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설명 == [[파일:ダブル・アップ・チャン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더블 업 찬스, 일어판명칭=ダブル・アップ・チャンス, 영어판명칭=Double or Nothing!, 효과1=①: 몬스터의 공격이 무효가 되었을 때\,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배틀 페이즈 중\, 그 몬스터는 1번만 더 공격할 수 있다. 이 효과로 그 몬스터가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배가 된다. )] [[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제너레이션 포스]]에서 처음 발매되었다.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배로 하는 것은 아주 우수한 효과이지만 발동 조건이 까다로운 것이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공격을 무효로 하는 효과는 [[네크로 가드너]], [[매직 실린더]]처럼 상대 카드의 효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공격 무력화]], [[속공의 허수아비]], [[배틀 페이더]]처럼 배틀 페이즈를 종료하는 카드들 앞에서는 한없이 무력하다. 거기다 [[위협하는 포효]], [[화목의 사자]]처럼 공격 자체를 무효화하는 효과가 아니거나 배틀 페이즈 내내 효과가 유지되는 카드 앞에서도 답이 없다. [[고철의 허수아비]] 같은 카드에 대해서는 타이밍을 놓쳐 쓸 수가 없다. 다만 [[광자화]]는 공격 무효와 공격력 상승이 같은 타이밍이고, [[매직 실린더]]도 효과 데미지 처리가 있지만, 공격 무효와 효과 데미지가 같은 타이밍이기 때문에 더블 업 찬스를 발동할 수 있다. 이처럼, 공격을 무효로 하는 효과는 상대 카드의 효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막상 그러한 카드를 상대로도 이런저런 이유로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결국 이 카드가 의미를 가지려면 자신이 자신의 공격을 능동적으로 무효로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카드에는 [[No.39 유토피아]], [[No.39 유토피아 루츠]],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열정적인 듀얼리스트들#OCG|열정적인 듀얼리스트들]], [[타스켈톤]], [[극빙수#극빙수 블리자드 울프|극빙수 블리자드 울프]], [[사이버 오우거]] 등이 해당한다. 물론, 이 카드들을 전부 한 덱에서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에 특화된 전용 덱을 짜는 것이 좋다. 새로 등장한 강력한 엑시즈인 [[No.39 유토피아 더블]]의 효과를 발동시키기 위해서는 더블 업 찬스를 반드시 덱에서 패에 넣어야 하기에 채용률이 크게 상승했다. === 원작 === '''[[유희왕 ZEXAL]]의 [[수미상관|처음과 끝을 장식한]] [[츠쿠모 유마|주인공]]의 카드'''이자 유희왕 ZEXAL 팬들의 기억 속에서 잊힐 틈이 없을 정도로 자주 등장하는 카드. ZEXAL 한정으로 공격 무효 효과를 패배 플래그로 만든 카드이기도 하다. [[No.39 유토피아]], [[하프 언브레이크]]와 함께 유마의 혼의 카드 3종이라 할 수 있다. 첫 등장은 유마가 [[카미시로 료가]]와의 듀얼을 앞두고 덱을 정비하던 중 '이 카드는 어떻게 쓰는 거지?'[* [[대원방송]] 방영판에서는 그냥 '마법 카드'로 번역되었다.]라는 식으로 언급되었다. 이후 첫 듀얼인 료가와의 1차전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부러 유토피아의 효과를 쓰지 않고 No. 특유의 전투 내성과 [[바이바이 데미지]]로 버텨 엑시즈 소재를 아껴 두었다가 이 카드를 뽑아 유토피아의 효과와 연계해서 [[No.17 레비아단 드래곤]]을 쓰러뜨리고 피니시를 냈다.[* 여기서 유마는 이 카드를 떠올려 아스트랄의 조언을 무시하고 소재를 남겼지만, 코믹스에서는 아스트랄이 이 카드의 사용을 귀띔해 주어 공격을 그대로 받았다.] 그렇게 퍼스트 시즌에서 유마의 듀얼 간에 드문드문 등장했지만 마땅한 의미는 없이 효율 좋은 콤보로서 사용된 정도였는데, 본격적으로 상징성이 부여된 건 [[세미마루]]전에서 첫 드로우로 뽑은 이 카드를 보며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을 회상하던 순간이였다. 그 이후부터는 굵직한 보스와 싸울 때 전황을 뒤엎는 키 카드로서 계속 등장해 시청자들에게 인상 깊은 장면을 많이 남겼다. 적 측에서도 유마의 주력으로 인식한지라 이 카드를 견제하는 카드도 여럿 등장했는데, 특히 [[낫슈]]의 [[글로리어스 세븐]]은 완전히 이 카드의 발동을 염두에 둔 전략이였다.[* 드로우 리셋 배틀과 [[세븐스(유희왕)|세븐스 어라이벌]]로 뽑은 카드를 배틀 중에 사용하지 않을 경우 유마의 라이프는 0이 되기에 유마가 발동할 수 있는 카드는 더블 업 찬스뿐이였다.] 하지만 [[운명의 문(유희왕)|운명의 문]]의 의미를 떠올린 유마가 극적으로 공격을 종료하는 바람에 결국 낫슈는 자멸하고 만다. 그리고 [[돈 사우전드]]와의 결전에서 마지막을 장식한 카드이다. [[CiNo.1000 몽환허광신 누메로니어스 누메로니아]]의 효과[*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 1개를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 만큼의 라이프를 회복한다.]로 공격이 무효화된 [[No.39 유토피아]]에게 발동하여 공격력 '''204000'''[* 이 수치는 아직까지 주인공 에이스 몬스터 중 최강의 공격력 수치로, [[유희왕 SEVENS]]까지 와서도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을 기록하여 돈 사우전드를 패배시킨 마지막 한 수가 되었다. 또한 [[아스트랄(유희왕)|아스트랄]]과의 최종전에서도 [[운명의 문(유희왕)|운명의 문]]의 효과로 공격이 막히자 발동해 [[FNo.0 미래황 호프]]의 공격력을 8000으로 불려 피니시를 내었다. 여러모로 ZEXAL의 처음과 끝을 장식하는 카드.[* 여담이지만 첫 듀얼에서 이 카드를 뽑기 전에 백덤블링을 몇 번 하고 다시 앞으로 달리며 점프해 드로우하는 기행을 하는데 2화에선 뽑은 뒤 그대로 넘어졌지만 최종화에선 멋지게 착지한다. 유마의 성장을 잘 보여준 장면.]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서는 본 카드의 일러스트가 아니라 로켓이 발포되는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 게임에서 === [[유희왕 태그 포스]] 스페셜에서는 유마의 파트너 덱에서 교체 불가능한 유일한 메인 덱 카드이다. 교체 불가능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 카드는 물론 [[No.39 유토피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ZEXAL 월드가 출시되고 유마&아스트랄이 나왔지만 유마의 상징적인 마법 카드인 이 카드는 오랫동안 풀리지 않았다. 그나마 IV 레이드 듀얼에서 잠시 쓸 수가 있었지만 다행히 2021년 8월 30일에 ZEXAL 월드의 레벨 상한선이 올라가 레벨 35를 달성하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 관련 카드 == === [[No.39 유토피아 더블]] === [각주]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