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양산시의 법정동]][[분류:양산시의 행정동]]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양주시 덕계동, rd1=덕계동(양주))] [include(틀:양산시의 읍면동)] ||<-2> '''[[파일:양산시 CI.svg|height=15]] [[양산시|{{{#000000,#dddddd 양산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덕계동}}}'''[br]德溪洞 | Deokgye-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상남도 양산시 덕계dong,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양산시 || || '''행정표준코드''' || 4833012000 || || '''관할 행정동''' || 덕계동 || || '''면적''' || 4.96㎢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양산시]]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웅상]]의 아래쪽 시가지를 주로 지칭하며 웅상 마을버스의 집결지인 덕계종합상설시장 아래쪽에 위치한 월평고개를 기점으로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과 경계를 접하고 있다.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전 대통령]]의 자택이 이 곳에 있었으나, 지금은 매각, 문 전 대통령 내외는 하북면으로 갔다.[* 법정동은 [[매곡동]]. 한 화가가 쓰던 작업실을 매입했다고 알려져 있다.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전 대통령]]의 [[단골]] [[미용실]]은 덕계사거리 [[버스 정류장]]쪽에 위치한 [[블루클럽]]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문 전 대통령과 영부인이 덕계상설시장에 자주 출몰했다고 하나, 여기가 언덕 위 외진 골목길에 숲+계곡 콤보로 경호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퇴임 뒤에는 하북면으로 갔다. 이로써 웅상 일대에서 문 전 대통령 내외를 보기는 어려워질 전망이다.] 흔히 줄임말로 [[덕계]]라고 지칭한다. 저 멀리 [[양주시]] [[덕계동(양주)|덕계]]와 생활환경 자체는 비슷하다.[* 다만 인구는 9000명 가량 차이난다.] == 관할 행정동 == === 덕계동 === ||<-2> '''[[파일:양산시 CI.svg|height=15]] [[양산시|{{{#000000,#dddddd 양산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덕계동}}}'''[br]德溪洞 | Deokgye-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양산시 덕계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양산시 || || '''행정표준코드''' || 5380117 || || '''관할 법정동''' || 덕계동, 매곡동 || || '''하위 행정구역''' || 14통 137반 || || '''면적''' || 13.36㎢ || || '''인구''' || 18,098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354.6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양산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두관]] ,,(재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허용복 ,,(초선),, || ||<-2> '''양산시의원 | 사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석규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판조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일배]] ,,(5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번영로 35 (덕계동 1038) || || [[https://www.yangsan.go.kr/csc/contents.do?mId=0113000000|덕계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주요 시설 == 덕계양산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상징적으로 "덕계상설시장"이라는 [[재래시장]] 건물이 있다. 건물 하나가 쇼핑몰인데 내부는 재래시장처럼 되어있는 것이 특이한 점인 시장. 어린시절부터 덕계에 살았다면 한 번쯤은 가봤을 법한 곳. 