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파일:倍返し.jpg]] || 한글판 명칭 ||||||||'''더블 페이백'''|| || 일어판 명칭 ||||||||'''倍返し'''|| || 영어판 명칭 ||||||||'''Double Payback'''|| |||||||||| 지속 함정 || ||||||||||상대 카드의 효과에 의해서 자신이 1000 포인트 이상의 데미지를 받았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때 받은 데미지 1000 포인트당, 이 카드에 더블 카운터를 1개 놓는다. 다음 상대 턴의 엔드 페이즈시, 이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에 얹혀 있는 더블 카운터의 수 × 2000 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1000 이상의 효과 데미지를 1000당 배로 해서 상대에게 되돌리는 카드인데, 꽤 활약하기 어려운 카드. 효과 데미지로 1000 이상의 데미지를 주는 덱이 많지 않아 채용하기가 어렵다는게 첫 번째 문제고, 보통 한방에 즉사급 데미지를 뽑아내는 덱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굳이 이걸...? [[지옥문 저편의 총]]이나 [[통혼의 주술]]로 자신의 피해를 무효화하고 상대방에게 피해를 주는 경쟁자(혹은 카운터)도 있다. 또한 다음 상대 턴 엔드 페이즈까지라는 것이 치명적이라 [[싸이크론]] 등으로 파괴되거나, 그 전에 지면 의미가 없다. [[궁정의 관습]]을 쓰면 이 카드를 파괴하지 못해서 데미지를 줄 수가 없고, 기껏해야 열차 덱을 상대로 [[초노급포탑열차 구스타프 맥스]]의 상대로 쓸 수 있겠지만 [[초거대 공중궁전 강가리다이]]한테 날아갈 가능성이 높다. 능동적으로 [[검의 여왕]]이나 [[데스 코알라]]를 [[강제전이]]로 상대에게 넘겨서 할 수 있긴 하다. 이 경우에는 [[데미지 메이지]], [[데미지 백신 Ω MAX]]로 라이프 손실을 보충하거나 숲의 성령 에코로 3배의 데미지를 주는것도 가능. 1000 포인트 단위로 카운터를 쌓는 개념이라 엄밀히는 '''더블'''은 아니다. 영어판의 번역명을 따라간 케이스인데, 카드 효과에 카운터의 2배로 돌려준다는 효과도 있고, 한자도 배가 들어가있으니 더블을 쓴 것도 이해는 간다. 일본어 이름은 倍返し(배로 갚아줌)이지만, 뉘앙스로는 앙갚음, 보복 등에 가까우며 내가 입은 손해를 되갚아준다는 의미가 강하다.[* [[한자와 나오키]]로 유명한 그 말 맞다. 드라마 방영보다 이 카드의 발매가 더 빠르기 때문에 딱히 의도된 건 아니지만. '배'가 있기는 하지만 꼭 2배는 아니고 드라마에서 나오는 것처럼 그냥 '되갚아준다'는 의미가 강하다. 일본어 언어유희라 영판을 따른 듯.] 일러스트는 [[벌거벗은 임금님(유희왕)|벌거벗은 임금님]]이 [[대혁명 반전]] 후에 모인 시민들 때문에 곤란해하는 모습. 이 이후에는 [[앙갚음]]으로 이어진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갤럭틱 오버로드]] || GAOV-KR08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JP080 || [[노멀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EN080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