텐도 편은 어디서 정보를 얻었는지 궁금할 정도로 오류가 많다. 특징이라고 할것까진 없지만 어째서인지 인물들을 지칭할때 꼭 '이름'으로 부른다.[* [[요코이 군페이]]는 '군페이', [[토드 하워드]]는 '토드'라고 부르는 식으로. [[요비스테|일본의 경칭 문화]]를 생각하면 묘하게 신경쓰이는 부분이다.] 2017년 6월에는 [[리니지(게임)|리니지]] 특별편을 진행했다. 하지만 워낙에 리니지 자체가 논란이 많은 게임인데다가, 고의인지 우연인지 시기가 [[리니지 M]] 발매와 겹쳐서 댓글창에서 키보드 배틀이 펼쳐졌다. "요즘 TIG 어렵나요? 기사건 뭐건 모두 리니지로 도배해서 디스이즈게임이 아니라 디스이즈리니지 사이트같네요..."라고 쓴 댓글이 추천수 최상위에 올라 있을 정도다. 이 특별편이 일방적으로 리니지를 옹호하는 내용만 담은 건 아니다. "어찌 보면 한국 MMORPG들은 리니지가 그 시절 보여줬던 만큼의 새로움을 보여주지 못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NC 역시 그 시절의 리니지를 뛰어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라는 식의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도 들어있다. 하지만 리니지 엔씨소프트를 응원하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평가받는 디스이즈게임의 영향 때문인지 만화 전체적으로 리니지를 옹호해주는 느낌이 강하다. 작가가 리니지를 재미있게 했는지 [[추억보정]]이 가미된 옹호 의견이 강하게 들어가 있는 편이다. 문제는 이런 표현이 리니지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는 마치 [[정신승리]]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게다가 마지막 5편 만화에 리니지 M 흥보식의 문구와 이미지로 점철된 점도 좋은 평가를 내리기 어렵게 만든다. 하지만 연출과 깔끔하고 여운을 남기는 결말은 엄청난 호평을 받고 있다. 리니지 편을 제외하고 보자면 그야말로 콘솔유저들에게 있어 최고의 웹툰으로 평가받을 만한 작품이라는 것이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