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메이의 2023년 시즌, rd1=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3년)]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스터)] ---- || '''{{{#FFFFFF 더스틴 메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로스앤젤레스 다저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FFF 더스틴 메이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Dodgers_WS_Champ_Logo.png|height=70]][br]'''월드 시리즈 우승 반지''' || || '''[[2020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0}}}]]''' ||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FFFFFF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85번}}}''' || || 결번 || → || '''{{{#005A9C,#62BCFF 더스틴 메이[br](2019~)}}}''' ||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투수 터너.jpg|width=100%]]}}} || ||<-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o.85''' || ||<-2> '''{{{#005A9C,#62BCFF {{{+2 더스틴 메이}}}[br]Dustin May}}}''' || || '''본명''' ||더스틴 제이크 메이[br]Dustin Jake May || ||<|2> '''출생''' ||[[1997년]] [[9월 6일]] ([age(1997-09-06)]세) || ||[[텍사스 주]] 저스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노스웨스트 고등학교 || || '''신체''' ||198cm, 81kg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6 MLB 신인드래프트#s-3|2016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101번,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9~) || || '''계약''' ||1yr / $1,675,000 || || '''연봉''' ||2023 / $1,675,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우완 [[투수]].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선수 경력]] == ||<-5> '''{{{#FFFFFF 더스틴 메이의 선수 경력}}}''' || ||<-5> '''통합 선수 경력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 || ||<-5> [[파일:MLB 로고.svg|width=45]] ||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s-3.1|'''{{{#FFFFFF 2019년}}}''']]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s-3.2|'''{{{#FFFFFF 2020년}}}''']]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 피칭 스타일 == 103마일까지 나오는 [[패스트볼]]과 함께 90마일 초반의 [[커터]], 80마일 초반의 [[커브]]와 [[체인지업]]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하는 강속구 선발 투수다. 데뷔 전에서는 최대 98마일까지 나오는 싱커를 낮은 코스에 구사하면서 삼진을 잡기 보단 땅볼 유도를 바탕으로 맞춰잡는 패턴을 보여줬다. 하지만 변화구 컨트롤에 미흡함을 보이며 투스트라이크 이후 타자들에게 커트 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앞으로 빅리그에서의 생존을 위해서 변화구 제구를 다듬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외에도 마른 체구의 파이어볼러의 한계인지 커리어 내내 단 한번도 100이닝을 넘긴 적이 없고 [[토미 존 수술]]을 불과 26개월 간격으로 2번이나 받는 등 내구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기다란 팔다리, 붉은색 장발에 마치 [[브론슨 아로요]]를 연상시키는 투구폼을 가지고 있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0년 월드 시리즈|2020]]) == 여담 == * 계약금은 99만 7,500달러로, 19년도 2라운더 지미 루이스(Jimmy Lewis)가 109만 7,500달러로 경신하기 전까지는 [[앤드류 프리드먼]] 사장 체제의 다저스가 고졸 투수와 맺은 최고 규모의 계약금이었다. * 특유의 붉은 장발이 마치 같은팀 동료 [[노아 신더가드]]를 닮았다는 뜻에서 '[[진저#s-1.2|진저]]가드(Gingergaard)'라는 별명이 있지만, 신더가드처럼 스트레이트가 아니라 곱슬곱슬한 모발 탓에 그보다 가장 유명한 별명은 '''푸들.''' * 썬글라스를 낀 것과 끼지 않은 갭이 상당히 큰 선수다. 썼을 땐 특유의 붉은 장발로 처음보는 사람에겐 멋있음을 선사하나 벗을 땐 그냥 푸들이라고. * 외모가 독특하고 상당한 노안인데 같은 팀에 [[토니 곤솔린|더 심한 노안]]이 있어서... * 셋포지션 시 본인 특유의 스쿼트 동작을 취한 적이 있다. 다만 2020 시즌을 앞두고 이 동작을 없애는 쪽으로 투구폼을 수정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이콩.gif|width=100%]]}}} || 타자와의 승부 결과에 따라 감정 표현을 많이 하는 편이다. 데뷔 시즌보다는 줄었지만 현재도 없어지진 않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각주] [[분류:더스틴 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