웅상의 관문 역할을 하며 모든 시내버스 노선들이 정차하는 곳이라서 양산뿐만 아니라 부산 사람들도 의외로 잘 알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 병원 === *아람병원 [* 덕계상설시장옆에 있다.] *덕계성심병원 [* [[양산 버스 웅상3]]성심병원경유를 타면 갈수 있다.] *신세계요양병원 ==== 시장 ==== 웅상의 모든 마을버스의 종점인 덕계상설시장과 덕계오일장이 있다. ===== 공업단지 ===== * 덕계윌라일반산업단지 * 웅상농공단지 * 양산매곡그린공단 [* 양산의 최고의 공단 중 한곳이다.] * 웅상일반산업단지 [* 매곡그린공단과 합쳐 부른다.] ([[양산 버스 도시형3]]번을 타면 이 네곳을 갈수 있다.[* 윌라마을 정류장은 예약제로 운영된다.]) === 기관 === * 양산덕계우체국 * 웅상종합사회복지관 * 덕계동 행정복지선터 * 덕계파출소 === 주거 === ==== 아파트 ==== * 경보건설 경보 1차 226세대 - 1992년 3월 입주. * 대창건설 대승하이아트 1차 790세대 - 1993년 12월 입주. * 한주건설 대승하이아트 2차 446세대 - 1994년 11월 입주. * 벽산건설 [[부영그룹|부영]][[벽산블루밍|벽산]]아파트 863세대 - 1999년 2월 입주. * 덕산건설 세신상가아파트 96세대 - 1998년 7월 입주. * 동일종합건설 덕계 [[동일스위트]] 2차 790세대 - 2003년 2월 입주. * 경동건설[* [[경동리인]]을 건설하는 경동건설이 아닌 다른회사로 시멘트 회사이다. 경동리인을 건설하는 경동건설은 인근에 소주동에서 소주지구 택지 시공사로 선정되어 택지 조성 및 아파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경동스마트홈 487세대 - 2013년 12월 입주. * [[두산중공업]] 양산 [[두산위브]] 1차 1337세대 - 2019년 11월 입주. * 우성종합건설 동양산 [[우성스마트시티뷰]] 604세대 - 2019년 12월 입주. * [[두산중공업]] 양산 [[두산위브]] [[양산두산위브2차|2차 1단지]] 680세대 - 2021년 3월 입주. * [[두산중공업]] 양산 [[두산위브]] [[양산두산위브2차|2차 2단지]] 442세대 - 2021년 3월 입주. * 대성문건설 [[퀸즈W|포레스트 퀸]] 170세대[* 아파트 150세대 + 오피스텔 20실] - 2021년 6월 입주. * [[두산중공업]] [[트리마제]] 양산 1단지 1066세대 - 2024년 8월 예정. * [[두산중공업]] [[트리마제]] 양산 2단지 403세대 - 2024년 8월 예정. * [[동원개발]] 양산5차 비스타동원 솔라스타 311세대 - 2025년 7월 예정. === 학교 === * [[덕계초등학교]] * 회야초등학교 == 상세 == [[울산]]과 [[경부고속도로]]의 종착지인 부산의 [[노포동]]을 잇는 길목이기에 [[베드타운]]으로서 성장하고 있는 곳이다. 90년대 초반만 해도 논밭이 대부분인 곳이었으나. 울산과 부산의 길목이라는 점 때문에 몇십년간 터줏대감으로 집권한 자유한국당의 대표적 실책인 부동산 폭등과 일자리 감소 때문에 이 [[양산시]] [[덕계]]로 주거지를 옮기는 베드타운화 하여 성장하는 것, 그덕에 논밭에 슈퍼마켓, 재래시장의 동네가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함께 이마트 트레이더스같은 대형 마트까지 들어서는 등의 성장을 보여주고있다. 때문에 인구비율도 노년층과 초중학생 정도의 자녀가 있는 나이대 가족 구성으로 변하고 있다. == 교통 == ===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 [[부산 시내버스]] * [[부산 버스 50]] ([[부산 버스 301]]번 부산 구간으로 노선 변경후 웅상과 노포동을 잇는 유일한 [[부산 시내버스]]이다.) * [[부산 버스 302]] ([[웅상]]에서 [[정관신도시]]로 가는 유일한 버스이다.) [[양산시 시내버스]] * [[양산 버스 52]] * [[양산 버스 56]] * [[양산 버스 57]] * [[양산 버스 58]] * [[양산 버스 59]] * [[양산 버스 60]] [* [[양산시 시내버스]] 중 [[통신사로]]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양산 버스 61]] [[마을버스]] * [[양산 버스 웅상1]] * [[양산 버스 웅상1-1]] * [[양산 버스 웅상2]] * [[양산 버스 웅상3]] * [[양산 버스 도시형3]] * [[양산 버스 웅상4]] * [[양산 버스 웅상5]] * [[양산 버스 웅상5-1]] * [[양산 버스 웅진7]] * [[양산 버스 웅진8]] * [[양산 버스 웅진10]] * [[양산 버스 웅진11]] * [[양산 버스 법서14]] * [[양산 버스 웅진15]] * [[양산 버스 웅진15-1]] * [[양산 버스 법서17]] * [[양산 버스 법서18]](폐선) * 양산 버스 웅진21(폐선) * 양산 버스 웅진22(폐선) [[울산 시내버스]] * [[울산 버스 714]] [* [[울산]]에서 [[웅상]]까지 가는 유일한 [[울산 시내버스]]로 [[울산 버스 1127]]을 타면 훨씬 빨리 갈수 있다.] ==== 급행, 좌석 ==== 부산 급행버스 * [[부산 버스 1002]] 울산직행좌석버스 * [[울산 버스 1127]] * [[울산 버스 1137]] * [[울산 버스 1147]] (다만 [[정차]]하지는 않고 [[통신사로]]([[7번 국도]])로 통과한다. 양산직행좌석버스 * [[양산 버스 2100]] * [[양산 버스 2300]] * [[양산 버스 3100]] 1002번과 3100번을 제외한 다섯 노선은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 [[노포역]]에서 [[웅상]]을 지나 [[울산광역시]]를 잇는 노선이다.